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상대를 알아야, 나를 정확히 안다. 미국의 페미니즘
게시물ID : sisa_118484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딱좋아
추천 : 0
조회수 : 51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21/12/01 14:13:59

1 한국의 진보가 수입해 오는 것은, 진보의 논리다

 

 

2 문제는 진보의 논리에도 상대가 있다는 거다

 

 

3 상대의 논리에 맞서, 이쪽의 논리도 정리된다

 

 

4 문제는, 한국엔 보수의 논리가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거다

 

 

5 미국의 보수조차도,  민주주의와 자유 그리고 인권이 없다면 경제적 발전도 없다고 믿는다

 

 

6 한국의 보수는 어떠한가? 독재로 발전했다고 한다. 미국엔 없는 논리다

 

 

7 미국의 페미니즘은 왜 힘이 있을까?

 

ㄱ 말했듯이, 강간이 제대로 처벌받지도 않는다

 

ㄴ 다음의 기사는 정치-과학 교수가 엔지니어링, 법, 의료 쪽에는 여성이 필요없다는 기사다

 

https://www.thedailybeast.com/scott-yenor-boise-state-university-professor-calls-for-women-to-be-kept-out-of-engineering-and-law?ref=home

 

ㄷ 여성이 일하지 말고, 가정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거다

 

ㄹ 이는 자본의 이득과도 상충된다

 

ㅁ 그럼, 왜 이런 논리가 다수의 공감을 받을까?

 

ㅂ 상식적으로, 이 따구 논리가 많은 이의 공감을 받을 수 없지 않나?

 

ㅅ 이런 논리와 싸우니, 페미니즘이 힘을 갖는 거다

 

 

8 한국에서 가정이 붕괴됨으로 생기는 문제를, 여성을 가정으로 돌려보내서 해결하자는 주장이 있을까? 없다

 

 

9 한국에는 없는 현실, 한국에는 없는 주장에 대한 반론을 수입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10 뜬금없는 주장이 되고, 자다가 봉창을 두들기는 일이 된다

 

 

11 위의 주장은 전통적 가정에 대한 추억과 기억, 그리고 또 현실로 존재하는 '가정주부'가 있는 가정에 근거할 것이다

 

 

12 핵가족이 선망을 받던 시기, 그것이 도저히 애를 키울 수 없는 구조라는 것에 대한 걱정이 없었다

 

 

13 땜방식으로 고쳐나가는 거다. 자본주의도 그러했다

 

 

14 페미니즘뿐 아니라, 모든 진보의 논리에는 상응하는 보수의 논리, 혹은 자본의 논리가 있다

 

ㄱ 미국에는 왜 총기소지의 자유가 있을까?

 

ㄴ 자경단과 민병단의 기억이다

 

ㄷ 한국의 운동권도 여성에 대한 폭력을 방지하는 자경단을 운영했었다

 

ㄹ 또한, 민병대와 마찬가지인 독립군이 있었고, 의병의 경험은 핏속에 녹아있다

 

ㅁ 하지만, 지금 한국의 진보 중에서 "의병"을 조직하고, 자경대를 조직하자는 사람들이 있을까?

 

ㅂ 90년 대 운동권에서는 있었던 주장이다

 

ㅅ 미국의 보수와 한국의 운동권이 다르지 않았던 거다. 하나는 보수, 하나는 진보다

 

 

15 그럼 자경단과 민병대의 논리, 혹은 전통은 왜 사라졌을까? 합법화됐다. 미국의 의병, 민병대는 다 군으로 흡수됐다

 

미국의 자경단은 공식적으로 경찰과 연대하는 조직으로 남아있다

 

한국에서 자율 순찰단 형태로 존재한다

 

 

16 이런 보수의 전통적 가치를 이해하지 못하면, 미국 진보의 주장은 이상하거나/괴상할 때가 있다

 

 

17 정치적 올바름과 정체성 운동도 마찬가지다. 보수가 공격하는 정체성과 주장하는 올바름이 있다

 

 

18 문제는 한국의 보수들이 미국의 보수가 주장하는 정체성과 올바름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거다

 

미국 보수가 퇴보하면서, 많이 비슷해져다고 있다

 

 

19 재밌는 것은, 한국의 진보가 미국의 논리를 수입하면, 반대되는, 주장이 자생적으로 생기기도 한다는 거다

 

 

20 진보가 자극해서, 없던 보수의 논리가 발생하는 거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