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2. 복지 관점에서 볼 때, 적당한 한국 최저시급 얼마인가?
게시물ID : economy_1698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오유용
추천 : 1
조회수 : 1005회
댓글수 : 15개
등록시간 : 2016/01/24 02:18:43
기존글: 한국경제 수준에서 견딜수 있는 최저시급 수준은 얼마인가?(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economy&no=16807&s_no=11593462&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140774)
기존에 경제적 관점에서 견딜 수 있는 최저시급에 대해서 글을 적었습니다. 
그에 이어서 복지 관점에서 바라볼 때 최저시급에 대해서 같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경제적 관점에서 최저시급은 관련 자료라도 좀 읽었던 것이 있지만, 
복지적 관점에서 바라본 최저시급은 본 내용이 별로 없어서, 
여러 분들께서 글을 작성하면, 
추가적인 객관적인 자료와 방향도 어느 정도 나오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
 

복지점 관점에서 참고할 만한 지표들

최저생계비(출처: 네이버지식백과사전 재가공)

- 의미: 국민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
- 산출 과정
  * 주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매년 9월 1일까지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ㆍ의결
  * 기간: 3년에 한 번
  * 대상: 소득 하위 40% 2만 가구   
  * 항목:  주거비 · 식료품비 · 광열수도비 · 교통통신비 · 교양오락비 등 11개 분야 372개 필수 품목
  * 산출:  생활 실태조사(각 품목에 대해 최소한의 합리적 소비를 할 경우 모두 얼마가 필요한지를 따져 최저생계비를 산출)
           , 기준 중위소득의 40%선 정도로 책정
- 적용: 
  * 기초생활보장을 비롯한 각종 사회복지 수급자 선정 및 급여 책정의 기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6조 및 제12조의3에 따른 ‘의료급여의 선정기준

구 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금액(/)

649,932

1,106,642

1,431,608

1,756,574

2,081,540

2,406,506

2,731,473


[<표> 2016년 기준 중위소득·급여별 선정 기준·지원 내역: http://finance.daum.net/news/news_content.daum?docid=MD20150727144309737]
 
 
기준 중위소득(소득이 100명중 50등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생각하면 됨)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제11호에 따라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는 ‘기준 중위소득’

구 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금액(/)

1,624,831

2,766,603

3,579,019

4,391,434

5,203,849

6,016,265

6,828,680

 
 
상대빈곤선정방식(출처: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주요기관/국가 기준
OECD 중위소득의 40%, 50%, 60%
World Bank 개발도상국은 평균소득의 1/3, 선진국은 평균소득의 1/2
영국 평균소득의 50%
프랑스 중위소득의 50%
일본 평균소비지출의 68%


================================================================================================

최저시급과 최저생계비와는 다른 문제이지만, 
복지적 차원에서 접근하려면 최저생계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거 같아서 간략적인 자료를 적어 보았습니다. 

복지적 차원에서 볼 때 합당한 최저시급시 고려해야할 요소들이 있을텐데
어느 정도 수준이 적당하고, 그 이유가 무엇이 있을까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