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삼국지> 인물의 죽음에 대해 쓰인 한자.
게시물ID : humorbest_122129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푸른미르
추천 : 27
조회수 : 6105회
댓글수 : 11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6/03/15 03:03:59
원본글 작성시간 : 2016/03/11 11:32:54
[위지]
조조, 조비, 조예 - 
조모 - 卒
원소, 원술, 도겸, 공손도, 공손강, 유표 - 死
순욱, 하후돈, 조인, 조홍, 노육, 장수, 장연, 장료, 악진, 우금 ... - 薨
조식, 조창, 조웅... - 薨
마초(동탁전) - 死

[촉지]
유언, 유장 - 卒
유비 - 殂
유선 - 薨
감황후 - 卒
목황후 - 薨
제갈량, 황충, 마초, 조운, 방통, 법정 ...  - 卒
이엄 - 死

[오지]
손책 - 卒
손권 - 薨
유요, 태사자, 사섭, 주유, 정보, 황개 ... - 卒


=================================

황제의 죽음 -> 崩(붕),   왕의 죽음 -> 殂(조),   제후의 죽음 -> 薨(훙),   관인의 죽음 -> 卒(졸),   벼슬하지 않은 사람의 죽음 -> 死(사)

나라의 명이나 반역으로 당한 죽음은 誅殺(주살), 타인에게 죽임을 당한건 殺(살). 
그렇게 죽은 사람들은 저기에서 뺐습니다. 

위나라 황제는 붕, 유비는 조, 손권은 훙으로 기록했습니다.
위나라의 조창이나 조식 등도 왕이었는데 그들의 죽음도 훙입니다.
진수는 촉 출신이기에 이례적으로 유비를 존중해준 듯... 

위나라의 신하인 하후돈, 순욱, 장료 등의 신하들의 죽음도 훙입니다. 
진수가 진나라의 신하였기때문에 위를 높인 것입니다. 
촉나라는 왕국 대우를 해줬고, 오나라는 제후국 대우를 해줬죠. 
마초가 위지에서는 死로 표시된건 위나라에서 벼슬을 하지 않았기때문입니다. 
원소나 원술, 유표, 도겸, 공손도 등의 죽음이 死로 기록된건 삼국에서 벼슬을 한게 아니기때문에 그렇구요. 

추가로 원소가 후한서에서 薨으로 기록된 것은 후한에서는 그 세력이 제후 수준이었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도겸*원술은 死,  황보숭*주준*순욱*유표는 卒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출처 http://blog.naver.com/smh2829/220498343658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