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국의 만화 때리기는 아주 예전부터 계속되어 왔다.
게시물ID : animation_116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시험안끝났다
추천 : 1
조회수 : 470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2/05/23 02:13:28
.
.
.
.

■ 대대적 단속 이면에 숨은 의도들

만화 때리기는 정권들이 즐겨 이용하는 부모 계층 결집용 정책입니다. 특히 사회적 사안의 여파를 희석하고 비판 발언을 소란스러움으로 덮기 위해 자주 쓰였습니다.

선거를 앞두고 2011년 말부터 일어난 최근 사례는 굳이 더 말 안 해도 잘 아시겠지요. 학교 폭력과 집단 따돌림으로 자살한 아이 사건을 게임과 만화에 뒤집어 씌워 신문과 공조해 융단폭격을 가했죠. 정권 차원의 신호와 종편 채널에 광고 넣지 않는 데에 따른 보복차원으로 시행했다는 시각이 교차하는 가운데, 이번에 웹툰 스물네 편이 청소년유해매체물로 지정되기 일보직전이라는 상황까지 왔지요.

예전엔 어땠을까요. 크게 세 가지 사건을 들 수 있습니다. 1972년에 한 초등학생이 주인공이 죽었다 살아나는 것을 보고 따라 해 자살했고요. ‘불량만화’ 척결 운동이 벌어졌습니다. 이 때 있었던 일이 뭐냐면, 박정희가 제 7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에 가까스로 이겼고 대중 불만이 고조되던 단계였어요. 1980년엔 <사회정화위원회>라는 조직에서 만화가 69명을 미성년자 보호법위반이라는 구실로 고발하고, 그 결과 14명의 만화출판관계자가 불량만화제작자라는 이유로 구속되어죠. 이건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무력진압한 전두환 정권의 정국 수습책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그리고 1997년. 언급한 바 대로 바로 이 청소년보호법이 발효되고 압수수색과 작가 소환, 기소 등이 잇따랐죠. 이 때엔일진회, 「빨간 마후라」 등이 등장했고 또 대선 직전이었습니다.

이렇듯 만화, 요즘은 게임이 1차가 되어 참 미묘한 기분입니다만 어쨌든 단순히 만화가 나빠서 고쳐주려고 시비를 거는 게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대대적인 조치에는 반드시 의도가 있습니다. 만화를 비롯한 대중문화계는 그 흐름을 파악해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요즘 같이 청소년보호법 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의 성 보호를 위한 법률 같이 역시 기준 모호해 몹시 위험천만한 법이 등장하는 판국이라면 더욱이 그렇습니다.

[출처] 청소년보호법은 어떻게 만화계를 망가뜨렸나 (by 서찬휘)|작성자 노컷툰
http://nocut_toon.blog.me/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