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언제부터 얼굴을 가리고 하는 사회적 발언을 옹호하는 흐름이 있다
2 얼굴을 가려야 할 때도 있다. 얼굴이 알려지면 위험할 때가 그렇다
3 하지만, 웬만하면 얼굴을 드러내야 한다. 왜?
ㄱ 서구에서 빨갱이 공격이 먹히는 않는 이유는?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로 공격받는 이가, 가족 모임에 은근슬쩍 팜플릿을 가방에 넣는 이모이기 때문이다^^;;
ㄴ 동성애자가 사회에서 인정받기 시작한 계기는? 자신의 아들과 딸이 동성애자라고 밝혀졌을 때, 옆집 아저씨가 동성애자란 걸 알았을 때였다
ㄷ 사회적으로 배제의 대상이 되는 사람이 "내 이웃", 더 나아가 나와 친밀한 사이일 때, 이런 공격은 힘을 잃는다
a 어느 순간, 여성운동의 얼굴은...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사람들이었다
b 이들은 원하는 익명성을 얻음으로써, 누구나 공격해도 되는 대상이 됐다
c 이들은 뚱뚱하고 못생겨서 남자친구 하나 없는 루저로 그려진 게 이 때다
d 쇼셜 미디어에서, 악의적이고 저열한 공격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익명성이다
여성운동은 얼굴을 가렸을 때, 얼굴을 잃었을 때...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