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선투표제는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힘들 것 같고(비용문제) 선호투표제에서 아이디어가 번뜩했습니다.
비례대표는 현행대로 유지하는게 나을 것 같고 지역구대표는 바꿀 필요가 있어서 상상해봤는데요
후보가 A B C D가 있다면 1순위 2순위 투표를 하는 겁니다. 투표결과 1순위 종합이 (%) A:35 B:30 C:10 D:5 무효:20 나와 a가 당선되는 것이지만 C D 후보의 2순위를 포함시키는 겁니다. 그렇다면 (%) A:37 B:40 무효:23이 되어 B당선이 될 수 있는거죠 무효표가 3%가 늘어난 이유는 1순위 C 2순위 D거나 1순위 D 2순위 C일 경우를 사표처리 한겁니다. 이렇게 한다면 조금 더 명확한 선거가 되지 않을까요 오스트레일리아 하원선거처럼 힘들게 하는것보단.. 저렇게 할때의 장점과 단점을 평가해주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