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재명의 육아 공약이 불안한 이유는?
게시물ID : sisa_118432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딱좋아
추천 : 0/2
조회수 : 594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21/11/23 15:35:26

1 초등학생은 3시까지 학교에서 공부하다, 7시까지 육아를 해준다고 한다

 

 

2 미국의 민주적 사회주의자들은 어떻게 했나?

 

핵심은 부모 둘 중 하나만 일해도 3~4명의 아이들은 키울 수 있는 월급을 주장했다

 

 

3 기업들이 충분한 돈을 버는데도, 정부가 나서서 육아를 대신해주는 것으로 "기업에 보조금"을 준다???

 

 

4 물론, 이런 모델로도 행복한 나라를 만들 수 있을 거다. 복지국가 모형이다

 

이는, 수혜자들이 많은 세금을 내는 것을 전제로 한다ㅠㅠ

 

우리는? 가난한 서민을, 없는 자들을 뜯어서 이런 "부자 복지"를 할 수도 있다

 

현실이 그러했다

 

 

5 이런 노동을 공짜로 시킬 것인가? 학교 선생님들에게?ㅋㅋㅋ 아님, 돌봄 노동자를 새롭게 고용할 것인가?

 

 

6 사실상, 부자들에 대한 증세는 없었다. 감세만 있어왔다

 

 

7 아빠만 일해도 먹고살던 가정에서, 아빠 엄마가 모두 일하고도 애 둘 키우기 어려운 사회를 만들어 왔다

 

 

8 대세를 거스를 수 없다고 했을 때, 이재명의 공약도 "기업 복지"란 틀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9 한국에서 결혼을 해서, 아이를 갖는다는 것은 "가진 자" 축에 든다

 

 

10 왜 가진자들을 돕는 정책만 줄기차게 도입될까?

 

가진자들에게 걷어서, 가진자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는 것... 그것이 복지국가 아닌가?

 

 

11 또 이것을 왜 여성들에 대한 복지라고 할까? 정확히는 기업 지원 정책이 아닌가?

 

 

 

결론적으로, 하나의 정책으로 "큰 그림"을 볼 수 없다. 이것이 복지 국가로 가는 길일지, 민주적 사회주의자로 갈지... 

 

아니면, 기업복지 국가... 기생충 기업을 키우는 정책이 될지... 지켜볼 일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기업복지 정책으로 굳을 확률이 높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