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18년까지 부동산 전망.. 궁금합니다
게시물ID : economy_1878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웰웰이
추천 : 1
조회수 : 2325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16/04/25 22:35:51
옵션
  • 창작글
정책적 : 16년 2월부터 가계부채대책이 시행 되었지요 
한계가구가 130만가구정도로 예측이 되고, 점차 원금과 대출이자를
같이 상환 하고, 대출받을 은행의 문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가계부채의 절반 기업부채 현황은
좀비기업은 3200기업정도 되며, 대기업 30곳 중 17곳도 포함이 되어 있다고
하네요 이슈로 조선사업이 많이 거론이 되고 있습니다

금융적 : 미국의 금리인상이 잠정 확정 된 가운데, 부동산 불패신화의 
모토분들은, 그래봐야 담배 한값 수준이다. 라고 이야기 하는것을 들었습니다
정책을 완화하거나, 가격이 떨어질리는 없다는 판단하에 매매를 권장하고 있더
군요 이부분이 가장 궁금합니다 앞서, 미국의 금리가 오른다면, 
금융적으로 부채를 빨리 갚기위해 은행에서는 돈을 많이 보유 해야 할 것
이고 은행이 돈을 보유하고있으려면 금리를 올려 거둬 들여야 되서 
대출에 대한 이자는 더욱 공포가 되어지리라는 판단입니다.

문화적 : 베이비 부머시대의 은퇴, 청년실업등의 이유로, 공급이 늘며,
수요가 감소 할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주택연금등의 3대 제도로, 급한 불을
끌 수는 있겠으나,  본래 주택가격이 떨어진다면 이 또한 큰 리스크가 되리라
판단이 됩니다. 

공급적 : 이 부분은 17년 하반기에 71만호의 주택이 공급되는것에 대해 
궁금한 부분입니다, 부동산이란 개별성이 강하여, 조합들이 돈이들인게
있기 때문에 오히려 가격이 상승세 이지
공급이 많고 수요가 적어도 값이 떨어지지 않는다에서 의문이 갑니다.
일본의 20년동안의 경제 불황을 예를들며, 100억짜리 집이 10억이 된 것이고
이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이야기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현재 18년 상반기 까지는 전세로 살고 이후에 아파트를 매매할 계획인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지 알고 싶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