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당원가입 열풍, 수도권 30~40대 남성이 주도
게시물ID : humorbest_117393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반백백마법사
추천 : 73
조회수 : 3393회
댓글수 : 13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5/12/24 16:21:29
원본글 작성시간 : 2015/12/24 15:55:36
“온라인당원가입 열풍은
 
당의 통합과 정권교체 열망 표출된 것”
 
- 23일 ‘온라인당원가입 열풍, 의미와 과제는’전문가 긴급토론회 열려
 
-“일주일만에 6만5천여명 가입..수도권 30~40대 남성이 주도”
 
-“감동·희망 주면 당원가입 다시 폭발...당원들과 지속적 교류 필수”
 
-“전자민주주의 가능성 활짝 열어..정치 활성화에 기여”
 
-“탈당과 분열 등 기회주의에 국민 분노..네트워크정당 주력상품 내야”
 
-“직접민주주의 플랫폼 정당은 일상민주주의 기반..당 풀뿌리 재건해야”
 
-“정권교체 열망의 수문이 열리면서 대규모 입당 불러와”
 
-“기울어진 여론에서 극단적 편파보도 아닌 국민 밑바닥 정서에 호응해야”
 
새정치민주연합이 정당사상 최초로 온라인당원가입을 시작하자 신규당원가입 열풍이 불었습니다. 신청을 받기 시작한 16일부터 약 1주일만에 무려 7만명에 가까운 시민들이 새로 당원에 가입했습니다. 말 그대로 ‘당원가입 쇄도’였습니다. 자발적 의지로 당원 가입한 이 분들은 새정치민주연합의 혁신과 통합을 바라는 열망과 민주주의 회복 그리고 정권교체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분들입니다.
 
 
홍종학 의원실은 이런 당원가입 열풍 혹은 쇄도의 의미를 짚어보고 향후 당의 과제와 진로를 모색해 보는 긴급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12월 23일(수)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홍종학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디지털소통본부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는 문용식 디지털소통본부장이 발제를 맡고 김호기 연세대 교수, 김의겸 한겨레신문 기자, 임채원 서울대 국가리더십연구센터 연구원, 김헌태 매시스컨설팅 대표, 최민희 의원이 토론자로 참가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발제를 맡은 문용식 디지털소통위원장은 “연말까지 당원가입이 10만명까지 무난하게 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에 신규가입한 당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 40%대로 가장 많고 그 다음 40대와 20대가 많습니다. 70대 어르신도 209명이나 됩니다. 고마운 분들입니다. 성별로는 남성이 70%로 많습니다. 요컨대 ‘수도권에 거주하는 30~40대 남성’이 이번 신규가입의 주류였습니다”라고 당원가입 현황을 설명했습니다.
 
 
문 위원장은 또 “당원가입 열풍이 분 것은 탈당을 넘어 분당되는 것 아니냐, 이로 인해 내년 총선에서 박근혜 정부를 심판하지 못하고 장기집권의 길을 열어주는 것 아니냐는 국민들의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런 걱정 때문에 새정치민주연합에 도움을 주자는 위기감이 우리 당 지지자들을 응집시켰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새정치민주연합의 감동을 주고 기대감과 희망을 증폭시켜준다면 당원 가입이 다시 폭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토론자로 참석한 김헌태 매시스컨설팅 대표는 “온라인당원가입은 건전하고 높은 수준의 정치참여를 가능하게 합니다. 단순히 특정 인물을 지지하는 캠페인이 아니라 지난 선거에서 야권이 패배한 이후 야권지지층 침체국면에서 지지자들이 정당에 관심을 갖고 활성화된 지지층으로 변화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또 전자정당, 전자민주주의가 그동안 논의되어 왔는데 최민희 의원의 법안이 그 가능성을 더 크게 열어준 것입니다. 정치전반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역시 긍정적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김의겸 한겨레신문 기자는 “이번에 당원가입 사연이 684개가 들어왔다는데 사연을 보니 당의 일부 의원들이 정권교체보다 당대표 교체에 열을 올리는 데에 진저리를 치고 있습니다. 탈당 같은 기회주의적 모습에 국민들이 분노하고 응징하고자하는 마음이 최근 당원가입 열풍에 담겨있을 것입니다. 총선 전에 야당은 통합해야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모든 통합이 다 옳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당의 통합을 위해 문재인대표가 물러나야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당은 붕괴합니다. 목욕물을 버리면서 아기까지 버리는 것입니다. 위기일수록 정통성이 필요합니다. 두려워해야 할 것은 나눠지는 것이 아니라 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우왕좌앙 갈팡질팡하는 것입니다.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 아랫배에 힘 주고 뚜벅뚜벅 걸어가시길 바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 “앞으로 네트워크 정당을 출범시키는데 성공스토리가 있는 주력상품을 만들어낼 지가 중요합니다. 또 규제를 확 풀어서 오프라인 번개도 치고 인적 네트워크를 잘 운용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임채원 서울대 국가미래연구센터 연구원은 2012년 마크 스티어스의 ‘일상민주주의’와 2015년 미국 힐러리 클린턴 후보의 출마선언에서 나온 ‘일상 민주주의’(everyday democracy)‘ 등을 인용하며 “일상 민주주의의 중요한 기반은 직접 민주주의의 요소가 강조된 플랫폼 정당”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영국 노동당의 플랫폼 정당을 언급하며 “한국정당에는 노사모, 개혁당 등 익숙한 주제이며 이미 이런 형태보다 더 발전적으로 진화해 왔습니다. 한국에서는 대형 커뮤니티 공론장이 활성화되어 개인이 자유롭게 의사를 표출하고 공감하며 공론을 형성하고, 그렇게 생산한 나레이티브를 축적, 퍼나르기하며 확장되고 있습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밖에 영국 노동당의 SCA(Shadow Communication Agency),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풀뿌리조직화 혁신(Marshall Ganz의 혁신) 등을 사례로 들며 “현재 새정치민주연합의 풀뿌리 조직은 빈사상태의 취약성을 보이고 있으며 새로운 전환적 활력이 요구된다”고 지적하면서 당의 풀뿌리 조직 접목, 뉴욕타임즈를 벤치마킹한 디지털 뉴스룸 구축 등을 제안했습니다.
 
 
김호기 연세대 교수는 “물이 흐르는데 수문이 열리려면 수문을 막던 제도가 바뀌어야 합니다. 수도권의 30~40대 남성 등 새정치민주연합 적극지지층의 위기의식이 대규모 입당으로 이어졌다고 보여집니다. 또 정권교체의 열망이 높아지자 온라인입당 수문이 열리면서 대거 가입한 것입니다. 정당에 가입해서 지지해주면 이에 정당은 응답을 해야합니다. 그래야 지속가능합니다. 당원들에게 매일 어떤 서비스를 줄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합니다. 정치를 일상 속으로 끌고들어와야 합니다. 이 방향으로 가서 정책플랫폼 전문가와 시민들의 집단지성이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최민희 의원은 “안철수 대표 탈당 이후 여론흐름은 3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새정치민주연합이 무너지지 않길 바라고 지지하는 국민 밑바닥 정서, 둘째, 1대 9 정도의 언론지형에서 여전히 새정치민주연합을 두들겨 패는 여론, 셋째, 문재인 대표 중심으로 가자는 의원총회의 여론입니다. 혹시 우리 당 일부 의원들이 국민 밑바닥 정서는 보지 않고 언론과 호남여론에만 반응하고 있는 것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국민 밑바닥 정서는 빠져있는데, 지지자들에게 반응해야 합니다. 더 적극적으로 당원가입을 독려해야합니다. 기울어진 언론 운동장에서 극단적 편파보도에 의존해 의총 결의를 지키지 못하고 있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 토론회 영상은 아래 주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user/jonghaak
 
출처 새정치민주연합 홍종학 의원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