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사진주의) 길고양이 개체수 조절을 위해서는,
게시물ID : animal_15159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ophosid
추천 : 13
조회수 : 1553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6/01/30 04:01:41
예전에도 관련 내용으로 글을 한 번 쓴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다람쥐를 사냥해 유유자적하게 끌고가던 고양이에게 놀라서 그랬었고... 지금은 다소 관련 논쟁이 있는 만큼 생각을 짧게 정리해보았습니다 :) 

95994ff9745c2b3e9fbea78cfd0d5fe1.png(흔한_한국의_맹수.real)

---------------------------------------------------------------------------------------------------------

1. TNR 없는 개인 차원의 길고양이 피딩 자체를 '금지'해야합니다. -솔직히 말해, TNR의 효용 자체가 명확히 드러난 적이 '세계적으로 단 한 번도' 없어서 잘 모르지만, 전체의 70% 이상이 TNR된다면 개체수 감소가 이루어진다하니 일단은 지지 중입니다.-

2. 음식물/일반 쓰레기 '클린하우스'를 운영해 음식물 쓰레기를 획기적으로 줄여야만 합니다.
이는 비단 길고양이의 개체수 감소에만 영향이 있는 것이 아니라, 길거리의 청결 유지 및 위생 유지에도 효과가 있는 정책입니다. 제주시에서는 클린하우스 설치 후 연간 21억여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보고 있다 합니다.
(길고양이의 군집/개체수 증가는 반드시 음식물(쓰레기) 주변에서 일어난다. https://www.animallaw.info/article/detailed-discussion-feral-cat-population-control)

클린하우스_설치_사진1_dachik.jpg


3. '철저한' 애완동물 등록제를 운영해야 합니다. 아무리 TNR을 잘해 길고양이의 수를 줄인들, 또 다시 고양이를 버린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철저한 애완동물 등록제를 운영해, 일정 크기/개체수 이상으로 길러지는 애완동물은 반드시 등록하도록 해야 합니다.(개/고양이)

4. 행정적인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고양이 급식소가 필요합니다. ex)강동구

-----------------------------------------------

그리고 제발,  TNR 없는 피딩을 합리화하는 정신나간 자기만족-이기주의자들이 없었으면 합니다. 진공효과와 질병, 겨울 등을 거론하며 길고양이의 개체수가 피딩으로 인해 증가할 지라도, 결국에는 다시 원래의 개체수를 찾는다는 헛소리를 지껄이는 작자들이 있는데, 그 사이에 길거리에 태어나 비참하게 죽어나갈 새끼고양이들의 처지는 고려하지도 않는 싸이코패스들입니다.

공존을 하되, 그 우선순위가 어디에 있는지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
출처 https://www.animallaw.info/article/detailed-discussion-feral-cat-population-control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698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