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과연 진보와 보수는 무엇인가(정치철학자 김만권, 기자 정은지)
게시물ID : sisa_121600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순진남자
추천 : 4
조회수 : 661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22/12/27 20:45:29

일부요약 

 

김종배 : 보수가 뭡니까?

 

김만권 : 보수란게 하나로 정하긴 어렵지만 보수란게 conservative 쟌아요. 이말자체는 함께 유지하는 보호하는 겁니다.

14세기에는요. 전체 내지 안전을 유지하기위해서 권력을 갖는다를 의미하거든요. 

19세기 중반에는 현신과 변화에  이미 세워진것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는 의미로 쓰임

정치를 통해서는 국가에서 제도에 변화에 적대적인 대표자 없는 순수한 민주주의의 변화에 반대하는 의미로 쓰임

 

서양에서 보수주의는 원리원칙주의자가 아니다. 우리나라는 원리원칙으로 생각할수도 있겠지만 서구사회에서는 보수가 경험을 

중요시하는 실리주의자들 원리원칙자들은 주로 진보적인 유토피아를 꿈꾸는 사람들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음

 

김종배 : 개념의 혼재가 있는데 , 보수대 진보의 기준과 좌파와 우파기준이 먼가

 

김만권 : 좌파와 우파를 말한다면 이념적 지향이 많다고 한다면 , 보수와 진보를 이야기할때는 사회적으로 바라볼때의 태도를 볼수있다.

 

이념적인부분을 이야기한다면 좌파와 우파적인거고 보수와 진보는 태도적인 부분인데 이게 애드먼드 버크같은 경우에는 보수주의를 내세웠을때 진보들의 문제를 삼았을때 뭐라했냐면 진보들이 이세상을 바꾸는 태도가 한꺼번에 전부 바꿔서 하려고 하는데 그게 게으름의 증거라고 생각했음 

 

게으르기때문에 한번에 바꾸려고 하는데 진정한 보수는 뭐냐 일상에서 매일매일 개혁하는 사람들이 보수다.

 

그러기때문에 서양의 보수를 들여다 보면 보수주의자들이 훨씬더 개혁적인 부분을 많이 받아들였음 

 

그리고 영국에서 보수주의를 완성한사람이 벤저민 디즈레일리19세기 수상인데 이사람이 엄청난 보수주의자인데 노동자 권리 노동자 참정권 노동자 복지 전부다 완성 시킨사람임

그런 복지를 왜 진행했느냐 라고 한다면 실재 영국의 전통에서 보면 과도한 혁명자체가 일어나지 않게 끊임없이 일상에서 개혁하는게 전통 보수였다.

 

김종배 : 비유를 이렇게 하면될까요 

우리가 보수 하면 개혁을 반대하고 저항하는세력인데 그게 아니고 리모델링이냐 재건축이냐로 이해할수 있겠다.

 

---------중략 -------------

 

6분6초부터는 보수와 수구는 무엇인가. 는 여러분께서 들으시면 될거같습니다.

 

 

 

 

마지막으로 김만권 박사의 마지막 우리나라 민주당과 국힘은 보수인지 진보인지 어떻게 평가하는 지 물어봤는데

김만권 박사의 말일부분이 기억에 남네요. 우리나라는 진보는 없다. 민주당은 보수이고 국힘은 수구이고 정의당은 중도 정도로 보여진다.

 

정말 마음에 와닿은거같네요. 차라리 민주당이 진보를 하든 보수를 하든 그냥 다시한번 정권을 잡기위해서 열심히 했으면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