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도일하시는 분 있나요? 공략 적고 있는데 참고 할려고 합니다..
게시물ID : cyphers_12055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Demian-Doil
추천 : 1
조회수 : 297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5/06/26 00:16:21

 


   

로라스(이름 바로 아래가 신경써야 할 점입니다.)

나선창 有無.

기상창 有無.

 

투창 1

로라스픽의 가장 큰 원인, 로라스를 투라고노프라고 부르게 한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 투창 쿨일 경우. 해가 안되지만, 투창 쿨이 돌아왔을 경우, 로라스가 222공목(유니크)을 투창 3/4링을 기준으로. 635~1740까지 노릴 수 있는 기술이죠.

 

그러나, 투창을 사용했을 때, 대부분 4 - 5 칸 이상(투창임팩트와 다리유니크가 없어도, 사정거리가 5칸입니다.)의 거리를 두고 사용하기 때문에,(그와 함께, 강투창의 유도력은 도일이 투창을 보고, 캐논어퍼로 피할려고 하게 만들죠.) 도일이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여지를 만들어줍니다.

 

만약, 로라스가 투창 던지는 것을

로라스가 1신일 경우, 2.8

로라스가 2신일 경우, 3.3

이속 도핑은(엑셀레이션) 0.4- 0.5

이 이상의 거리에서 보았다면,

캐논어퍼보다는 지옥구멍으로 회피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 이유로는 로라스가 캐논어퍼를 빼기 위해, 투창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로라스가 와서 검룡을 박는다고 할지라도, 무적입니다.

 

그러나, 1.8 칸 이하의 거리일 경우, 노신으로도 캐논어퍼의 범위가 닿을 수 있음으로, 캐논어퍼 후, 잡기-3-지옥구멍 혹은 래리어트-지옥구멍으로 맞추시길 바랍니다.

 

결론 : 도일이 3-4칸 까지 진입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적군 로라스가 라인을 밀면서, 아군을 딸 가능성이 있으니, 시야 보실 때 유의할 점.

 

용창 22식 나선창

노쿨과 쿨

진입여부를 확연하게 판단해줄 수 있는 무기.

왜냐하면, 로라스의 나선창 판정과 캐논어퍼의 판정은

 

정면에서는 캐논어퍼가 집니다.

슈아시간과 캐논어퍼의 길이가 로라스의 나선창 길이를 뚫지 못하게 하거든요.

(1 그런데 끝에서 부딪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서로가 근거리 캐릭터이기 때문에 거리차이는 2-3. 서로의 기술들이 주력기 이기 때문에, 이 것을 피하면 딜 넣을 기술이 매우 적기 때문이죠.)

만약 그런 경우도 있잖아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죠? 로라스의 나선창에도 후딜이 존재하기 때문에, 나선창 끝나시고 어퍼 쓰셔도 됩니다.

1 엑셀 있으면 후딜은 거의 없습니다..


래리어트가 없으면요?

기상창이 없을 경우, 지옥구멍으로 다운시키고,

기상창이 있을 경우, 평타로 다운 시킵니다.(기상창링을 끼시는 분이 있을 지는 모르겠지만,

 일반전이나 공성전에서 본적이 없기 때문에, 평타로 다운시키면 됩니다.)

 

 

검룡의 심판

엑셀과 팔아므가 만들어낸 로라스 자칭 최강의 회피기.

(1 다이무스가 주캐인데 부럽더라고요.)

도일과 로라스가 만나면.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스킬일 수밖에 없습니다.

 

로라스에게는 콤보의 시작이나 다름 없고,

도일에게는 검룡을 끊는 순간, 로라스의 회피기가 사라지는 거니까요.

 

도일이 로라스를 상대했을 떄, 판단기준은 선검룡와 후검룡입니다.

 

선검룡의 경우, 이니시용으로, 검룡의 심판을 먼저 넣고, 기회를 잡으려는 경우이고

1 이때 로라스는 어퍼가 없다고 생각하거나, 물주라고 생각하는 것일 겁니다.

 

후검룡의 경우, 회피용도로 도일의 주력기 캐논어퍼, 래리어트. 초스트레이트용입니다.

 

캐논어퍼의 경우, 조준유도가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로라스의 검룡이 정면을 부딪치는 것이 아닌, 후면이나 측면으로 회피해 피할려는 것이라면,

조준유도는 즉시 방향을 바꾸어서 맞출 수 있게 하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1 그러나 이런 경우는 없습니다. 설령 있더라도 열판중에 한번 나올까말까입니다.

검룡 심판 후 잡기나, 초스트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요.

 

래리어트의 경우, 검룡의 심판 뒤에 들어오는 나선창을 맞아주고, 다운됩니다.

래리어트의 슈아판정은 대략 1초내외.

검룡의 심판으로 회피한 이상, 슈아는 이미 날라갔습니다.

(도일의 피가 2021바 방을 기준으로 1- 12%, 201티 공을 기준으로 30%가 아닌 이상,

 투창이 날라올 경우는 없습니다. 로라스가 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회피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다운된 도일을 향해, 강투창을 던지고,

1 이 경우에서 살아납는다면, 로라스의 검룡의 심판을 빼고, 쿨이 80-90%일 겁니다.

로라스는 도망치고 있는 중일테고요.(도일은 거의 개피일 겁니다.)

 

검룡의 심판은 1-2초 정도 남았을 테고요.

 

이 풀콤보를 맞고 난 뒤 여러분은 두가지를 선택할 것입니다.

캐논어퍼 혹은 지옥구멍.

저의 경우, 로라스의 잡기가 쿨이라는 것을 알았으니,

캐논어퍼를 쓰고, 경직된 로라스를 잡고, 내려칠 것입니다.

그 후 평타 3번 넣고, 지옥구멍을 넣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캐논어퍼의 쿨이 돌아오지 않았을 경우, 2평 후 잡기를 통해, 로라스를 잡고,

조금 기다립시다. 어차피 매쳐지는 것은 똑같으니까요. 그 후에 캐논어퍼를 쓰거나, 3평을 넣고 다운시킵시다.

(기상창 쿨이 돌아왔다면 일어서서 잡고, 검룡의 심판으로 죽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점 유의합시다.)

 

 

 

휴톤

안면가드 有無.

바야바 有無.

핵펀치 有無.

잡아도 영양가가 너무 없음.

 

 

3가지가 휴톤을 상대하는 핵심입니다.

맨위로 올라갈수록, 휴톤을 상대하기 꺼려질 겁니다.



그 이유로는 첫 번째, 도일의 어퍼가 부딪칠 경우, 휴톤은 안면가드를 통해 후딜레이를 없애고,

어퍼를 쓴 뒤 잡고, 바야바를 통해 딜러에게 배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래리어트의 타격을 막기 위해 안면가드를 쓰고, 기다린 뒤, 후딜레이 때 잡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세 번째, 초스트레이트. 캐논어퍼 같이 단발성 주력기를 막기 위해 안면가드를 쓸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후에는 휴톤은 도일을 잡고, 배달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네 번째, 허리유니크와 안면가드링을 통해, 적군 딜러의 백업을 기다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바야바 (휴톤의 진입기이자 회피기.)

머리가 있는 유저라면, 선바야바를 통해 진입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일은 자신을 배달할 수 있는 휴톤을 상대하는 것이 상당히 꺼릴 것입니다..

 

그러나. 도일과 휴톤이 부딪치게 된다면, 세가지 경우 빼고는 바야바를 안 씁니다.

휴톤은 대부분 다운된 뒤에 바야바를 쓰거나.

아군의 배달 목적으로, 서든어퍼 뒤에 바야바를 씁니다.

 

 

그리고 소수는 도일을 보고, 바야바를 넣습니다.

세 번째 경우에는, 바야바를 본 순간, 뜸을 조금 들인 뒤,(1.5 정도의 거리에서) 래리어트를

시전하시면 래리어트의 슈퍼아머로 인해서, 바야바로 다운되지 않고, 버틸 수 있다는 점 아시죠?


, 주의사항! 극공 휴톤. 특히 금강극진바야바 휴톤일 경우, 캐논어퍼나 지옥구멍을 사용해서라도 튑시다.


만약 바야바를 쓴 휴톤의 도달위치가 자신으로부터 2칸 정도 떨어져 있다면, 지옥구멍을 통해 회피하시는 편이 더욱더 안전합니다.

 

 

 

 

서든어퍼

아주 슬프게도 어퍼 날라오는 걸 본 뒤에 잡기를 해도 잡힙니다.

기절확률이 있지만, 매우 미미하기 때문에 맞어퍼보다는 래리어트(개인적으로, 이 경우는 래리어트

 임팩트를 사용하거나, 2장이상 찍어야 함. [참고로 위의 사거리증가는 래리어트의 후딜로 인해,

안면가드를 풀고. 잡을 가능성을 최대한 줄여줍니다.]) 쓰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기절이 잘 뜬다면, 서든어퍼가 날라올 때 잡기를 함으로써, 어퍼를 피하고,

잡기-어퍼-지옥구멍

잡기-3-지옥구멍

을 통해 딜을 넣는 편이 좋습니다.

 

지옥구멍

 

아무리 잘 적어볼려고 했으나. 적을 말이 없습니다.

 

 

안면 가드 (가드 중에 즉시 다른 스킬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안면가드가 있다고 판단이 될 경우, 선캐논어퍼는 최대한 피하는 편이 좋습니다.

 

바야바노쿨

서든 어퍼


바야바가 없기 때문에, 맞어퍼를 넣거나,(이때의 관건은 자신이 상대휴톤보다 늦게, 어퍼를 넣음으로써,

휴톤의 안면가드를 빼거나, 슈아유지로 선제권을 먼저 가져갈 수 있음.)


회피용도로 어퍼를 쓰고, 튀는 편도 나쁘지 않음.

(바야바의 쿨은 어차피 돌아오기 때문에, 주력기술이 빠진 도일은 붙잡힐 수 밖에 없을 가능성이 있음.)

 

 

바야바 쿨

간혹, 아주 간혹. 안면가드도 있는데, 방휴톤인데, 바야바 먼저 써서 다운을 노리려는 경우가 있습니다. 래리어트 씁시다.

 

서든 어퍼

캐논어퍼의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고,(안면가드로, 후딜을 없애고, 잡기-바야바로 배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선서든어퍼가 오면, 잡기를 통해 딜을 주는 편을 추천합니다.

 

잡기-3-지옥구멍

잡기-어퍼-지옥구멍

 

일정 거리를 유지한 채, 휴톤이 어떻게 대처할 건지 보시고, 선바야바를 넣으신다면, 래리어트로 캔하시면 됩니다.

 설령, 안면가드를 통해서 잡는다고 할지라도, 바야바와 서든어퍼는 이미 쿨입니다.

 

왠만한 휴톤은 서든어퍼도 빠졌는데, 바야바로 이니시를 넣지 않습니다.

 

 

공통

래리어트
휴톤의 바야바가 나오든, 서든어퍼가 나오든, 1칸내외의 거리에서 래리어트를 쓴다면, 휴톤은 안면가드를 쓸 수 밖에 없는 처지에 놓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핵펀치

휴톤이 쓰는 경우가, 3가지 인데

 

 

도일 이동기가 빠졌을 때,

구석으로 몰아놨을 떄

서든어퍼를 썻는데 기절이 떳을 때.

 

 

 

따라서, 조언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