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미국, 임대사업자도 망한다?????
게시물ID : sisa_118293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딱좋아
추천 : 1
조회수 : 714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21/11/04 11:11:38

1 미국도 땅장사, 집장사는 땅짚고 헤엄치기다

 

 

2 더구나, 집값이 버블이라고 걱정을 할 정도로 활황이다

 

 

3 그래도 망한다. 정확히는 엄청나게 손해를 봤다. 7천채의 집을 팔기로 했다

 

https://www.theverge.com/2021/11/1/22758176/zillow-offers-ibuyer-housing-market-inventory-investors-real-estate

 

 

4 집은 상품이 되면 안된다. 끝이다^^;; 집은 거주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다뤄야 한다

 

거주권이 아니라, 소유권이라도... 거주 목적의 소유만이 인정되어야 한다

 

 

5 말했듯이, 집을 상품으로 다루면 그 가격을 끝도 없이 올릴 수 있다

 

ㄱ 해외의 구매자에게 무제한적으로 사게 한다

 

ㄴ 임대사업을 대대적으로 지원한다^^;;; 문재인 정권!!!!!


ㄷ 정부가 보장하는 모기지를 무한대로 지원한다

 

ㄹ 그 외에도 세계가 '집값을 올리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은 끝이 없다

 

 

************그리고, 집값은 버블이 꺼질 때까지 오른다********************

 

 

6 전세계 어디를 봐도, 집을 최대한 공급해도, 가격을 잡는 나라가 없다

 

수요와 공급? 이와 같은 개소리가 여전히 먹히는 게 놀랍다

 

한정된 자원의 상품화? ㅋㅋㅋㅋㅋㅋㅋ 공급이 정해져 있다는 말이다. 거기에 독과점?ㅋㅋㅋㅋㅋㅋ

 

독과점을 인정하는 자본주의 경제학은 없다...

 

 

7 임대사업은 개인만이 하도록 조정을 해야 한다... 임대사업에 기업이 개입한다? 끝장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8 문제는 주택이 GDP의 커다란 부분이 된지 오래라는 거다...ㅠㅠ

 

돈만 쫓는 사상을 가진 애들에게, 집을 상품으로 안보는 시각은 재앙이다. 정확히는 죽이고 싶은 세력일 것이다

 

 

9 토지의 독과점이 삼국지 시대의 배경이다. 인구의 9/10가 죽어나가는 전쟁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토지의 독과점은 반복되기만 했고, 정책적 해결은 수백년이 걸렸다

 

정확히 말해서, 다들 정답은 알고있었다^^;; 다들 기득권의 반발이 무서웠을 뿐이다

 

그래서 전쟁을 수도 없이 반복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