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오늘날 교회가 심각한 질병을 앓고 있다”
게시물ID : sisa_9174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엔젤문
추천 : 10
조회수 : 799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0/10/11 14:19:41
공감이 가는 글이라...시사게시판의 성격에 맞는건지....
분쟁 조장글 아닙니다. 오해 없으셨으면 해요...


“오늘날 교회가 심각한 질병을 앓고 있다”
 

-심각한 병이라니, 그게 뭔가.

“예수 결핍 장애(JDD : Jesus Deficit Disorder)’다. 예수 교회에 예수가 없는 거다.”

-왜 예수가 없나.

“교회가 그리스도 이외의 것으로 너무 변질됐다. 

미국 교회의 집회나 회의에 참석해도 성경이나 예수,

 성령에 대한 이야기를 듣기는 어렵다.”

- 그럼 무슨 이야기를 하나.

“주로 리더십 강좌나 교회의 새로운 전략 프로그램 이야기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비즈니스 그룹의 전문가들이 교회에 와서

 컨퍼런스를 한다. 교회가 비즈니스 전문가를 초청한다. 

성경과 예수, 성령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왜 ‘예수 결핍 장애’가 생겼나.

“독일 종교개혁가 마틴 루터(1483~1546)가 말했다. 

 

‘하나님은 교회를 만드셨고, 악마는 채플을 만들었다.’

 

하나님도 뭔가를 하시지만 악한 세력도 뭔가를 한다. 

기독교는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성장했다. 

기독교인이 된다는 건 아주 존경 받는 일이었다. 

그런데 교회가 예수님 대신 그 동안의 성공, 그 자체를 예배하기 시작했다.

 어느 세대나 축복이 있고, 저주가 있다. 

우리 세대가 겪고 있는 저주는 바로 ‘예수 결핍 장애’다.”

-예수의 결핍, 치유책은 뭔가.

“나는 기독교 세계관이란 말을 좋아하지 않는다.

 기독교인이 가져야 할 세계관은 없다. 

세계관은 모두 머리에서 나온 거다. 거기선 아무것도 얻을 게 없다. 성경에선 하나님을 맛보고, 그걸 느끼라고 했다. 우리에겐 라이프(Life·삶 혹은 생명)가 필요한 것이지 뷰(View·관점)가 필요한 게 아니다.”

-예수의 본질이 생명이기 때문인가.

“그렇다. ‘예수를 믿는다’고 할 때 ‘믿는다(Believe)’란 단어에서 ‘e’만 빼보라. 그럼 ‘Be+live(생명이 되어라)’가 된다. 예수를 믿는 이는 생명이 되어야 한다. 그 생명에 내가 잠겨야 한다.”

- 그 생명을 모르면 어찌 되나.

“중국은 최근 립싱크하는 가수에게 벌금을 매겼다. 

생명을 모르는 기독교인은 립싱크만 하는 가수다. 

입 모양만 벙긋거릴 뿐이다. 

자신의 가슴에서 올라오는 노래를 부를 수가 없다. 

그러니 립싱크만 하는 교회와 교회 지도자에게도 벌금을 매겨야 하지 않겠나.”

스윗 박사는 생명이 없는 기독교, 

예수가 빠진 기독교를 ‘자살(Suicide)’에 빗댔다. 

그는 “기독교에서 예수가 빠지면 스스로 죽는 거다(Christianity minus Jesus is suicide). 그런데도 많은 교회와 교회 지도자들이

지금도 그런 자살 비즈니스에 참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스윗 박사는 ‘내가 만든 예수’가 아니라 ‘이미 있는 예수’를 찾으라고 했다.

-‘내가 만든 예수’는 뭐고, ‘이미 있는 예수’는 또 뭔가.

“선교나 전도를 할 때 보라. 

사람들은 자신이 예수를 모시고 간다고 여긴다. 

그건 굉장히 교만한 생각이다. 

우리가 가기 전에 이미 하나님과 예수님이 일하고 계신 거다.

불교 신자나 무신론자를 만날 때도 이미 하나님이 그 사람들 속에서 무언가를 하고 계시다는 걸 발견해야 한다. 

내가 할 일은 가서 그들에게 뭘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침묵하면서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다. 

그들의 삶 속에서 하나님께서 이미 하시는 일에 우리가 함께 참여하는 거다. 

그런데 현실의 기독교인은 그걸 존중하지 않는다. 

우리는 달려가서 ‘예수를 주겠다’고 말한다.”

- 그럼 선교의 진정한 의미는.

“기독교인이 되기 위해서 불교 문화나 이슬람 문화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 아프리카 문화도 마찬가지다.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으라(마태복음 28장19절)’는 건 그 문화 속의 제자를 말하는 거다. 우리의 문화를 심으란 얘기가 아니다. 그 문화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드러날 때까지 그게 어떤 형태인지 알 수가 없다.”

-선교는 주로 밖을 향한다. 다른 민족, 다른 나라를 향한다. 내 안을 향하는 선교는 없나.

“다름 아닌 내 안에서 예수님을 발견하고 함께하는 것, 

이게 진정한 선교다. 

그건 우리의 선교도, 교회의 선교도 아니다. 

바로 하나님의 선교다.”

- 그걸 위해 내가 할 일을 하나만 꼽으면.

“허락을 해야 한다. 

내 안에 예수 그리스도가 살도록 허락해야 한다. 

겟세마네 동산에서 예수님은 ‘제 뜻대로 마시고 아버지 뜻대로 하소서’라고 기도했다. 그게 허락하는 거다. (본래의 인간이) 아닌 게 비워지고, 하나님이 창조하셨던 본래의 인간이 채워지는 거다. 비움만 있어도 안 되고, 채움만 있어도 안 된다. 둘 다 필요하다. 

비본질적인 나를 비워서 본질적인 나를 찾는 거다.”

- 그런 비워짐과 채워짐을 어떻게 확인하나.

“중세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도 그걸 물었다.

 이 물음은 16세기까지 중세 신학의 정점에 해당한다. 

그리스도가 내 안에서 살 때의 싸인 말이다. 그게 바로 진(眞·Truth)·선(善·Goodness)·미(美·Beauty)다. 그리스도가 내 안에 살 때 이 셋은 하나로 동시에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말해달라.

“여기서 말하는 뷰티는 할리우드의 뷰티를 말하는 게 아니다.

 예수의 십자가 처형을 보라. 그건 비참하고 참혹한 거다. 

그런데 거기서 뷰티를 보게 된다. 

그 뷰티 안에 진리와 선함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진과 선과 미. 이 셋은 하나이고, 하나는 셋이다. 

초월적으로 동시에 존재한다. 내 안에 그리스도가 살 때 우리는 가장 참담한 풍경에서도 진선미를 동시에 보게 된다.”

- 그렇다면 십자가의 참뜻은 뭔가.

“예수의 가르침은 역설적이다.

 이것이냐, 저것이냐가 아니다. 이것이면서, 동시에 저것이다.

 ‘뱀처럼 지혜롭고 비둘기처럼 순전하라.

 나는 평화의 왕이지만 너희에게 칼을 주러 왔다.

 나는 시작이자 끝이다.’ 예수님은 모노톤이 아니라 서라운드로,

 입체적으로 말씀하셨다. ‘나는 생명을 주러 왔다. 그리고 죽으러 왔다(요한복음 10장)’. 이렇게 둘이 하나로 만나는 게 십자가다. 

수평과 수직의 만남이다.”

-수평과 수직, 그 중 하나만 취하면 어찌 되나.

“이단은 둘 중 하나만 취한다. 

기복신앙도 둘 중 하나만 취한다. 

항상 행복한 삶, 항상 성공하는 삶, 항상 잘 되는 삶, 그런 하나의 목소리만 나온다. 

반대 목소리가 없다. 거기에는 비우는 것이 없다. 그렇다고 비움만 있어도 안 된다. 예수님은 생명도 주셨기 때문이다.

 비움과 채움, 둘 다 있어야 한다. 이게 동양의 교회가 서양 교회에 가르쳐 줄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다. 

서구 기독교에선 이걸 이해하기 어렵다. 음과 양이 동시에 있는 걸 이해하지 못한다.”

-당신은 “인간적 예수와 우주적 예수가 둘이 아니다”고 말한다.

“아프리카 말에 ‘우분투(Ubuntu)’란 단어가 있다. 

‘우리를 가져다가 나로 만든다’는 뜻이다. 나(I)와 우리(WE)가 동시에 있다는 거다. 

넬슨 만델라도 연설에서 이 말을 자주 쓴다. 

영어에서도 ‘우리(WE)’를 거꾸로 뒤집으면 ‘나(ME)’가 된다. 

‘우리(WE)’는 동양적이고, ‘나(I)’는 서양적이다. 

둘은 분리될 수 없다. 물리학에선 이 세상이 3차원이 아니라 최소한 11차원이라고 말한다. 11차원에선 모두가 다 연결돼 있다. 

보이지 않는 멤버링을 통해 하나로 연결돼 있다.

 ‘가장 작은 자에게 한 것이 나한테 한 것이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한다. 물리학자들도 우주적 예수를 증명해주고 있는 거다. 결국 우리의 몸이 살아 숨 쉬는 교회가 돼야 한다.”

                                             ------- 기독교 미래학자 레너드 스윗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