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박근혜, "야당 대표 초치했다" 발언 논란
게시물ID : humorbest_118633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어지러운세상
추천 : 94
조회수 : 7068회
댓글수 : 44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6/01/13 22:13:53
원본글 작성시간 : 2016/01/13 21:35:32
옵션
  • 펌글


野 대표는 하급자?…보도자료엔 "초치"→"초청"으로

박 대통령은 13일 기자회견 과정에서 "박근혜 정부의 주요 개혁 법안을 비롯해서 경제 활성화 법안이 줄줄이 좌초돼 있다"는 지적과 함께 법안 처리와 관련한 '묘안'에 대해 질문이 나오자 "제가 국회까지 찾아가서 법안 통과 꼭 해 달라고 누누이 설명을 하고, 야당 대표 전부 청와대에 초치해서 그걸 여러 차례 설명을 하고 그랬는데도 지금까지 통과를 시켜주지 않고 있다 그러면, 이제 국민한테 직접 호소할 수밖에 없지 않겠습니까? 그러니까 국민이 직접 나서주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문재인 대표를 청와대로 "초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청와대에서 추후 배포한 질의응답 보도자료에는 "초치"가 '초청'으로 바뀌어 있었다. 물론 이는 실무자의 단순 실수일 수 있다. 분명한 것은 현장에서 박 대통령은 "야당 대표 전부 청와대에 초치"라고 말했고, '초치'라는 단어를 정확하게 구사했다는 것이다. 

초치의 사전적 의미는 "불러서 안으로 들임"이다. 그러나 쓰임새를 보면, 이는 주로 상급자가 하급자를 불러들일 때 사용하는 말이다. 우리 정부는 독도 문제나, 위안부 문제 등과 관련한 일본 정부의 '망언'이 있을 경우, 주한일본대사를 외교부청사로 불러들일 때 등에 이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사전 일정 논의 없이 '외교부로 오라'고 사실상 강제하는 의미다. '초치했다'는 것 자체가 '항의'의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외국 대사의 신변에 제약을 가하는 것이어서 그렇다. 



더불어민주당 한정우 부대변인은 "박근혜 대통령의 초치 발언은 유감이다. 야당 대표를 대화의 파트너로 존중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들어야 할 사람' 쯤으로 격하시키는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왕이 여러 유생들을 초치하여'라는 표현이 나오기도 하고, 외교적 항의의 표시로 일본대사를 초치한다는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 말 한마디에서 상대를 대하는 태도가 나오는데 대통령의 표현으로는 매우 부적절하다고 본다"고 비판했다. 

출처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2516&src=sns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