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유사역사학'이 도대체 뭘까 검색해봤더니 ㅋㅋㅋ
게시물ID : history_2524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atlm
추천 : 5/8
조회수 : 891회
댓글수 : 48개
등록시간 : 2016/02/04 03:06:47

예전에 공부할때 기억을 더듬어 보면
학문적으로 무언가를 정의할때 기본적으로 언급되는 것이 바로 어원입니다.
그렇다면 유사역사학의 어원이 뭘까?
검색해봤습니다.
대부분이 '유사역사학은 환빠다' 뭐 이런 단순한 논리들이 대부분이더군요.

"아놔...내가 알고 싶은 것은 그게 아니고 도대체 어원이 뭐냐고? "
이러던 와중에 나름 비교적 성의있는 글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위키란 곳에서 발견했습니다.

 -----------------------------------------

<나무위키 발췌>

(중략)

다른 말으로는 '사이비역사학', 의사(擬似)역사학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한국에서 이들에 대한 멸칭은 보통 환빠가 해당된다.

일부 재야사학이서 이런 방법을 쓴다. 여론이나 학계에서는 2008년 말부터 이런 사이비 사학을 재야사학이 아닌 유사역사학으로 부르자고 제안한 바 있다.

유사역사학은 서구에서 나치 옹호론자들등에게 사용해오던 용어로 용어 자체는 유사과학에서 유래된 듯하다. 한국에서 이 용어를 확산시킨 집단들은 이글루스의 역사 벨리 블로거들로써 학계에 폭넓게 사용되었며, 나치 옹호론과는 무관하게 유사과학에서 따온 용어였다.

인터넷 상에서 유사역사학이란 용어가 급속히 퍼졌지만 하도 재야사학이란 말이 입에 붙어서 이 용어도 아직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 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이러한 단어를 쓰는 정황은 포착되지 않았다.

-------------------------------

마지막 문구에 주목해주십시오.

"아직까지 국내 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이러한 단어를 쓰는 정황은 포착되지 않았다."

그런데 말입니다.

여기에는 안나왔지만 나무위키에 서술된 내용 전체를 보시면 알겠지만
뭔가 감정적인 적개심마저 느껴질 정도인데
그들조차도 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쓰이지 않는 용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오유 역게에서는 특히 공지 올려달라고 하는 자들,
식민지 근대화론에 긍정적인 자들,
이병도 비판하면 알레르기 반응 보이는 자들은
왜 저 용어를 당연하게 쓰고 있었을까?

네...
그게 결국엔 알고보니..


서강대 사학과 4년제 학부 출신이자,
대구출생,모 신문사 간부 역임하신,
현재 판타지 소설작가이신,
모 블로거가 주창한 용어란 겁니다.

오유 역게같은 인터넷에서는 뭐 그렇다 치지요.

그런데 학계에서조차 공인되지도 않은 용어를
사학과 대학 교수님들과 그 밑에서 공부하고 있는 석박사님들이
마치 공식적인 용어인듯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알고 계십니까?

심지어 어떤 자들은 대학교 관련 공식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저 학부출신 블로거 이름까지 말하면서
(제가 보기엔 저 블로거를 찬양하는 듯한 뉘앙스로) 당연하다는 듯이 '유사역사학'이란 용어를
쓰고 있더군요.

이러더니 급기야 최근 신문 기사에서 조차 ..
소위 대학교수님이란 분도 이런 용어를 서슴없이 쓰고 있더군요.

[열린세상] 디지털 원시사회를 벗어나는 길/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기사입력 2016-01-20 02:02

(중략)

최근 인터넷에 도는 유사역사학의 허황된 이야기나 예언 또는 의학정보를 진실처럼 믿는 사람이 많아진 것도 이런 경향과 맞물린다. 극히 제한된 정보를 믿으며 고립돼 살아간다는 점에서 원시사회의 모습과 비슷한 ‘디지털 원시사회’라고 할 수 있다.

..........................

사학과 교수님조차 신문지면이라는 공적인 영역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저런 용어를 쓰고 있군요.
저 블로거님 정말 대단하지 않습니까?
학계에서 공인된 용어도 아닌데 사학과 교수님조차 학부생 출신 블로거님이 주창한 용어를 쓰고 있으니..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