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시그널 타임 라인이 복잡하긴 해도 소재가 익숙해서 재밌네요.
게시물ID : drama_3952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perkis
추천 : 2
조회수 : 446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6/01/25 16:49:16
1. 박해영 관점에서의 최초의 무전 : 이재한과 박해영의 첫 무전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의 소재는 김윤정 유괴 살인 사건입니다. 왜 하필 김윤정 유괴 살인 사건을 통해 최초의 교신이 이루어졌을까요. 박해영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이 실제로 목격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범인을 검거하지 못해 공소시효 만료가 임박한 상황이었고 그 동안 박해영은 김윤정 양의 유괴와 죽음에 대해 내재적인 갈등 내지 일말의 가책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박해영의 관점에서 보자면 김윤정 양 사건 해결이 오랜 심적 갈등을 갈무리하고 새롭게 각성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이재한은 선일정신병원에 가면 안 된다는 박해영의 충고에도 불구하고 선일정신병원을 수색하다 결국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핵심은 바로 김윤정 양 사건 해결의 실마리를 준 것은 다름 아닌 2000년 8월 3일의 이재한이었다는 점입니다. 만약 이 시점에서 이재한과 박해영의 첫 무선 교신(박해영 입장에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김윤정 양 사건은 공소시효가 만료되어 영구 미제로 남게 되었을 겁니다. 

2. 이재한 관점에서의 최초의 무전 : 이재한은 89년 경기 남부 연쇄 살인 사건 당시 박해영과의 첫 무전 교신 이 후 2000년 김윤정 양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 자신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알고 있었을 겁니다. 또한 첫 교신 이 후 박해영으로부터 전해 들은 수많은 사건들의 단서를 통해 박해영에 대한 신뢰가 쌓이게 되고 점차 그 신뢰는 영구 미제화될 사건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확신에 이르게 되었을 겁니다. 요컨대 박해영의 각성처럼 이재한 역시 무전 교신을 통해 새롭게 각성하는 계기로 작동했을 것이라 미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 후 지속적인 무전을 통해 이재한은 자신이 2000년 김윤정 양 사건의 단서를 박해영에게 전달해 사건이 해결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박해영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선일정신병원을 찾을 수 밖에 없었겠죠. 추측컨대 이재한은 선일정신병원에서 살해 당하기 직전까지 박해영이 선일정신병원을 찾지 말라고 만류한 이유가 자신이 살해 당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몰랐을 개연성이 큽니다. 

3. 과거만이 아니라 현재도 변화 : 선일정신병원에서 의문의 습격을 받고 마지막 무전 교신을 했던 이재한은 "무전은 계속 될 것이고 과거를 바꿀 수 있으니 포기하지 말라"고 합니다. 아마 이재한은 선일정신병원에서의 무전 교신과 자신의 죽음 직전 교신 상대였던 박해영이 89년 이 후 지속적으로 교신해왔던 박해영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박해영, 즉 김윤정 사건 해결 전의 박해영이었음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이재한에게 있어 무전 교신 상대였던 박해영이라는 인물은 김윤정 양 사건 해결을 기점으로 구분되어 있었을 겁니다. 설령 이재한이 박해영의 존재에 대해 명확한 시간적 차이를 인지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그가 박해영에게 단서를 알려 줌으로써 영구 미제로 남을 뻔한 김윤정 양 사건이 해결되었듯이 앞으로 박해영이 담당하게 되는 영구 미제 사건들 역시 이재한의 도움을 통해 해결 될 것이라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요컨대 박해영은 이재한에게 사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전달함으로써 과거를 변화시키고 이재한은 박해영에게 2015년에 남아 있지 않은 새로운 단서들을 전달함으로써 현재를 변화시키는 과정이 반복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