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3월 이슬람학교-이희수 교수 특강 <이슬람 문화와 예술세계>
게시물ID : history_2508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잠룡815
추천 : 0
조회수 : 1190회
댓글수 : 16개
등록시간 : 2016/01/21 10:33:37
밑에 이슬람 관련글이 올라와서 생각있으신분들 추천드립니다~


http://www.huschool.com/extend/school_view.php?seq=15&pseq=15&page=1&school_seq=4

...................

강의계획

이희수 교수 특강 <이슬람 문화와 예술세계>

3월 이슬람학교


이슬람학교(교장 이희수, 한양대 교수)는 다른 생각, 다른 모습을 가진 지구촌의 이웃들을 우리 눈으로 다시 보면서, 지성적 균형감각으로 이슬람문화와 이슬람 사회의 문제들을 바라보고자 하는 공부모임입니다. 그동안 400여 명의 졸업생들이 우리 사회 곳곳에서 열린 사고와 보다 창조적인 활동을 통해 왜곡되고 경직된 사회에 또 다른 길을 만들고 다양한 삶을 통해 풍요로운 세상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이슬람건축은 한결같이 정교한 타일로 벽면을, 최고의 공예로 천정을 장식한다.Ⓒ이희수


이슬람학의 최고 권위자인 이희수 교장선생님은 새해 봄학기(3, 4월) <특강 : 이슬람 문화와 예술세계>를 준비하면서 이렇게 얘기합니다.


2016년 봄학기는 이슬람문화 심화과정으로 예술에 대한 공부를 집중적으로 해보고자 합니다. 이슬람 음악, 미술, 건축, 캘리그래피, 공예, 세밀화, 디자인, 영화, 문학, 음식문화에 이르기까지, 테러와 석유를 통해 바라보는 현상적이고 뉴스 중심의 이슬람이 아니라 인문학적 성찰과 사람 중심으로 바라보는 이슬람 공부가 될 것입니다. 분야에 따라 전문가들의 초청강연도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기본교재는 <이슬람>(2011, 청아), <이슬람학교>(2015, 청아)입니다. 새롭고 흥미로운 공부가 기다리는 한국사회 최고의 이슬람예술 전문가과정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메카를 중심으로 동서양으로 갈수록 풍요롭고 다양해지는 이슬람문화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희수


이슬람학교 2016년 봄학기 강의는 3, 4월 매주 금요일 저녁 7시부터 9시까지이며 총 8강으로 열립니다.


제1강[3월 11일] 이슬람 문화방정식 - 특징과 내용

메카를 중심으로 동서양으로 갈수록 풍요롭고 다양해지는 이슬람문화의 특징을 역사와 토착문화의 교류과정을 통해 이해하는 시간이다. 유럽이 잠자는 암흑의 시기에 빠져있을 때, 중세 세계 최고수준의 과학과 학문의 번성기를 이루었던 이슬람문화의 성숙 배경과 이슬람 지성세계의 인식론의 특징도 살펴본다. 그 결과 동양 끝에서 인도 타지마할과, 서양 끝에서 알함브라라는 인류 최고의 건축예술이 생겨나게 된다.


제2강[3월 18일] 이슬람미술

우상숭배를 철저히 금기시했던 이슬람에서 어떻게 인물과 동물을 표현하지 않고, 즉 회화와 조각 없는 미술이 발전할 수 있었을까? 대안적 이슬람미술은 무엇일까? 마블링(Mabling)으로 알려진 에브루 미술, 신의 목소리를 기록한 서예인 캘리그래피, 미니어추어로 불리는 세밀화 등을 통해 이슬람세계에서의 예술적 표현의 가치와 기교를 살펴본다.


제3강[3월 25일] 이슬람음악

세속적인 음악은 인간의 이성을 흐리는 장르로 허용되지 않았다. 이슬람 최고의 음악은 따라서 신의 목소리인 <꾸란>이었다. 그렇지만 아랍세계에서도 전설적인 가수들이 등장했다. 이집트의 움 쿨숨, 레바논의 파이루즈, 터키의 세젠 악수 등은 모든 사람들의 사랑과 존경을 한 몸에 받는 가수로서 지금도 그들의 가슴 속에 살아있다. 아랍음악의 특징과 내용은 무엇일까? 역사적 아픔을 노래하는 그들 음악에 담겨있는 고뇌의 본질은 무엇일까?


제4강[4월 1일] 이슬람건축과 아라베스크

이슬람건축은 아름답고 화려하다. 세계적인 건축물 중에는 이슬람건축이 단연 돋보인다.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 코르도바 메스키다, 이스탄불의 블루모스크, 인도의 타지마할, 말리 팀북투의 흙벽사원, ‘사막의 맨하탄’이라 불리는 예멘의 고대도시 시밤, 사마르칸드 레기스탄광장의 마드라사, 이집트의 알-아즈하르모스크 등등. 그들 건축은 한결같이 정교한 타일로 벽면을 장식하고 최고의 공예로 천정을 장식한다. 바닥에는 카펫을 깔고 아라베스크라는 독특한 디자인으로 최고의 예술성을 자랑한다.


제5강[4월 8일] 이슬람영화

이슬람권의 영화는 국내에 거의 소개되지 못했다. 그나마 헐리우드영화에서 아랍은 테러리스트 아니면 미개한 부랑아로 주로 등장한다. <아라비아의 로렌스>와 함께 이란 영화의 거장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작품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를 필두로 팔레스타인의 암울한 현실을 다룬 명화 <오마르>, 리비아 독립전쟁을 다룬 <사막의 라이온>, 2014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은 터키 영화 <겨울잠> 등을 감상하면서 이슬람권 영화 이야기를 함께 나누어본다.


제6강[4월 15일] 이슬람문학

<아라비안나이트>(천일야화)가 갖는 아랍문학에서의 입지와 성격은 무엇인지? 이슬람 소설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에 소개된 것들 중 노벨문학상을 받은 이집트 소설가 나깁 마흐푸즈의 1959년 소설 <게벨라위의 아이들>, 터키 오르한 파묵의 <내 이름은 빨강>, 아프가니스탄 출신의 작가로 <뉴욕타임즈> 연속 40주 베스트셀러를 기록한 할레드 호세이니의 작품 <천개의 찬란한 태양> <연을 쫒는 아이들>, 타리크 알리의 작품 <석유나무 그늘 아래> 등을 살펴본다.


제7강[4월 22일] 이슬람공예 - 유리와 금은 세공

신라고분에서 발견되는 25점의 유리의 원류를 찾아가면서 이슬람세계 유리공예 기술을 추적해 본다. 뛰어난 금은 세공품의 예술적 가치와 우리 문화의 관련성을 살펴본다.


제8강[4월 29일] 이슬람 음식문화

케밥, 치즈, 요구르트, 커피로 상징되는 이슬람 음식문화의 특징과 일상의 문화적 의미는 무엇일까? 할랄(허용)과 하람(금기)의 차이는 무엇이고 왜 우리는 할랄 음식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되는가? 그리고 가능하다면 함께 아랍음식 체험을 해본다.



▲이슬람건축은 아름답고 화려하다. 사진은 이스탄불의 블루모스크 Ⓒ이희수


...................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