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
게시물ID : history_1235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피클s
추천 : 15
조회수 : 1037회
댓글수 : 10개
등록시간 : 2013/10/29 16:56:03
3673057770.jpg
3673058600.jpg
3673058601.jpg
3673058612.jpg
3673058613.jpg
3673058614.jpg
3673058625.jpg
3673058626.jpg
3673058627.jpg
3673058638.jpg
3673058639.jpg
36730586310.jpg
36730586411.jpg
36730586412.jpg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유익한 이야기...
 
 
 
 
 
 
 
 
 
 
 
 
 
 
 
 
 
 
 
하지만...
 
 
 
 
 
 
 
 
역사적 사실

그러나 위의 이야기는 후대에 왜곡 및 과장된 것이다. 칼레 항복을 기록한 당대의 문건들은 모두 약 20여 개가 있는데, 여기서는 모두 시민 대표들의 행위가 항복을 나타내는 연극과도 같은 의식이었다고 적고 있다. 에드워드 3세는 당초부터 이들을 처형하려는 의도가 없었으며, 시민 대표들 또한 생명의 위협을 느끼지 않은 상태에서 항복 의례의 일부로 연출한 장면이라는 이야기이다. 그 무렵에는 죄인들이 자신의 잘못을 참회하는 의미로 광장에서 공개적으로 행진하는 종교 의례가 있었는데, 칼레 시민 대표들의 행위는 여기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일화를 숭고한 희생으로 윤색하고 미화한 것은 14세기의 연대기 작가인 장 프루아사르(Jean Froissart)이다. 그는 1322~1400년 프랑스에서의 주요 사건을 기록한 5권의 연대기 작가로 유명하지만, 현대 연구자들은 다양한 기록의 교차 검증을 통해 그의 연대기가 사건 발생일, 발생지 등의 정보가 부정확하며, 애국적인 성향에 따라 많은 부분 왜곡이 있었음을 비판하고 있다. 칼레의 항복 속설 또한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장 프루아사르의 애국심이 투영되어 민족 정서에 호소하는 미담으로 가공된 것이다.

이처럼 당대 많은 기록 중 하나에 불과했던 프루아사르의 해석은, 16세기에 이 사건이 다시 프랑스 세간의 화제로 떠오르면서 대중의 감성을 사로잡게 되었다. 특히 19세기로 접어들어 민족주의가 발호하자 역사 교과서들은 칼레의 시민 대표들을 외세에 저항하며 동료 시민들의 목숨을 구하고자 한 애국적인 민족 영웅으로 부각시켰다. 칼레의 시민은 후대의 필요에 의해 재창조된 신화(myth)였던 것이다.




 
ps. 유머자료에 올렸다가 게시판 성격이랑 안맞는 다는 글을 보고 다시 올립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