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공공의대에 관해 궁금한 점
게시물ID : sisa_116154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노랑당근
추천 : 0
조회수 : 1029회
댓글수 : 10개
등록시간 : 2020/08/25 23:45:12

 

공공의대에 대해 이것저것 찾아보다 문득 궁금한 것이 생겨서 글 써봐요.


@ 현행 의대 제도 

 

의대6년 -> 의사면허획득, 일반의 됨

(공보의3년)

인턴1년

레지던트4년 -> 전문의 됨

펠로우2년

 

@ 공공의대 제도

 

대학 졸업 후 공공의대4년 -> 의사면허획득, 일반의 됨, 의무복무기간 시작

(공보의3년, 군대 갔다온 사람도 있을 것 같음)

인턴1년

레지던트4년 -> 기피과 전문의 됨

(펠로우2년)

 

이렇게 맞나요? 

 

그럼 공공의대 나와서 여자나 군필자는 5년에서, 남자 2년정도 의무복무를 한다는건데, 

펠로우까지 수료한다면 일반의대와 비교해서 의무기간은 없는 것과 마찬가지인 거죠.

 

근데 저같으면 의무복무 기간만 끝나면 그냥 수도권이나 신도시 가서 동네 피부과 차릴 것 같거든요.

일반적으로 인간은 스스로의 최대한의 이익을 추구하는 존재라고 생각해서..

 

돈도 안되고, 일할 곳도 별로 없다 하고, 소송위험도 높은 기피과를 굳이 의무기간 끝나고 계속 할 이유가 없어보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래서 말인데, 비싼 의대 학비에 세금을 투입해서 무상교육으로 만들어낸 공공의사면 적어도 전문의가 되고 나서 10년정도는 일해야 공공성에 대한 설득력이 있지 않을까요?

 

교육기간을 포함해서 10년이면 그냥 현행 의대생을 무상으로 교육해주는 수준인 것 같아요.

 

그리고 진짜 수적으로 의사가 부족한거면 그냥 의대를 더 만드는 것은 안되나요?

 

어차피 의사 하고 싶은 사람은 줄을 섰을텐데 굳이 세금 들여서 무상으로 몇년만 묶어둘 공공의사를 만들어 낼 필요가 무엇인지..

 

기피과의 의사만 부족한 거라면, 공공의대 의무복무로는 그닥 효과가 있을까 싶은데..

 

이런 부분들에 대해 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다면 고견 부탁드립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