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정보 통제와 정보 개방
게시물ID : phil_1160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임오유
추천 : 0
조회수 : 44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5/06/07 15:25:58
옵션
  • 창작글
이번, 메르스 확산에서 두드러진 입장 차이를 보이는 지점이 여기임.

왜 어떤 이들, 특히 특정 관료와 정치가는 정보를 통제하기를 원하는가?

이들은 자신이 통제하는 정보 만큼이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는 생각과 또 권력이 된다는 생각을 깔고 있다. 극단적인 독재국가를 생각해보면 됨.

미국은 환자가 누구인가까지 알렸었다고 함. 정보를 알리면 알릴수록 이런 유형의 질병은 확산을 막을 수 있슴. 정보공개는 단지 합리적인 대책인거임.

한국은 비밀주의로 일관하다가 질병이 확산되니까 황급히 공개로 전환함. 

정보를 통제하려는 이들이 끼이면 인간 관계나 업무에서도 문제를 일으킴. 

그 의도가 어떻든 자신의 개인적인 의지를 소통시키는 정보에 반영하게 되기때문에. 

거기엔 어떤 이에게는 당연하지 않고, 자신은 당연하다고 여기는 생각들이 반영되어 있슴. 



역사에 대한 입장 차이랄까....위 사안은 일상적인 습관으로, 오늘 내일의 사건들의 나열임. 

수열로 치자면, 두 수 사이의 관계로 정의한 것이지만, 결국 극한으로 연결하면 그 결과가 수렴이나 발산 같은 형태로 귀결됨. 

이런거 까지 연결해도 될까 모르겠다. 

순환론적 역사관이나 직선적인 역사관 같은 관점이랑 연관될 거라고 생각함. 

역사에 인간의 의지를 반영하는 입장은 직선론적인 역사관을 가질 거라고 생각함.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