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공지의 지역감정유발 금지 조항에 대해,,,,
게시물ID : sisa_66107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플래티넘♪
추천 : 1
조회수 : 307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6/02/10 20:31:32
옵션
  • 창작글
  • 외부펌금지
지역감정 조장글이라는 범위 내로 보면
원색적인 비난이나 힐난을 금지하라는 규정으로 보일 뿐이지
지역 자체를 언급하지 말라는 규정은 아닌 것으로
저는 해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시사게의 많은 분들은
특정 지역의 이름만 나와도 지역감정 조장이라고 하시는 것과
그런 분이 적지 않다는 점은 단 한단어의 규정이 가지고 있는 권한을 넘어서는 월권 행위가 아닌가? 
생각이 들 때도 있더군요.

그게 마치 시사게의 많은 분들이 운영자의 단 하나의 단어로 무시무시한 힘을 휘두르고 계시는 듯한 느낌까지도 받았었습니다.

이 부분에서 제가 느낀 점은 합리적인 수위 안에서의
 (원색적인 비난이나 힐난이 아닌 최대한 객관적으로 해야한다는 약점이 생기긴 합니다.
그것을 벗어나는 수위에는 현재의 오유로서는 신고제도나 비공감제도로 인한 신고로서 되어야하지만 
애초에 시사게에 한해서는 블라인드 시스템이나 아예 다른 공간으로 댓글을 옮겨버리는 기능들이 필요해보입니다.
더군다나 예민한 시사게에서는 현재의 제도로는 다른 부분들에서도 부족함이 많아보이구요.)

그 지역의 이기주의에 관한 비판이나,
그동안에 해왔던 그들의 업과 과오는
분명히 시사게에서도 충분히 따져서 올려봄직하고
 수위조절만 한다면 허용되는게 맞다는게 당연한 생각 같은데

지역이라는 단어, 특정 지역 단어 하나만 나오면 이성이 마비되고 
오로지 그 지역에 동일시 되신 분들 처럼
글과 댓글을 올리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 지역이라는 대표성이 나왔을 때,
어떤 행위를 했던, 어떤 사람과 집단들을 대표해서 말하는 지를 먼저 따져보지도 않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의 실질적 문맹률과 지역이라는 프레임에 누가 갇혀있는지 스스로에게 먼저 질문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나는 특정 지역이라는 단어가 나왔을 때 내가 격렬히 반대하고 동의하지 않았음에도 피해자라고 느끼시는지?"

"상대방이 지목 하고 있는 특정 지역의 대표성이 어떤 사람들을 가리키고 있는지 생각은 해보았는지?"

 "그 행위가 욕을 얻어먹어도 합당한지 안한지를 따지지않고 오로지 지역이라는 이름에 사로잡혀 있었던건 아닌지?"

 간단한 예시로 얼마전 돌아가신 김 전 대통령님의 민주화 운동의 발걸음은
정말 크고 누구나 하기 어려웠던 점 이 있습니다.

그러나 후세의 평가는 "삼당합당"이라는 과오로 인하여
 업을 넘어서는 과오를 저질렀다고 평하는 사람들이 참 많습니다.

 누구든 전라도의 대표격을 가진 도시 '광주'
경상도의 대표격을 가진 도시 '대구'와 '부산'
서울 전체 대표격 '서울' 그 자체
충청도의 대표격 도시 '대전' 등등

여러 사람들이 특정 지역을 언급하는 것은

 그 지역 전체를 대표하는 단어로서 써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특정 지역에 대한 차별이니 비하라고 단순 치부하시는 분들 또한 많습니다.

 그리고 현재 논란이 되고있는 지역명칭, 지역에 관한 부분에서

그 지역의 대표성에서 과거의 업 또한 있겠지만

현재의 과오가 더 많고 그 과오로 인하여
비판이나, 비난 (절대 힐난이나 원색적인 비난이 아님을 밝혀둡니다.) 을 받는다면,

내가 그 비판이나 비난 받을 일에 동조했는지 안했는지 그 동조를 했다면 비판 받는 것이 마땅하지만
그 동조에 일조하지 않았다면,
그것은 나를 향한 비판과 비난이 아닙니다.

오히려 내가 강제적으로 소속되어있지만,
 나는 그러지 않았으니 더욱 당당해져야 하는 것입니다.

 지역이라는 프레임에서 먼저 일어나세요.

지역은 행정구역 일 뿐입니다.
그 지역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콘크리트를 깨부시는 것은 더더욱 힘들어 보입니다.

 많은 분들이 지역이라는 프레임에 사로잡혀버리셔서
합리적인 생각을 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너무 많은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에
 
부족한 생각과 비루하기 짝이 없는 글이지만
몇자 적어봤습니다.

 
제 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보이는 점이나, 관점에 대해서
따가운 말씀 나눠주신다면
저도 열린 생각으로서 받아드리도록
좋은 말씀과 댓글들 부탁드립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