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치사율에 관한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데..
게시물ID : mers_1167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스톤골렘
추천 : 0
조회수 : 289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5/06/18 17:38:04
오늘 09시 기준 메르스 확진자수는 165명, 사망은 23명, 완치는 24명입니다.

그에 따라 미디어에서 이야기하는 치사율은 사망자수/확진자수 = 13.9 % 이죠.

그런데 많은 분들이 그렇게 치사율을 계산하는 것이 맞느냐고 의문을 가지시더군요.

저도 처음에는 그렇게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즉

결국 발병 이후에는 사망 혹은 완치 둘 중 하나로 결정될것인데, 그러면 시간이 지나면 치사율은 현재의 사망자수/(사망자수+완치자수) 에 가까워지는 것이 아닌가?

라고요.

(이렇게 계산하게 되면 현재의 치사율(?) 은 23/47 = 48.9% 가 됩니다.)


이 글에서는 어째서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사망자수/확진자수로 계산하는 것보다 정확하다고 말할 수 는지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현재의 사망자수/(사망자수+완치자수) 를 적절한 치사율로 보기 위해서는 다음의 가정이 필요합니다.

'사망판정과 완치 판정은 비슷한 시점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발병 후 일주일경에 대부분이 사망하고 마찬가지로 일주일즈음에 완치판정이 나온다고 치면, 위에서 말한 사망/(사망+완치) 가 적절하다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죠. 첫번째 환자분은 아직도 누워계시지만 두번째 환자인 그분 부인은 일찌감치 퇴원했지요.

그러면 이 시간차가 위의 계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문제를 간단하게 만들어 가능성을 알아봅시다.


1. 베르스라는 전염병이 있는데 사망자는 발병 후 무조건 12시간 이내에 사망한다고 합시다.

그런데 의료진은 이 사실을 몰랐고.. 완치 판정까지 약 일주일이 소요된다고 칩시다.

그러면 베르스가 펴진 후 일주일동안, 사망자만 주구장창 나올겁니다. 

그러면 사망/(사망+완치) = 100% 죠.

어떻습니까? 저는 위에서 베르스라는 전염병의 치사율에 대해서는 가정하지도 않았습니다. 그런데 무시무시한 치사율이 게산되어버리죠.

이 예는 사망/(사망+완치)의 계산법이 실제 치사율보다 높게 계산되는 예입니다.



2. 세르스라는 전염병이 있는데 2주째의 고비를 넘기지 못하면 무조건 사망한다고 합시다.

그리고 이 이전에는 사망자가 전혀 나오지 않는다고 합시다.

그러면 세르스가 퍼진 후 이주일간은, 완치자만 나옵니다.

그러면 사망/(사망+완치) =0% 이죠. 

이번에도 역시 저는 치사율에 대해서는 가정하지 않았고 사망 시간만 가정했습니다. 그러자 매우 희망적인 치사율이 계산되어버리죠.

이 예는 사망/(사망+완치) 의 계산법이 실제 치사율보다 낮게 계산되는 예입니다.






이쯤에서 세줄 요약을 할 수 있겠네요.

현재의 치사율 계산이 정확한가? 정확하지 않은가?.. 는 전 잘 모르겠지만, 
망/(사망+완치) 로 계산하는 치사율이 더 정확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결론내릴 수는 있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망/(사망+완치)로 계산되는 50%에 육박하는 치사율(?) 에 너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고 말해드리고 싶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