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시퓨제조사별 특징 및 시퓨라인별 설명과 시퓨추천(은 스압)
게시물ID : computer_12142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버블드래곤
추천 : 3
조회수 : 321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3/10/22 18:27:19

CPU가 뭔지는 다들 잘 알겠죠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연산장치..
현재 시퓨제조사는 대표적으로 두곳(그냥 두곳만 남았나)이 있습니다.
시도때도 없이 빰! 빰빰빰빰! 하는 인텔(잉텔)과 국내엔 광고가 나온적 없는 AMD(암드)
두 시퓨사는 경쟁관계(가 아닙니다. 인텔이 암드의 주식 대다수를 갖고있다는 소리도 있어요 암드가 죽으면 독과점으로 세금을 내야 하거든요!!)이며
서로의 컨셉은 다릅니다.

인텔: 시피유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심지어 컴맹조차도)이 알고있는 회사입니다. 왜냐하면 국내에서 매일 광고를 틀어댔고 국내 대기업들은 데톱엔 무조건 잉텔시퓨를 끼워넣었으니까요(AMD가 그 당시 고가정책을 써서 그런것처럼도 보입니다만...)
주요 특징은
1. 매우 훌륭한 클럭당 성능비
2. 적지만 강력한 코어
3. 하이퍼 쓰레(기)드
4. 쉐이더만 좋은 내장그래픽
정도가 되겠습니다.
설명해 드리자면
1번
1클럭이 있을때 10만큼의 일을하는 시퓨와 20만큼의 일을하는 시퓨의 차이로서 말하는 겁니다.
그럼 여기서 잘 모르는 사람은
'클럭만큼 일을 하는게 아닌가요?'
정답입니다. 클럭만큼 일해도 손실이라는게 생기기 마련이죠 그리고 같은 클럭이라도 쓸모없는 쓰레기작업으로 인해 일부를 소비하게 되니깐요...
(만약에 클럭만큼 일을 한다면 암드는 인텔따위 이미 안드로메다로 보냈을겁니다)
2번의 
인텔은 하이엔드, 서버용 시퓨가 아닌이상 전부 쿼드코어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고도 높은 클럭당 성능때문에 성능은 충분히 커버 가능하죠
(코어물량이 다가 아니라는 말씀!)
3번
인텔의 삽질중 하나로 불리며 시작되며 차후 개량을 통해 어느정도 개선된 기술중 하나입니다
i3, i7, 제온에 들어가 있으며 논리적 코어를 2배로 뻥튀기 하는 기술입니다.(물리적쿼드->논리적옥타!)
같은 클럭으로 일할때 잉여롭게 놀게되는 구간이 생기는데 그것들을 끌어모아다가 논리적코어로 만들어놓은거죠
현재 하이퍼 쓰레드의 성능은 최대40프로까지 성능개선이 된다고 합니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최대고 심지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도...)
4번
인텔이 요즘 열심히 궁리하는 것 중 하나가 내장그래픽과 전성비(전력당성능비)입니다.
인텔의 내장그래픽은 어케 만들었는지 구조가 쉐이더(대부분의 고사양게임의 그래픽은 이걸 채용)는 겁나 잘뽑아냅니다. 
이게 내장그래픽인가 싶을 정도로 뽑아냅니다.
하지만 그대신 텍스쳐(도트찍기)와 렌더(2D->3D로변환)능력을 잃었습니다. 
그래픽감속기라 불리는 이유는 저 둘을 잃었기 때문입니다...

인텔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고 다음은

AMD: 컴덕 혹은 조립컴에 관심있는 사람이 아닌이상 보는거 자체가 힘든 시피유제조사입니다(국내엔 잘 알려져있지 않음 눙물...)
주요특징으로는
1. 코어물량
2. 고클럭
3. 높은 가성비
4. APU
정도가 있습니다.
1번
AMD의 현정책은 고클럭, 코어물량입니다. 인텔에서 린필드, 샌디브릿지가 나오기 시작하자 AMD는 휘청거리기 시작합니다.
기껏 만든건 데네브, 투반(6코어)인데 데네브는 린필드에게 성능이 밀렸고 투반의6코어를 다 쓰는 작업에 그 당시엔 많지 않았거든요(이제야 겨우 보급되기 시작...)
그렇다고 클럭당 성능비를 올리자니 공정바꾸는데 돈도 많이들고 시간도 많이들고 당장에 위험하니 나온 정책이
'그래 우린 더 높은 클럭과 코어물량으로 쌈싸먹으면 되지!'(아마 투반부터 코어물량정책을 쓰기 시작했을 겁니다) 
근데 문제가 생긴게 코어물량을 찍어도 그걸 전부 사용하는 작업이 적었습니다 더군다나 고클럭까지 더해지니 고발열과 나쁜전성비까지 더해지죠...
(그리고 AMD는 불도저에 멸망할 뻔했다고 한다)
2번
AMD의 현정책두번째가 고클럭입니다 클럭당 성능비는 안되니 클럭을 더 높이자가 목표인데요.
인텔의 클럭당 성능비가 훨씬 압도했습니다. 현재 암드의 2코어= 인텔의 1코어라 불릴정도로 말이죠.(심지어 암드쪽이 클럭이 더 높은데도!)
3번
처음 암드가 나왔을땐 고가정책을 썼습니다(비쌀수록 많이사는 사람들의 심리를 이용?)
더군다나 프레스핫으로 잉텔이 죽을 쑤던 시절엔 암드시퓨가 더 좋았으니까요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못하죠 8코어로도 4코어를 못이기는 현실에 결국 순응하고 가격을 인하합니다
근데 가격을 보통 인하한 정도가 아니라... 플래그쉽(끝판왕)정도 되는녀석을 인텔의 i5(퍼포먼스)값보다 싸게 팔아먹기 시작한 겁니다.
더군다나 8코어를 지원하는 게임의 경우 i5보다 AMD사의 8코어가 더 높은 성능을 내주기도 하여 현재 가성비로서는 끝판왕이 됬습니다(잉텔의 i3가 죽을쑤는 이유)
4번
AMD시피유의 유일한 희망이나 다름없다고 보는 녀석입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CPU+VGA를 시피유 하나에 다 박아넣은건데(라데온을 인수해서 그래픽기술도 좋다는거)
가격도 싸고 가성비도 좋고 무엇보다 앵간한 그래픽카드들은 전부 필요없어지는 그래픽성능을 뽐내는것이 장점입니다.(10만원 이하 그래픽카드 전멸)
더군다나 내장그래픽이라 자체전성비가 나빠도 총합 전성비는 잉텔시퓨+외장글픽이나 AMD시퓨+외장글픽에 비해 더 우월합니다
물론 한 칩안에 다 박아넣어야 하니 시피유 성능은 플래그쉽 대비 떨어지는 편입니다.(그래도 내장글카와의 균형은 맞습니다)



그럼 이제 시피유종류별 대강의 특징과 추천시퓨를 알려드리죠(데톱기준입니다)

잉텔

셀러론
현재 핫스웰라인에선 놋북으로만 들어가는 퇴역하는 코드네임 입니다.
가장 저렴하며 현기점으로는 사무용으로 충분한 성능을 갖고있습니다.
게임은 가벼운 게임은 당연히 충분하고 고사양도 하옵으로 됩니다.
추천도
게임: 1/5(가성비하나보고 1점줌 게임용으로는 영...)
사무: 5/5(가성비 성능 뭐하나 빠지지 않는 팔방미인)

g1620추천

펜티엄
셀러론 다음라인인데 얘도 몇년후엔 퇴역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셀러론+약간의 클럭 끝!
역시 사무용으로 충분하고 게임은 저사양 충분 고사양 중~하옵
게임: 1/5(성능은 살짝 올라가나 가성비가 셀러론대비영...)
사무: 4/5(성능은 이미 충분한데 더 올리면서 가성비 낮출필요는 없죠)

g2030추천

i3
펜티엄+하이퍼쓰레드+약간의 클럭입니다
이녀석은 가성비고 자시고 전에 사무용으로 너무 과해졌습니다(사무하나 하자고 하이퍼쓰레드까지?)
근데 게임용으로는 좀 무리가 있습니다.
더군다나 암드에 같은 가격대에 게임용으로는 더 뽕을 뽑는 비쉐라 6, 8코어가 있는데 이걸 살 이유는 없겠죠
스투를 할거라 그런데요... <-그럼 펜티엄으로 가시죠!
사무용으로는 분에 넘치는 사양
게임용으로는 고사양 중옵
게임: 1/5(비쉐라가 매일 빅엿을 먹여줍니다 꾸역꾸역)
사무: 1/5(너무 과한 스펙입니다...)
추천드릴 시퓨가 없습니다.

i5
여기서부터 인텔라인의 쿼드코어 입니다.
게이밍용으로 나왔으며 AMD의 8코어와 견주는 성능을 갖고 있습니다.
고사양 게이밍은 여기부터 알아보심이 좋습니다.
고사양게임 상옵
게임: 4/5(다 좋은데 i3에서 가격이 확 뛴다 눙물...)
사무: 0/5(말하지 않아도 과해요)

3570, 3470(아이비브릿지)
4570, 4670(하스웰)추천

제온
서버용 시퓨입니다 근데 왜 여기있냐고요?
왜냐하면 E3라는 일반적 인텔소켓에 들어가는 괴랄한 녀석으로 알려드릴것이기 떄문입니다.
쿼드코어+하이퍼쓰레드에 내장그래픽이 없고 i7보다 약간 낮은 클럭을 가집니다.
i7과의 성능차가 거의 없으면서 가격은 i5와 i7사이에 포진해있기 때문에
작년부턴가?부터 각광받는 게이밍시퓨입니다.
단 내장그래픽이 없기때문에 화면출력을 위해선 글카를 뭐라도 달아줘야 합니다.
고사양게임 풀옵
게임: 5/5(성능짱짱맨 가격짱짱맨)
사무: -1/5(원래는 0/5이나 내장글픽이 없으므로 1더 감소...)

1230v2(아이비브릿지)추천

i7
인텔시퓨라인의 끝판왕입니다
쿼드코어+하이퍼쓰레드입니다.
말하지 않아도 알아주는 끝내주는 성능입니다.
고사양게임 풀옵
게임: 4/5(제온크리...)
사무: 0/5(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770(아이비브릿지), 4770(하스웰)추천

추가설명
인텔시퓨는 오버클럭이 가능한 모델(k버전)과 불가능한 모델(논k버전)이 있습니다.
시퓨 이름뒤에 k로 판단하는데 오버할거면 돈 더내라는 잉텔의 만행입니다(독과점이 이래서 위험한겁니다)

AMD

불도저
AMD사상 희대의 망작입니다. 설명할가치가 없습니다. 사지마세요 차라리 구세대 투반으로 가는게 더 이득입니다.
게임: 0/5(비쉐라를 가고말지...)
사무: 0/5(일반 사무에선 많아봐야 2코어밖에 못씁니다. 근데 암드는 코어당성능이 낮고 코어물량입니다. 그럼?)
추천드릴 시퓨가 없습니다.

비쉐라
불도저의 아픔을 딛고 나온 개선작 입니다. 성능도 올려내고 가격도 절감하여 겨우 부활한 녀석입니다.
4코어, 6코어, 8코어모델이 있으며 각 코어수가 같은애들도 클럭따라 다른 네임을 가집니다(FXO300 에서 O의 숫자가 코어수를 의미합니다 9000라인은 제외구요)
4코어 모델은 비추드립니다. 비쉐라는 내장그래픽이 보드에 있는 타입이라 경우에 따라 화면을 출력하지 않는 경우도 있거든요.
비슷한 가격의 트리니티5800k가 있습니다(트리니티설명은 잠시후에)
6코어와 8코어모델은 가격은 i3와 비슷하면서도 풀로드시 성능은 i3를 씹어먹습니다.(물량빨파워)
6코어모델에서 약간만 더 지불하면 8코어모델로 갈 수 있기 때문에 8코어를 가장 추천드립니다.
(저같은 경우는 6코어 모델을 특가세일할때 구매해서 그냥 6코어로 살고있습니다)
고사양 게임 중~상옵
게임: 4/5(코어물량이 이끌어낸 po가성비wer 하지만 멀티코어미지원하면 코어 하나당 성능은 린필드정도밖에 성능이 안난다는점)
사무: 0/5(시퓨내부에 내장그래픽이 없기 때문에 인텔로 가는걸 추천드려요 어차피 코어2개밖에 못써요)

6300, 8300추천

트리니티
APU입니다 시피유+그래픽카드를 하나로 박아넣은 녀석 말이죠
맨처음  APU로 라노가 있었는데 이녀석도 불도저만큼 삽질을 했습니다 그걸 개량한게 트리니티죠(암드는 꼭 한번씩 삽질을 하고 갑니다)
플래그쉽인 5800k은 쿼드코어이며 풀로드시 i3와 비슷한 성능을 가집니다. 내장그래픽은 GT630내지 GTS250만큼의 성능을 갖고 있습니다.
저사양 게임은 당연 충분하고 고사양게임은 중~하옵 가능합니다(내장그래픽으로 먹고사는 애라 글픽빨을 요하는 게임은 하옵)
게임: 4/5(시퓨와 글카를 동시에 구매하여 가격절감 저사양 게이밍 가성비로서는 이게 갑)
사무: 2/5(사무하면서 근근히 게임할거면 은근 나쁘지 않음)

5800k추천

리치랜드
트리니티오버한거라 보시면 됩니다(설명은 이게 끝입니다 진짜로요!)
게임: 4/5
사무: 2/5

6800k추천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