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아무리 높은 이상과 꿈 그리고 욕망을 가진 자
게시물ID : phil_13738 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Bede ★
추천 : 2
조회수 : 732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6/04/06 21:34:09
사람이기를 포기하지 않는 이상, 그 이상과 꿈 그리고 욕망을 언젠가는 반드시 접게 됩니다. 저는 앞으로 80년 이상 더 갈 21세기 사회에서 20세기의 망령을 자처했기에, 사회보수주의자입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옛말에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19세기와 20세기 초중반의 사람들은 정말로 강했습니다. 그들 중 일부는 이상과 꿈, 욕망을 위하여 기꺼이 가족을 버렸습니다. 하지만 그로인해 너무 많은 사람들이 피와 눈물을 흘렸고, 21세기에 들어 사람들은 쇠락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고도의 정보화로 인해 대다수의 사람들이 유럽의 중세와 같은 '무지'한 자가 되는 제2의 암흑기가 전세계를 덮친다해도 이를 막을 수 있는 사람은 더 이상 남아있지 않습니다. 역사란 이런 것입니다. 대자연속에서도 한 종족의 흥망성쇠가 있듯이 인류도 흥망성쇠가 당연히 있습니다. 사람이라고 시간의 흐름을 막을 수 있는 특별한 힘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다시 한번 강조드립니다.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 한때 자식이었던 부모, 아무리 높은 이상과 꿈, 욕망을 지닐지라도, 현실의 눈 앞에 자식에게는 최소한 마음 속에서는 허리를 숙여 땅을 바라볼 수 밖에 없는 것이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내 자식은 또다른 나의 미래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사랑'이라는 불확정요소에 의한 것입니다. 기혼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매우 부적절한 글을 썼습니다. 기혼률 하락은 서구의 '산업화' 혹은 '현대화'의 부작용일 뿐,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는 않습니다. 자연스러운 역사의 흐름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지친 노년의 사회를 비판할 마음은 추호도 없습니다. 제가 기껏해야 최선의 노력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단 하나, '경청'입니다. 사실, 제가 이렇게 함부로 글을 쓰는 것도 '경청'이 부족하여 생긴 결과라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칭 사회보수주의자로서, 얼마전 우리나라에서 일부 어린이들이 탄압을 받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어쩔 수 없이 몇자 끄적여 대었습니다. ㅜㅜ
댓글 분란 또는 분쟁 때문에 전체 댓글이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
2016-04-06 21:36:41 추천 0
노화되고 풍화된 것을 굉장히 시적으로 표현하시네요
2016-04-06 22:20:04 추천 0
저는 에세이를 썼는데 시적으로 읽으셨다니 문학이 참으로 위대하다는 것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ㅜㅜ
2016-04-07 02:54:21 추천 0
역사의 흐름은 때론 역류하더라도 앞으로 나아간다고 봅니다. 경계할 것은 인간의 오만이라 봅니다. 이상과 욕망의 성취는 그래서 더욱 겸허를 요구하며 인문학을 경시하지 말아야할 이유라고 봅니다. 나치는 오만 했지요. 자본으로 대표되는 물질주의가 그 전철을 밟고 있는 듯 해서 안타깝습니다.
2016-04-07 04:25:06 추천 0
자식이기는 부모 굉장히많습니다 보는 가정교육은 절대적으로 부모에 영향은 필연이고 무의식속에 우린 내 부모의모습을 닮아있습니다 이긴다의 기준이뭘까요? 뜻이아닙니까? 우린 부모의뜻에 항상지고있습니다 답정너라고하져 님과같은 의식을가진사람ㅇ글패턴 다정해져잇죠 혼자만의틀에서 난뭘봐도 이러케바께안보여라고 말하고있는겁니다 세상의 기준은 인구수많큼존재하고 그것들이 꿈틀대는이상 정해진것은 아무것도없습니다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