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도 그렇고 메르스도 그렇고....발생하는 문제들에는 그 배후가 있고, 그 배후는 인격이 아니라 추상화 된 무엇이라는...
간단히, 위 두가지 사건 상황에서의 드러난 문제점은 '정보통제'임. 가만히 있으라는 말이나 병원명 안알려주는거나.
대체로 사고로서 터지게 만든 바탕은 '어른들이 알아서 하니, 니들은 따르기나 해라.' 또는 '니들을 불안하지 않게 해주겠다.' 와 같은 생각임.
국가에 의해 국민은 대상화 되어 통치의 객체가 됨. 정부, 공권력과 민간이 서로 격이 있다는 걸 전제하고 수행하는 정부 측의 행동 방식들은 위 생각을 바탕으로 함.
그런데 질병이나 사고에는 그런 게(격, 객체화) 없거든. 물론 정보를 잘 아는 이가 먼저 도망치기는 하지...질병과 사고는 인간을 차별하지 않음
이 모든 게(정보통제) 사고의 발단에서부터 수습과정까지 일관되게 진행됨.
정보통제 이외, 또 다른 수많은 것들이 배후로서 겹겹히 계층화되어 사고라는 현상을 둘러싸고 있다는.
그런 예를 위의 경우에서는, 문제를 개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접근하게 되는 현상이나, 또 그로인해 발생하는 공공 영역에 대한 사적 영역으로의 치환 정도라고 합시다....정보 통제는 통제의 주체가 문제가 되지만 이건 그렇지 않음. 부지불식 간에 진행되는 것들임.
물론 그 배후의 또 다른 배후가 있을 거임.
그럼, 문제의 형태로 부각된 사고만 그럴까?
아니거든...우리의 일상이 그러한 원리에 지배당하는 거임. 그러다가 어느날 사고를 통해 문제로 부각된 것임.
즉, 다른 수많은 영역도 마찬가지임.
가령,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세금의 성실신고제 같은 제도는, 과세당국이 신고하는 세금에 대해 허위신고의 입증 책임이 있는 상황을 세무신고 대행자에게 넘긴 경우임. 왜냐면 그거 다 확인하려면 세무서가 비대해지고 인력이나 예산이 많이 드니까.
세무 영역만 그런게 아니라는거. 공적인 영역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사회의 수많은 업무와 분쟁들이 사적인 영역으로 넘어감.
정부도 이런 체계의 한 구성원이자 당사자이기에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보는 처지임. 숲속에서 어떻게 숲을 본단 말이냐....
그렇다면....우리 사회의 모순점들에 대해 공감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내 생각에는 이런 사람들은 하다하다가 안되어서
`그냥 포기하고 나 혼자 잘 먹고 잘 살련다` 라고 생각하게 되는 순간이 아마 수없이 닥쳤을 거라고 생각함.
그래서...
위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연구하고, 궁극적으로 공감하는 모든 사람들이 혁명으로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는 모임을 만들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었슴.
이름은 언어 혁명 학술회-'개념 혁명'을 목표로 함
과정 자체만이 의미가 있고, 애초 결과 앞에서는 좌절을 위해 마련된 모임이라고 생각함.
이런 집단이 사회에서 발언할 기회가 있다면 최소한 이 사회가 50대 들어 남의 말귀 못알아먹는 문맹수준으로는 유지되지 않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함.
참고로 한국사회의 50대 이상 실질 문맹률은 30%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