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101세 철학자 김형석 "한일관계 방치, 젊은이들 희망 빼앗는것"
게시물ID : sisa_117886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핑거포스
추천 : 5
조회수 : 645회
댓글수 : 8개
등록시간 : 2021/09/01 09:29:26

https://news.v.daum.net/v/20210831112335261?x_trkm=t

 

산케이신문은 한국에서 현자(賢者)로 존경받는 김 명예교수가 지난 7월 자사의 인터뷰 요청에 응했다며 30일 웹사이트와 31일 자 지면을 통해 관련 내용을 소개했다.

보도된 내용에 따르면 북한 평양 태생으로 일본 조치(上智)대학을 나온 김 명예교수는 공산주의 체제에선 가족 간에도 진실을 말할 수 없다며 "진실과 정의, 인간애가 없어진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에선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마오쩌둥(毛澤東·1893∼1976) 시대의 강권 체제로 돌아가려 하고 있고, 홍콩에서도 민주파 탄압이 계속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70년 이상 전에 자신이 평양에서 체험한 자유와 진실의 상실이 지금 홍콩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언급한 뒤 중국의 강권 사상이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것은 큰 불행이라고 말했다.

김 명예교수는 문재인 정부가 언론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자유가 없어져 북한이나 중국처럼 되면 인간애도 파괴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산케이는 문 대통령의 '반일 성향'과 관련해 "(일본 강점기에) 항일운동하는 것 같은 애국자로 존경받고 싶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이 김 명예교수의 분석이었다고 설명했다.

보도된 내용에 따르면 북한 평양 태생으로 일본 조치(上智)대학을 나온 김 명예교수는 공산주의 체제에선 가족 간에도 진실을 말할 수 없다며 "진실과 정의, 인간애가 없어진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에선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마오쩌둥(毛澤東·1893∼1976) 시대의 강권 체제로 돌아가려 하고 있고, 홍콩에서도 민주파 탄압이 계속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70년 이상 전에 자신이 평양에서 체험한 자유와 진실의 상실이 지금 홍콩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언급한 뒤 중국의 강권 사상이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것은 큰 불행이라고 말했다.
김 명예교수는 문재인 정부가 언론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자유가 없어져 북한이나 중국처럼 되면 인간애도 파괴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해방 후 친일파를 배제했던 북한과 다르게 한국은 친일파를 그대로 두었기 때문에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이라는 정통성에서 뒤진다는 역사관을 문 대통령이 갖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산케이는 문 대통령의 '반일 성향'과 관련해 "(일본 강점기에) 항일운동하는 것 같은 애국자로 존경받고 싶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이 김 명예교수의 분석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한일 관계는 미래로 나아가야 하는데 문 대통령도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도 과거를 질질 끌며 해결하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악화한 양국 관계를 방치하는 것은 "향후 20~30년의 한일 젊은이들의 희망을 빼앗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의 생각에 변화의 기미가 없다고 지적하며 정권 교체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고 전했다.

일본과 아시아의 향후 50년은 일본의 선택에 따라 향방이 결정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는 김 명예교수는 문재인 정부가 중국에 기대어 북한과 통일할 수 없을까 생각하고 있는데 50년 후에는 이 생각이 큰 잘못임을 알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산케이는 덧붙였다.

 

 

 

 

자발적 노예를 스스로 자처하는 분이군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