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씹랄주의-긴글주의]5등급을 어려워 하는 분들을 위한 씹랄덱
게시물ID : hstone_4038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TGES
추천 : 7
조회수 : 1214회
댓글수 : 8개
등록시간 : 2016/06/13 16:15:55
@#$%씹랄주의@#$%
@#$%씹랄주의@#$%
@#$%씹랄주의@#$%
--------------------------------------------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씹랄에 알러지가 있으신 분은

본 글을 열람하지 않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
본 덱은

내가 정말 5급을 찍고 싶다.
나는 게임을 이기려고 하는 사람이다.
나는 승리를 위해서 영혼을 팔 준비가 되어 있다.

하시는 분들께 권장합니다.
--------------------------------------------
덱리스트

선덱 공개 후 설명
캡처.JPG

덱구성은 위와 같습니다.
덱의 성격은 저코스트 하수인과 토템 시너지를 통해 초반부터 필드를 장악하고
상대의 명치를 조지는 것입니다.

초반부터 강력한 하수인으로 필드를 제압하고 상대의 명치를 공략해야하기 때문에
멀리건은 불꽃의 토템을 제외한 나머지 1-2코 하수인을 들고 갑니다.
단 1-2코 하수인이 넉넉히 잡혔을 경우 불토와 대지의 무기도 선택적으로 들고갑니다.

불토를 넣는 이유는 필드에 하수인이 없을 경우 불토 혼자서 할수 있는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일단 내 필드에 뭔가 있어야 불토로 다대일 교환을 하거나 저코하수인으로 고코 하수인을 끊어낼수 있어요.
아깝지만 넣어둡니다.

대무를 넣는 이유도 비슷합니다.
내필드가 있어야 대무와 내 명치로 상대 하수인을 끊어주며 필드를 먹는것이 좋습니다.
일단 필드를 유지하는데 집중합시다.

--------------------------------------------
필드정리에 대하여

못올라가시는 분들이 달리는덱을 하실때 힘들어하시는 부분은 정리or어택 부분입니다.
뭘 정리하고 뭘 정리하지 않는가?
사실 이부분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고 저도 게임하면서 고민을 많이 하는 부분입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5등급을 목표로 하시는 분들이기 때문에 제가 고민하지 마시라고
정리할 하수인 목록을 딱 집어 드립니다.(100%정확하다는 말이 아닙니다. 대충 참고만 하세요)

-무조건 정리
1.북녘골, 마나지룡, 수습생, 단검곡예사, 레호구, 어둠골 원로원 등 어그로성 높은 단일 하수인
2.이번턴에 잡을 수 있는 도발(기왕이면 딱뎀)


-정리해 볼만한 하수인
1.딱뎀으로 정리할수 있는 어그로 높은 하수인(임프두목 등등)
제 필드에 십자군 종자가 있고 상대가 임프두목이 있다면 대무를 걸고 4/1을 만들어 정리합니다.
상대의 3코 하수인을 내 1코하수인과 1코주문으로 교환하였기 때문에 나쁘지 않은 교환입니다.
상대가 임프한마리가 남더라해도 말이죠

2.이번턴에 잡을 수 있는 주문력하수인(탈로스 같은거)(기왕이면 딱뎀)
대 퍄퍄전에서 주로 보는 하수인들로 비전작렬과 얼음화살, 비전화살등
공포스러운 초반 주문때문에 정리해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3.상황에 따른 이득을 보는 정리
이건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상황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술사르 그 상대는 굴단
제가 선공입니다.
하지만 저는 멀리건이 항상 망하기 때문에 1코하수인이 없습니다.
다행이도 상대도 멀리건이 망해 1코하수인이 없습니다.
(이때 유의할 것은 동전을 안썼다는 것입니다. 2코에 3코 임두를 낼수도 있고 행상인을 통한 시너지를 볼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합니다.)
저는 필드를 줄수 없기 때문에 2코 불꽃곡예사를 냅니다. 턴종료
상대도 필드에서 힘싸움을 밀리지 않기 위해 2코 행상인을 냅니다. 턴종료

이때 2/3불꽃곡예사와 2/2행상인의 교환상황입니다.
만약 제 핸드에 대무 또는 마나해일토템이 있다면 무조건 정리입니다.
대무라면 대무로 정리하고 마나해일 토템이라면 정리해서 2/1하수인을 남기고 마나해일로 이득을 취할수 있습니다.

핸드에 야정이 있다면 선택적 정리입니다.
야정을 내고 다음턴에 상대방에게 교환을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상대의 가혹한 하사관이 무섭다면 2/3하수인으로 정리하고 야정을 내는것이 가능합니다.
이때 2/3하수인으로 정리한다면 고려할 것은 행상인이 뽑은 카드가 코일이 아닐까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구분하는 것은 상대가 발견 옵션 발동시 걸리는 시간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빠르게 카드를 선택했다면 압도나 화임 등 기대치가 높은 카드일 것이고
고민을 한다면 고만고만한 옵션을 가진 코일이나 보이드일 수 있습니다.
단 이경우에는 상대가 동전보이드를 안썼기 때문에 보이드는 배제할 수 있습니다.

교환은 이런식으로 생각을 하면서 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한가지 선택지를 추가하자면 토템을 뽑아보는 것입니다.
만약 힐토가 나올경우 상대 하수인을 정리하고 2/1하수인에 힐을 해서 2/2로 코일각을 벗어나면서
탄탄한 필드 구성을 할수 있습니다.

--------------------------------------------

대체 카드에 대하여

사실 메인 카드들은 대체가 불가능합니다.
토골이나 투스카르, 용맹전사, 심연의 괴수등은 핵심카드로 다른 카드로 대체가 불가능합니다.

기타 카드들의 경우는 해당 카드가 덱에서 하는 역할을 생각하고 대체가능한 카드로 바꾸시면 됩니다.

해리슨의 경우 근래에 무기전사와 냥꾼 씹랄(나 빼고)이 판을 치기 때문에 무기를
쪼개는 용도와 드로우를 위해 넣었습니다.
때문에 해당 직업군이 보이지 않는다면 해리슨을 빼고 드로우나 후반을 도모가능한 한방카드로 대체가능합니다.
불정이나 리로이정도를 고려할 수 있겠네요

2코 불꽃곡예사도 다른 카드로 교체 가능합니다.
필드 유지력과 1뎀 발동을 고려했을때 단검곡예사나 늑대로 바꿀수 있겠네요

--------------------------------------------

하수인 위치에 관하여

술사의 경우 불꽃의 토템의 시너지 효과때문에 하수인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하수인을 왼쪽에 내느냐 오른쪽에 내느냐가 승패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꽤나 많은 편이고요.

하수인 내는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중요한 하수인은 왼쪽에 낸다.
심연의 괴수처럼 기본 공체합이 좋아 불토의 영향없이 대부분의 하수인을 교환할 수 있다면 왼쪽에 냅니다.
용맹전사나 마나해일토템처럼 오래 살아서 하드캐리를 해야하는 카드들도 왼쪽에 내서 최대한 오래 살려줍니다.

2.토템은 모아준다.
토골이나 마나해일, 불토를 빼고 보급형 토템 4종 세트는 모와두려고 노력합시다.
토템들을 모아두면 불꽃의 토템을 내고 보급형토템의 연속교환을 통해 상대의 중요 하수인을 제거 가능합니다.
하지만 투스카르의 경우 다른 토템들이 나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하수인 사이나 왼쪽에 내도록 합시다.

3.선야정 후영능
2번에 이야기하는 것과 비슷한 이야기 입니다.
선영능 후야정을 쓰면 토템이 왼쪽에 떨어지고 야정이 나옵니다.
선야정 후영능의 경우는 야정이 나오고 토템이 오른쪽에 떨어집니다.
이런식으로 순서를 고려해야합니다.

--------------------------------------------

선킬각 계산하기

씹랄의 경우 깜짝 킬각을 3개정도 봅니다.
1.용맹전사or원시의힘
2.블러드
3.둠해머+대무

내턴이 끝나고 상대턴이 되었을때
'뭐내나 구경이나 해볼까?'가 아니라
'내가 핸드에 뭐가 있으니가 상대가 도발이 없으면 킬각이네?'
'내가 다음 드로우에 뭐가 나오면 킬각이다.'를 생각하고 계산하여야 합니다.

씹랄은 깜짝킬각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으로 킬데미지를 계산하여
밧줄이 타며 급하게 때리지 않게 유의하여야합니다.
상대가 고민하는 도중에도 불토위치나 과부하를 통한 데미지 증가들을 계산하는 것이 좋습니다.

1.용맹전사or원시의 힘
이 경우는 토템수에 따라 딜이 변화합니다.
용맹전사는 보급토템4종과 마나해일, 토골, 불토까지 모두 2딜이 올라가기 때문에 높은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원시의힘 또한 7종 토템의 영향을 모두 받기 때문에 높은 데미지를 낼 수 있습니다.

2.블러드
술사의 블러드는 자군야포가 폭망한 시점에서 최고의 딜버프가 되겠습니다.
필드 개체마다 3딜을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효율적인 하수인 교환을 통해
필드를 최대한 유지하시면 됩니다.

3.둠해머+대무
저는 게임을 하면서 6번까지는 둠해머를 자유롭게 사용하지만 막판 2방은 남기는 편입니다.
대무를 통한 깜짝 킬각을 볼수도 있고 대무가 없어도 상대가 쉐도우 복싱을 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남은 2방도 써야할 때가 있습니다. 대무 킬각 본다고 너무 아끼지는 마세요
대무 킬각은 외워두는 편이 편합니다.
1대무에 10딜, 2대무에 16딜입니다.
둠해머 내구도만 있다면 나눠치나 몰아치나 데미지는 같으니 고민하지마세요

--------------------------------------------

마치며(기타 올라가는 팁)

하스스톤은 운빨겜이라고들 하지만 확률에 기반한 운빨게임입니다.
상대가 템포전사라면 마격2개가 빠진 시점에서 마격이 나올리는 없을 것이고
나또한 2개의 대무를 사용한 시점에서 둠해머 내구도를 남겨둘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상대의 덱과 내 덱을 카운팅하면서 게임을 한다면 좀더 높은 승률을 낼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상대의 덱을 카운팅하기 위해서는 상대의 덱을 알고 있으면 더욱 좋겠지요.

또한 승률이 51%만 되더라도 천판을 하면 510승 490패로 등급은 올라갑니다.
연승을 한다면 더욱더 오르고요.
계속하다보시면 결국은 전설까지도 도달하실수 있으실껍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