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버니 샌더스 연설문 읽어보셨나요?
게시물ID : sisa_68207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알아볼까
추천 : 6
조회수 : 125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6/03/09 21:34:51

미시간 에서 힐러리를 꺽으면서 버니 샌더스 돌풍이 다시 시작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언론을 통해서 대략적인 그의 주장을 전해 들었지만 그의 연설문을 접할 기회는
많지 않았지요...

이번 뉴스프로 창간 2주년 국제 중고교 번역 경시대회를 개최하면서 버니 샌더스의 연설문을 채택하였고 

최우수작 학생의 소감과 번역문을 발표하여 많은 분들이 버니 샌더스의 주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드리고자 합니다.

중요한 부분은 강조해서 포스팅 할테니 그의 사상과 철학을 느껴보세요,...


그리고 버니 샌더스의 연설문중 상당 부분은 우리나라 상황과 매우 흡사하다는 점 
잘 기억해 두시고 청년층의 정치 참여와 장년 노년층의 시대적 각성에도 매우 중요한 연설문입니다.

이러한 명 연설문 번역 소개는 사실 국내 주류 매체들이 반드시 해야 할 일인데도
버니 샌더스에 대한 심층 소개는 별로 없는 편인듯합니다.

읽고 도움이 되었다면 널리 알려주세요
일부러 뉴스프로 사이트 한번 클릭해주시면 더욱 감사하고요 ^^ 

 

뉴스프로 창간 2주년 기념 중•고교 번역경시대회 최우수작 작품 소개


외신번역 언론 [뉴스프로] 창간 2주년 기념 중•고교 번역경시대회 최우수상을 받은 한국 외국인학교의 이혜준 학생의 수상소감, 장래희망을 들어보고 수상작품인 이혜준 학생의 번역문을 소개한다. 이혜준 학생에게 다시 한 번 축하드린다.


최우수작: 이혜준

photo_2016-03-09_11-10-14

한국 외국인학교 이혜준

저는 한국 외국인학교 11학년에 다니고 있는 이혜준입니다.

이런 큰 번역대회에 참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는데 이렇게 큰상을 받게 되어 너무 기쁘고,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신문 수상자 명단에서 제 이름을 봤을 때 얼마나 얼떨떨했는지..몇 번이나 다시 봤어요.

애기 때 미국에서 살다가 돌아온 후 5학년까지 한국에서 학교를 다니다가 가족들과 캐나다, 상해에서 중학교 시절을 보냈습니다. 외국에 살면서도 한국 뉴스를 보면서 한국말을 잊어버리지 않으려고 노력했던 것이 번역하는데 도움이 많이 된 것 같습니다. 몇 개의 단어들을 옮기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지만 사전을 찾아가며 원문을 반복해서 읽으니 점점 자연스러운 문맥의 글이 되더군요. 무엇보다도 원문을 쓴 사람의 입장에서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고민한 것이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초등학교를 다니면서 제게 꿈을 주신 선생님이 계셨습니다. 그때부터 사회 교육 심리 국제학 쪽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경험과 활동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직 진로를 정하지는 못했지만 저의 작은 재능을 사회에 기여하며 참된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제 초등학교 선생님 그분처럼 저도 그 누군가에게 꿈을 심어줄 수 있는 그런 한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이번 이 경험이 제가 꿈꾸는 일에 하나의 디딤돌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이런 기회를 주신 여러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최우수작 번역문]

Bernie Sanders: My Vision for Democratic Socialism in America
버니 샌더스: 미국의 민주적 사회주의에 대한 나의 비전

Part I

So let me define for you, simply and straightforwardly, what democratic socialism means to me. It builds on what Franklin Delano Roosevelt said when he fought for guaranteed economic rights for all Americans. And it builds on what Martin Luther King, Jr. said in 1968 when he stated that; “This country has socialism for the rich, and *rugged individualism for the poor.” It builds on the success of many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at have done a far better job than we have in protecting the needs of their working families, the elderly, the children, the sick and the poor.

이제 저는 민주적 사회주의가 제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여러분들께 쉽고 간단하게 정의해보고자 합니다. 이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Franklin Delano Roosevelt)가 모든 미국인들에게 보장된 경제적 권리를 위해 투쟁할 당시 그가 했던 말에 기반한 것입니다. 또한 1968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가 “이 나라에는 부자들을 위해서는 사회주의가, 가난한 자들을 위해서는 거친 개인주의가 있다” 라고 언급한 것에 기반을 둔 것입니다. 이는 자국의 근로 계층, 노인, 어린이, 환자 그리고 가난한 이들의 요구를 보호하는 데 우리보다 훨씬 더 좋은 성과를 낸 전세계 많은 다른 나라들의 성공에 근거한 것입니다.

Democratic socialism means that we must create an economy that works for all, not just the very wealthy.

민주적 사회주의는 단지 부자들만이 아닌 모든 이들을 위한 경제를 창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Democratic socialism means that we must reform a political system in America today which is not only grossly unfair but, in many respects, corrupt.

민주적 사회주의는 지극히 불공평할 뿐만 아니라 많은 부분에서 부패되어 있는 오늘날의 미국 정치시스템을 우리가 개혁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t is a system, for example, which during the 1990s allowed Wall Street to spend $5 billion in lobbying and campaign contributions to get deregulated. Then, ten years later, after the greed, recklessness, and illegal behavior of Wall Street led to their collapse, it is a system which provided trillions in government aid to bail them out. Wall Street used their wealth and power to get Congress to do their bidding for deregulation and then, when their greed caused their collapse, they used their wealth and power to get Congress to bail them out. Quite a system!

지금의 시스템은, 예를 들면 1990년대 월스트리트가 규제철폐를 위해 로비와 선거자금에 50억 달러를 쓰는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10년 후, 월스트리트의 탐욕과 무모함, 그리고 불법적 행위가 그들의 붕괴로 이어졌을 때, 정부가 나서 수조 달러를 들여 구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했습니다. 월스트리트는 자신들의 부와 권력을 이용해 의회에서 규제를 없애도록 했고, 이후 그들의 탐욕이 붕괴를 일으켰을때 자신들의 부와 권력을 이용해 의회가 그들을 구제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대단한 시스템이지요!

And, then, to add insult to injury, we were told that not only were the banks too big to fail, the bankers were too big to jail. Kids who get caught possessing marijuana get police records. Wall Street CEOs who help destroy the economy get raises in their salaries. This is what Martin Luther King, Jr. meant by socialism for the rich and rugged individualism for everyone else.

더욱 어이가 없는 것은, 은행이 너무 커서 도산하게 놔둘 수 없으며 은행가들이 너무 중요해서 감옥에 보낼 수 없다는 얘기를 우리는 들어야 했다는 것입니다. 대마초 소지로 걸린 아이들은 범죄기록을 갖게 됩니다. 그런데 국가 경제를 파괴하는 데 기여한 월스트리트 CEO들은 급여 인상을 받습니다. 이것이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말한 부자들을 위한 사회주의와 그 나머지를 위한 거친 개인주의가 의미하는 것입니다.

In my view, it’s time we had democratic socialism for working families, not just Wall Street, billionaires and large corporations. It means that we should not be providing welfare for corporations, huge tax breaks for the very rich, or trade policies which boost corporate profits as workers lose their jobs. It means that we create a government that works for all of us, not just powerful special interests. It means that economic rights must be an essential part of what America stands for.

제 생각으로는 지금이 월스트리트의 억만장자 그리고 대기업뿐만 아니라 근로 계층을 위한 민주적 사회주의가 있어야 할 때입니다. 이는 기업에 대한 복지제공을 중지하고, 부자들을 위한 막대한 세금 우대 조치를 그만두고, 근로자의 일자리는 뺏으면서 기업의 이익만 늘리는 무역정책을 없애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가 힘있는 특수 이익 단체만을 위한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를 위해 일하는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경제적 권리가 미국이 의미하는 중요한 부분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It means that health care should be a right of all people, not a privilege. This is not a radical idea. It exists in every other major country on earth. Not just Denmark, Sweden or Finland. It exists in Canada, France, Germany and Taiwan. That is why I believe in a *Medicare-for-all single payer health care system. Yes. *The Affordable Care Act, which I helped write and voted for, is a step forward for this country. But we must build on it and go further.

이는 의료보험이 특권이 아닌 모든 사람의 권리가 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급진적인 생각이 아닙니다. 이는 지구상의 많은 다른 주요 국가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덴마크, 스웨덴 혹은 핀란드만이 아닙니다. 이는 캐나다, 프랑스, 독일 그리고 타이완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이 제가 “전국민 국가의료보험”을 믿는 이유입니다. 그렇습니다. 제가 만드는 것을 돕고 투표한 “건강보험개혁법”이 바로 이 나라가 나아가야 할 발걸음인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를 더 발전시키고 더 나아가야 합니다.

Medicare for all would not only guarantee health care for all people, not only save middle class families and our entire nation significant sums of money, it would radically improve the lives of all Americans and bring about significant improvements in our economy.

모두를 위한 건강보험제도는 모든 국민의 건강 보장, 중산층의 보호, 그리고 전 국가적인 예산 절약뿐만 아니라 전 미국인의 급격한 삶의 증진 및 우리 경제의 의미있는 발전을 가지고 올 것입니다.

People who get sick will not have to worry about paying a deductible or making a co-payment. They could go to the doctor when they should, and not end up in the emergency room. Business owners will not have to spend enormous amounts of time worrying about how they are going to provide health care for their employees. Workers will not have to be trapped in jobs they do not like simply because their employers are offering them decent health insurance plans. Instead, they will be able to pursue the jobs and work they love, which could be an enormous boon for the economy. And by the way, moving to a Medicare-for-all program will end the disgrace of Americans paying, by far, the highest prices in the world for prescription drugs.

아픈 사람은 의료비 공제 및 고용인 부담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그들은 필요할 때 응급실이 아닌 의사에게 갈 것입니다. 사업자들은 어떻게 직원들에게 의료보험을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걱정을 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내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근로자는 단지 고용주가 제대로 된 의료보험을 제공한다는 이유만으로 좋아하지도 않는 일자리에 갇혀 있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그 대신, 그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과 직장을 추구하게 될 것이고, 이는 전체 경제에 큰 혜택을 가져올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전국민 국가 의료보험의 도입은 전세계에서 단연코 가장 비싼 조제약 값을 지불하고 있는 미국인들의 불명예스런 상황도 종식시킬 것입니다.

 [저작권자: 뉴스프로,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뉴스프로에서 보기] https://thenewspro.org/?p=17950


뉴스프로 창간 2주년 기념 중·고교 번역경시대회 수상자 발표 및 심사평

-버니 샌더스 민주당 대통령 경선 후보 연설문 번역
-최우수작, 내일 뉴스프로에 게시
 
지난주 뉴스프로 창간 2주년 기념 중·고교 영문번역 경시대회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경시대회 번역문은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중 하나인 버니 샌더스의 연설문 일부로서 절대 쉽지 않은 영문이었다. 올해는 작년보다 훨씬 많은 학생들이 경시대회에 참여했고 그중 많은 학생들은 상당한 수준의 번역 실력을 보여주었다.
 
버니 샌더스의 이번 연설문은 민주적 사회주의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내용으로서 버니 샌더스가 일평생을 통해 이루려 노력해온 자신의 신념을 소개하는 글이라 할 수 있겠다. 샌더스는 모든 사람이 경제권을 보장받을 권리가 있고, 단지 잘 살고 힘 있는 자들만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해 제대로 작동하는 제도가 만들어져야 함을 역설하며 부자와 대기업이 정당하게 내야 할 세금을 내고, 온 국민이 의료보험과 교육의 기회를 무료로 제공받으며 주 40시간을 일하는 누구라도 가난하게 살아서는 안 되는 제도가 바로 민주적 사회주의라고 말한다. 그는 이러한 사회를 이루기 위해 투표권을 가진 모든 이가 투표권을 행사할 것을 권한다.
 
총선과 대선을 앞둔 우리의 젊은이들이 이러한 글을 읽으며 국민이 국가와 국가의 수장에 바래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사회는 어떤 것인지를 생각해 볼 기회를 갖게 되기 바라며 편집부는 이 연설문을 경시대회 번역문으로 선정했다. 샌더스가 한 말은 미국인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해당되는 말이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이러한 신념을 평생에 걸쳐 실천해온 이런 지도자를 우리도 언젠가 가질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 모두 관심을 가지고 정치하는 이들을 지켜보고 선거에도 적극 참여해 소중한 투표권을 행사해야 한다.
 
심사는 번역의 정확성을 첫째로 보고 우리말 표현의 자연스러움을 둘째로 보았다. 최우수작과 우수작 외에도 3명의 장려상을 선정했다. 최우수작과 우수작 두 사람의 번역은 사실 우열을 기리기가 어려울 정도였다. 장려상을 받은 3명의 학생도 사소한 실수 외에는 아주 높은 번역 실력을 보여주었다. 모든 참가자들에게 감사드리고 내년의 경시대회에도 더 많은 분들이 참여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 그리고 참가자들 모두에게 이번 경시대회를 보다 열심히 실력을 닦는 계기로 삼으시길 부탁드린다.
 
최우수작은 내일 뉴스프로에 소개된다.
 
[수상자 발표]
 
1. 최우수작(상금 $500과 상장): 이혜준 (한국 외국인학교)
2. 우수작(상금 $300과 상장): 황시은 (기흥고등학교)
3. 장려상(상금 각 $100과 상장):
– 채다연(미, Unionville High School)
– 이민재(진주 대아고등학교)
– 윤서연(미, Okemos High School)
 
상장과 상금(수표)은 메일로 수상자들에게 우송된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버니 샌더스 연설문 발췌본이다.
 

파트 2는 뉴스프로 번역 원안을 올려드립니다..

Part II
 
Democratic socialism means that, in the year 2015, a college degree is equivalent to what a high school degree was 50 years ago—and that public education must allow every person in this country, who has the ability, the qualifications and the desire, the right to go to a public colleges or university tuition free. This is also not a radical idea. It exists today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fact, it used to exist in the United States.
 
민주적 사회주의란 2015년인 현재 대학 학위가 50년 전의 고등학교 학위에 해당된다는 사실과, 공교육이 교육을 받을 능력과 자격과 의지가 있는 이 나라의 모든 이들에게 무료로 공립대학에 다닐 권리를 허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도 급진적인 생각이 아닙니다. 이 제도는 오늘날 전 세계의 많은 나라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사실, 미국에도 예전에 존재했습니다.
 
Democratic socialism means that our government does everything it can to create a full employment economy. It makes far more sense to put millions of people back to work rebuilding our crumbling infrastructure, than to have a real unemployment rate of almost 10 percent. It is far smarter to invest in jobs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unemployed young people, than to lock them up and spend $80 billion a year through mass incarceration.
 
민주적 사회주의란 우리 정부가 완전고용 경제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업률이 거의 10%에 달하는 것보다는, 수백만 명을 고용해 붕괴되고 있는 사회기반시설을 복구하는 것이 훨씬 합리적입니다. 실직한 젊은이들을 위한 일자리와 교육 기회를 위해 투자하는 것이 이들을 감옥에 가두며 대량 투옥 정책에 매년 8백억 달러를 쓰는 것보다 훨씬 현명한 일입니다.
 
Democratic socialism means that if someone works forty hours a week, that person should not be living in poverty: that we must raise the minimum wage to a living wage—$15 an hour over the next few years. It means that we join the rest of the world and pass the very strong *Paid Family and Medical Leave legislation now in Congress. How can it possibly be that the United States, today, is virtually the only nation on earth, large or small, which does not guarantee that a working class woman can stay home for a reasonable period of time with her new-born baby? How absurd is that?
 
*[역주] Paid Family and Medical Leave legislation: 가족의료 휴가법안. 자신이나 가족이 아픈 경우, 혹은 신생아를 돌보기 위해 가지는 유급 휴가를 허용하는 법
 
민주적 사회주의란 누구든 주당 40시간의 일을 한다면 가난하게 살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가 다음 몇 년에 걸쳐 최저임금을, 생활하기에 적합한 임금 -시간당 15달러로 인상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우리가 세계 다른 나라들이 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지금 의회에서 매우 강력한 가족의료 휴가법안을 통과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늘날 크고 작은 지구상의 국가들 중 노동자 계급 여성이 갓 태어난 아이와 적절한 기간을 함께 집에서 보낼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지 않은 나라는 실제로 미국밖에 없다는 사실이 어떻게 가능합니까? 얼마나 부조리합니까?
 
Democratic socialism means that we have government policy which does not allow the greed and profiteering of the fossil fuel industry to destroy our environment and our planet, and that we have a moral responsibility to combat climate change and leave this planet healthy and inhabitable for our kids and grandchildren.
 
민주적 사회주의란 우리의 정부 정책이 화석 연료 산업의 탐욕과 폭리가 우리의 환경과 지구를 파괴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우리가 기후 변화에 잘 대처하고 이 지구를 우리의 아이들과 손자들을 위해 건강하고 살기 적합한 상태로 물려줄 도덕적 책임감을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Democratic socialism means, that in a democratic, civilized society the wealthiest people and the largest corporations must pay their fair share of taxes. Yes. Innovation,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success should be rewarded. But greed for the sake of greed is not something that public policy should support. It is not acceptable that in a rigged economy in the last two years the wealthiest 15 Americans saw their wealth increase by $170 billion, more wealth than is owned by the bottom 130 million Americans. Let us not forget what Pope Francis has so elegantly stated; “We have created new idols. The worship of the golden calf of old has found a new and heartless image in the cult of money and the dictatorship of an economy which is faceless and lacking any truly humane goal.”
 
민주적 사회주의란 민주적이고 문명화된 사회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과 가장 큰 기업들이 정당한 몫의 세금을 내야 함을 의미합니다. 물론입니다. 혁신, 기업 활동, 그리고 사업 성공에 대한 대가는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탐욕을 위한 탐욕은 공공 정책이 지원해야 할 것은 아닙니다. 지난 2년간 인위적으로 조작된 경제에서 미국의 가장 부자인 15명의 재산은 1,700억 달러가 증가했으며, 이것은 1억3천만 명의 하위 계층 미국인이 소유한 것보다 더 많은 부라는 사실은 용납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새로운 우상을 만들었다. 옛날의 금송아지에 대한 숭배는 돈에 대한 숭배, 그리고 얼굴이 없고 어떤 진정한 인간의 목적이 결여된 경제의 독재라는 새롭고 비정한 모습으로 바뀌었다”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무척 명쾌하게 한 이 말을 잊지 말도록 합시다.
 
It is not acceptable that major corporations stash their profits in the Cayman Islands and other offshore tax havens to avoid paying $100 billion in taxes each and every year. It is not acceptable that hedge fund managers pay a lower effective tax rate than nurses or truck drivers. It is not acceptable that billionaire families are able to leave virtually all of their wealth to their families without paying a reasonable estate tax. It is not acceptable that Wall Street speculators are able to gamble trillions of dollars in the derivatives market without paying a nickel in taxes on those transactions.
 
거대 기업들이 매년 천억 달러의 세금을 피하기 위해 케이만 군도와 다른 해외 조세피난처에 자신들의 이익금을 숨기는 것은 용납될 수 없습니다. 헤지펀드 매니저가 간호사나 트럭 운전사보다 사실상 낮은 세율을 지불하는 것은 용납될 수 없습니다. 억만장자 가족들이 적절한 부동산 세금을 지불하지 않은 채로 자기 가족들에게 사실상 모든 재산을 물려주는 일은 용납될 수 없습니다. 월 스트리트의 투기꾼들이 거래에 대해 동전 하나 세금으로 내지 않고 금융 파생상품 시장에서 수조 달러치 도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용납될 수 없습니다.
 
Democratic socialism, to me, does not just mean that we must create a nation of economic and social justice. It also means that we must create a vibrant democracy based on the principle of one person one vote. It is extremely sad that the United States, one of the oldest democracies on earth, has one of the lowest voter turnouts of any major country, and that millions of young and working class people have given up on our political system entirely. Every American should be embarrassed that in our last national election 63% of the American people, and 80% of young people, did not vote. Clearly, despite the efforts of many Republican governors to suppress the vote, we must make it easier for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political process, not harder. It is not too much to demand that everyone 18 years of age is registered to vote – end of discussion.
 
민주적 사회주의란, 제게는, 우리가 반드시 경제 및 사회적 정의를 갖춘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또한 우리가 일인 일표의 원칙에 기초한 역동적 민주주의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지구 상에서 가장 오래된 민주주의 국가 중 하나인 미국이 주요국가 중 가장 투표율이 낮은 나라 중 하나라는 사실, 그리고 수백만의 젊은이와 노동자들이 우리의 정치 시스템을 완전히 포기했다는 사실은 매우 슬픈 일입니다. 모든 미국인들은 지난 전국 선거에서 미국 국민의 63%, 그리고 젊은층의 80%가 투표하지 않은 사실을 부끄러워해야 합니다. 많은 공화당 주지사들이 투표를 저지하려 노력하지만, 명백히 우리는 사람들이 정치적 절차에 참여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가 아니라 더욱 쉽게 만들어야 합니다. 18세 이상의 모든 사람이 투표하도록 등록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지나친 것이 아니며 이에 대해서 더 이상의 토론도 필요 없습니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출처 https://thenewspro.org/?p=17901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