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통념적인 신의 속성 신이라는 개념은 철학 과학 논리학이 발달 되기전 종교에서 가장 먼저 발생되었다. 시간순으로 토테미즘이나 샤머니즘 등의 고대의 신은 주로 자연적 현상을 관장하는 능력 즉 인간의 이해를 벗어나는 현상(번개, 화산, 지진, 등)을 일으키는 존재 였다. 이는 후대의 종교에서도 포함되는 속성이지만 후대의 신은 각 종교의 교리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박애, 희생 등 공리적 인간성을 포함하게된다. 또한 형태도 주로 인간의 형태와 유사한 면이 있다. 대표적으로 기독교의 신은 인간을 사랑하며 그들의 믿음을 요구한다. 불교의 신은 이보다 조금 더 인간에 가까운 존재다. 인간이 깨달음을 통해 신의 경지에 다다르는 형태이다. 요는 인간이 어떻게든 종교에 의존또는 반대로 의존을 요구한다. (아무런 인격이 없는 화성에나 토성에서 신이 박애와 자비를 설파하는 모습은 상상되지 않는다) 이는 상호의존성이라 하겠다. 따라서 통념적 신의 속성은 자연현상의 통제성, 인성, 상호의존성을 포함한다. 2. 관념적, 논리적 신의 속성 여기서의 신은 종교에서의 신과는 조금 다른 점들이 있다. 플라톤의 어떤 절대적 실체, 이데아에 가까운 존재이다. 이러한 신은 절대적인 속성들의 집합이며 모순점이 없고 논리적으로 완전한 어떤 실체 혹은 관념이다. 일찌기 괴델이 죽기전에 수학적으로 증명하고자한 '신'이 이에해당한다(비록 절대 '선' 개념 등 불명확한 명제로인해 실패하였지만) 여기서 말하는 신이 우주를 관통하는 어떤 일관된 법칙을 말한다면 '반드시 존재한다'라고 말할수도 있을것이다. 하지만 어떤 '올바른', '균형을 유지하는' 등의 언어적으로 불명확한 성질을 포함한다면 증명하기 까다로워지는 것이다. 확실한 성질만 적어보자면 절대성, 논리적 완전성, 필연성이 포함된다. 3.통념적인 신은 관념적인 신에 포함될수있는가? 종교적인 신은 인성을 통해 신성을 완성하는 형태가 많다. 또한 인간과의 상호의존성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관념적인 신이 통념적인 신이 되기 위해서는 인성 자체에 신의 성질이 깃들어 있어야 할것이다. 또한 여기서 인성이라함은 다른 생물들과 구분되는 특성이 요구된다. 그렇지 않다면 경계는 점점 확장되어 모든 물질에 신이 깃들어있다고 해야할것이다. 이는 인성이 무생물과 구분될때야 나타나는 성질이므로 인성에 뚜렷한 경계를 긋지 않는다면 위의 가정은 명백한 오류다. 감정을 느끼는 동물들의 예를 제치고 발견하기 힘들지만 어떠한 인간만의 속성이 있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이제 상호의존성에 대해 생각해보자. 위에도 언급했듯 아무것도 없는 공허 속에 홀로 존재하는 신의 모습은 ㅇㅓ딘가 이질적이다. 통념적 신의 모습은 인간을 자애롭게 바라보거나 때론 모질게 훈육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닮았다. 어떤 자가 아버지라 함은 아내의 남편또는 자식의 부모로서의 관계로 그 역할을 수행하 는 자로 볼수있다. 이는 신이 인간의 아버지라 하는게아니고 인간과의 관계가 필수적인 존재라하겠다. 자 그럼 여기서 하나의 가정을 해보자. 어느날 전쟁이 발발해 수많은 인류가 절멸했다고 하자. 지구상엔 더 이상 인격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 신은 어디로 갔을까? 인간을 제외한 모든것이 온전하며 여전히 들판에는 꽃이 피고 야생의 자연은 살아 숨쉬는데 그곳엔 신이 존재 하지 않는다? 관념적 신은 존재하기 때문에 존재하는것이지 존재하기 위해서 존재하는것이 아니다. 따라서 통속적 신의 의존성은 명백히 관념적 신의 성질에 위배되는 것이며 이는 기존 종교의 교리 의 잘못된 해석 또는 결국 그네 신의 부재를 뜻하는것이다. 4.결론 이 우주에서 신의 속성을 가장 많이 가진것은'성운'이라고 하는 글을 본적이 있다. 어떤것의 속성이 유사하다고 그 본질이 같지 않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오류이다. 하지만 어떤 이데아라 함은 절대적인 속성을 지니는 유일한 것이므로 더욱이 그 속성이 그 본질의 핵심이므로 그것을 판별하는 유일한 방법 또한 속성을 비교하는것이다. 만약 후대의 과학자가 절대적이고 유일하며 모든 것을 포함하며 영원한 어떤것을 발견한다면 우린 그것을 신이라고 불러도 전혀 모순이 없는것이다. 또한 이러한 속성에 비추어 우리가 발견하든 스스로 발견되어지든 관념의 신은 현미경이나 망원경에 있지않고 우리 뇌속에 존재하는것만은 분명하다.
글 잘 보았습니다. 논리적인 해석이 불가능 햇던 이유가 먼저 괴델의 학문적 관점에서 이데아는 설명이 불가능합니다. 이데아는 존재하나 공간과 시간 완전한 균형과 질서를 논리적으로 해석하면 공허나 무 라고 봅니다. 공간의 모든끝에 이데아는 존재합니다. 공허만이 완전한 균형과 질서를 내포하기 때문일 껍니다. 선도 악도 없는 빛과 어둠또한없는 이것이 바로 이데아론적 신의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성운안의 유한한 운행은 완전한 신의 모습일수 없다는게 제 결론입니다.
이데아를 절대적 균형을 가진 관념적인 존재로 보시는 부분은 이해하겠습니다. 또한 그렇기에 공허한 존재라고 볼수도 있겠죠. 저는 우리에게 좀더 친숙한 종교의 신이 어떤 이데아적 조건을 만족한다면 이데아의 하나의 표상이나 현상의 일부로 해석해도 될지 궁금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정답을 옆에두고 해매는 꼴일지도 모르니까요.
신은 인류와 함께왔습니다. 호모사피엔스는 종교적동물이라해도 틀린말은 아니죠. 왜 지헤를 가진 인간이 신을 생각하게됐을까요. 자신의 존재에대한 의문이조 과학이 아무리 발달해도 인간존재에대한 의문이 있기에 ‥ 인간이 알지 못하는 그너머에 신이 존재하는거지요 빅뱅으로 우주가 생겠고 그 속에서 인류가나왔다지마ㄴ‥ 인간은 모릅니다 · 왜 빅빙이 일어났고 그 이전은 무었인지 알수없조 어떻게 보느냐가 핵심이지요
철학,과학이 근대만 발달했다구요? 그 결과물이 근대에 나온거지. 그 이전부터 학자성 성질을 가진 이들은 이전에도 타고났지요. 그럼 고대인들, 우리 조상들은 모두 바볼까요? 왕조를 세우면서 학자,정치인,철인들을 등용해 써온 역사는 바보들의 역사였나보네요. 글 자체가 과학적인 단어나 명제를 썼겠지만, 고대는 바보고, 현시대만 학술적 용어써가는 이만이 뭔가 우위에 있다. 같은 의식은 좀 가소롭군요. 아담은 천살 가까이 살고, 그후대로 올수록 점차 수명이 줄어들었어요. 과학의 발전 이면에는 대량살상의 큰 전쟁과 그로인한 전횡이 높아졌겠지, 그 자체로 큰 과학적 발견이라곤 보이지 않네요. 물론 비교우위로 이전 시대보단 잘나보이지만, 그렇게 고대인들과 달라 보이진 않아요. 글을 읽어보면, 신의 존재를 찾기 찾아봤는데, 그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입장으로 의식이 정해졌나본데, 그러면서 어디서 신의 존재를 찾는건지요. 이런 얘긴 들어봤죠. 인간의 선악과 그것의 전횡으로 신이 저 멀리 멀어졌다구요, 그렇게 한가하게 학문하면서 세상의 신이 정의돨까요? 천국에선, 학자들의 자리가 제일 낮은 위치에 있죠, 한국에선 학문,공부가 곧 출세와 같은거라, 제일 높은 자리에 들어서, 돈들여 교육받는게 젤 중요하지만, 천국에선 생명의 구원이 더 중요해, 다른이에 비해 낮은 위치할수밖에요. 극단적으론 학문,논리 자체가 세상을 구원할것이라기 보다, 한국의 특수한 상황으로 거기에 모든걸 거는것일뿐이죠. 일본 제국주의에 나라잃고 비참한 전쟁으로 몰렸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