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국회 의사당에 원전을 짓자
게시물ID : sisa_116599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pema
추천 : 4
조회수 : 782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20/12/07 06:07:43
옵션
  • 펌글
국민의힘이 월성1호기 조기 폐쇄를 ‘원전 살해’라고 비탄하며 감사원 감사 청구에 이어 검찰 고발까지 한 데 마음이 쓰여, 그 순애보에 맞춤한 제안을 해본다. 국회에 원전을 짓자. 2년 일찍 폐쇄한 원전에도 그리 애달파하니, 이번에는 100년 가도 끄떡없게 지어보자. 국회의사당 지붕과 원전 지붕 둘 다 둥근 돔인 것도 우연이기만 할까.

여의도 국회 터가 원전의 입지 조건을 완벽하게 충족한다는 건 알 만한 사람은 다 안다. 더구나 원전 전문가들이라면 그 천혜의 조건을 모를 리 없다. 그런데도 이에 대해 아무도 언급하지 않는 게 의아할 따름이다. 한국과 일본의 원전 문제를 오랫동안 연구해온 장정욱 일본 마쓰야마대 교수만은 예외다. 장 교수의 지론에다 내 짧은 식견을 보태서 설명해보면 이렇다.

원전 입지의 제1조건은 원자로를 식힐 수 있는 풍부한 수량. 여의도는 드넓은 한강을 끼고 있다. 민물로는 부족하다고? 라인강을 끼고 있는 프랑스 페세나임 원전의 전례를 보라. 민물은 강점이 더 많다. 지난여름 태풍에 바닷가 원전들이 줄줄이 멈춰 섰다. 강풍에 날아온 소금기에 내부 전력설비가 고장난 탓이다. 다음은 지반의 안전성. 모래를 쌓아 만든 섬이라 지반이 약할 거라고 걱정하기 전에 고개를 돌려 주변에 즐비한 초고층 빌딩을 보라.

국회 원전의 미덕은 끝이 없다. 서울에서 전기를 생산해 서울에서 쓰니 원전 건설비용의 3분의 1이나 되는 송전설비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송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전력 유실 문제도 해결된다. 송전탑 반대 투쟁 같은 성가신 일도 없다. 무엇보다 전국 전력의 20% 가까이 쓰면서 자급률은 3%에 그치는 서울의 에너지 종속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꿈의 원전이 현실화할 기회를 걷어차서야 되겠나.
원전을 지을 땐 방폐장도 함께 짓자. 1986년 이래 방폐장 터 선정은 원전 터 선정보다 골치 아픈 문제였다. 지금도 월성에서는 주민 투쟁이 계속되고 있다. 저들에겐 ‘공공성이란 이런 것이다’라고 시범을 보일 필요가 있다. 자기 똥은 자기가 치우고, 정 안 되면 곁에 두고라도 사는 게 공공적 태도다. 아무리 방사성 폐기물 처리 기술이 없다 해도, ‘원전은 정화조 없는 화장실’이라는 조롱을 언제까지 듣게 할 건가.




http://m.hani.co.kr/arti/opinion/column/970669.html#cb#csidx386ae672cae3d68815a6b3308157d5c 



월성원전 감사결과, 언론이 말하지 않는 3가지 사실

https://news.v.daum.net/v/AnE4LK32Ho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