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문재인 정부 대한민국에 대한 외국의 평가 (주제별 정리)
게시물ID : sisa_119002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항상진행
추천 : 4
조회수 : 516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22/01/26 09:32:08
옵션
  • 창작글

긍정 평가든 부정 평가든 여기에 없는 것 있으면 링크 부탁

 

★나라가 깨끗해졌다.

 

2019년 유럽반부패국가역량연구센터(ERCAS) 발표 국가별 공공청렴지수(IPI), 문재인정부 들어 5단계 상승 117개국 중 19위, 아시아 1위.
http://www.yna.co.kr/view/AKR20191201039600001

 

2019년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발표 국가청렴도 (부패인식지수cpi) 6단계 상승 39위 역대 최고
http://www.yna.co.kr/view/AKR20200123068500004

 

2020년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 발표 국가청렴도 (부패인식지수cpi) 6단계 상승 33위 또 역대 최고
http://www.yna.co.kr/view/GYH20210128001400044

2020년 미국 기업 위험관리 솔루션 제공사 TRACE의 뇌물위험 매트릭스(Bribery Risk Matrix) 평가
문정부 출범 이후 계속 좋아짐. 17년 33위, 18년 25위, 19년 23위, 20년 22위
http://www.traceinternational.org/trace-matrix?

 

★민주주의가 발전했다.

 

매년 4월 발표 '언론자유지수' 문재인 취임 후 21단계 상승 아시아 1위
취임 후 첫 해 2018년 4월 발표 20단계 상승 (63위 → 43위)
두 번째 해 2019년 4월 발표 2단계 상승 (43위 → 41위)
세 번째 해 2020년4월 발표 1단계 하락 (41위 → 42 위)
네 번째 해 2021년4월 발표 계속 아시아1위 (42위 → 42 위)


http://news.joins.com/article/23448209 .. ..
http://www.yna.co.kr/view/AKR20200421092700005
http://www.mk.co.kr/news/culture/view/2021/04/380430

 

2021년 민주주의 23위 '완전한 민주국' 5년만에 재진입
http://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02048731Y

 

★나라가 강해졌다.

 

2019년 세계경제포럼(WEF)평가 '국가경쟁력 순위'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매년 두 단계씩 상승.
141개 국 중 17위 → 15위 (2018) → 13위 (2019)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0081836070740

2020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평가 국가경쟁력 19년 보다 5단계 상승 23위
http://www.kiep.go.kr/board.es?mid=a10503000000&bid=0025&list_no=2288&act=vie...

2021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국가경쟁력 순위 2020년과 같은 23위
http://newsis.com/view/?id=NISX20210617_0001480646 ..

2020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 평가 `세계 디지털 경쟁력' 전년보다 2단계 상승 63개국 중 8위
http://www.mk.co.kr/news/economy/view/2020/10/1012034/

 

2019년 U.S. News & World Report 발표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업체 BAV 공동조사) 세계 10대 강국 조사에 한국 10위로 첫 진입
http://korearanking.tistory.com/307

 

2021년 U.S. News & World Report 발표 세계 강대국 순위 8위
http://www.usnews.com/news/best-countries/power-rankings

 

2020년 세계 군사력 평가 6위 지난해 보다 1단계 상승 역대 최고 수준
http://www.yna.co.kr/view/AKR20200721019700504

 

2020년 디지털정부 평가' 한국 1위,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01609280004065?did=GO

2021년 한국 소프트 파워 세계 2위 전기 14위 보다 12단계 상승
http://news.mt.co.kr/mtview.php?no=2020112709284456161
(전기 14위 http://news.joins.com/article/23818215)

 

2021년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국가별 평가에서 한국을 독일 스위스와 같은 최고 1등급으로 평가. 미국 2등급 일본 3등급.

http://www.mk.co.kr/news/economy/view/2021/01/60292/

 

2021년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글로벌 혁신지수 중국 일본 제치고 한국'역대 최고'(10→5위)

http://news.v.daum.net/v/20210920200019966

 

2021년 불름버그 혁신지수 한국1위 싱가폴2위 스위스3위 독일4위
http://www.chemic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97

 

2021년 U.S. News & World Report 발표 가장 미래지향적인 국가 1위 선정 ( 2위 싱가폴 3위 미국) 2020년 보다 2단계 상승
http://www.usnews.com/news/best-countries/most-forward-thinking-countries

 

2021년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내 한국 지위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변경.
UNCTAD 설립(1964년) 이후 개도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지위가 변경된 나라는 한국이 처음.
http://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10703/107773619/1?ref=main

 

★경제가 튼튼해졌다.

 

2019년 대한민국 세계경제포럼 관광경쟁력 평가 세계 16위, 2017년보다 3단계 상승 역대 최고 수준
http://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7462

 

'2019년 중국제조강국발전지수 보고서' 한국 세계 5위 18년 처음으로 영국 프랑스 앞선 후 계속 유지
http://www.zdnet.co.kr/view/?no=20200102091342&from=Mobile

 

2020년 우리나라 국제특허출원 세계 4위로…11년 만에 한 계단 도약
http://www.yna.co.kr/view/AKR20210304050000063?section=international/all

 

2020년 한국의 제조업 경쟁력 152개국 중 독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준 (처음 일본 앞섬).
http://www.yna.co.kr/view/AKR20210504128700003

 

2021년3월 세계에서 1위하는 한국 제품 69개..국가 순위 11위 '역대 최고'
http://news.v.daum.net/v/20210307110055625

 

★안 좋은 평가

 

2021년 영국 언론 이코노미스트 발표 유리천장지수(여성의 일자리 환경 ) 9년 연속 OECD 중 최하위
http://www.huffingtonpost.kr/entry/glass-ceiling-index_kr_6045a820c5b613cec15...

2020년 출산율 0.8명대···韓, OECD 최하위
http://www.sedaily.com/NewsVIew/22INP0O49A

IMF "향후 5년간 한국 GDP 대비 국가채무 증가 속도 예측 35개 선진국 중 1위"
http://www.yna.co.kr/view/AKR20211107015300002

▶논란 있는 평가

 

한국 잠재성장률 0.8% 전망, OECD국 꼴찌
http://www.joongang.co.kr/article/25022013#home

2000년~2060년을 전체 기간으로 잡았고 한국은 2030년 1인당 GDP가 프랑스 영국을 누르고
세계 3위까지 올라가는 것을 전제로 잠재성장률이 줄어드는 것을 얘기한 것인데, 세계 3위라는 좋은 전제를 뺐슴.

 

.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