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검찰, 모든 국산 휴대폰 데이터 분석 기술 연내 개발.."수사 기법 고도
게시물ID : sisa_74834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동네깡패
추천 : 11
조회수 : 523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6/07/27 07:59:07
옵션
  • 펌글
지능화하는 범죄에 대응 검색 기록 등 파악 가능..쿠팡 등 100여종 앱도 분석 애플 아이폰은 분석 불가능 사생활 침해 가능성 제기 피의 사실과 관련 없는 쇼핑앱 등 사적 내용 접근 가능.

2.jpg


검찰이 휴대폰에 들어있는 디지털 정보를 분석하는 ‘모바일 포렌식’ 기술을 대폭 강화한다. 삼성 갤럭시S7 같은 최신 휴대폰의 보안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물론 휴대폰 속 주요 앱(응용프로그램) 100개를 추가로 분석 대상에 넣는 것이 목표다. 날로 지능화하는 범죄에 대응해 수사 기법을 고도화해야 한다는 검찰 측 논리와 사생활 침해가 우려된다는 업계의 주장이 맞서고 있다.

검찰이 도입하려는 분석 기술을 이용하면 휴대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찾아본 검색어 △자주 방문한 웹사이트 △즐겨 사용하는 앱의 실행 횟수와 이용 시간 등도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날짜별로 어느 시간대에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해 어떤 작업을 했는지 보여주는 ‘타임라인’ 기능도 확보하게 된다. 검찰은 피의자의 휴대폰 이용 행태까지 파악할 수 있을것

하지만 검찰에 애플 아이폰은 여전히 ‘골칫거리’다. 현재 검찰 기술로는 아이폰5 이후 모델의 보안을 뚫을 방법이 없다. 애플 휴대폰은 하드웨어 보안까지 이중으로 걸어두기 때문이라는 게 검찰의 설명이다.

모바일 포렌식 업계 관계자는 “국내 제조사가 기술력이 부족해 하드웨어 보안을 적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며 “필요 이상의 보안을 걸어 수사기관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데 대한 부담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검찰 계획이 현실화하면 휴대폰 분석 과정에서 사생활이 침해받는 것은 물론 ‘별건 수사’(특정 혐의를 밝혀내는 과정에서 관련 없는 사안을 이용하는 방식)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형사소송법상 디지털 정보를 압수수색할 때는 혐의와 관련한 정보만 압수해 살펴봐야 한다. 검찰 출신의 한 대형 로펌 변호사는 “휴대폰에 있는 쇼핑 앱이나 가계부 앱처럼 사적인 정보가 담긴 앱까지 들여다보겠다는 것은 수사력 남용”이라며 “검찰이 혐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피의자의 ‘약점’을 잡고 수사에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출처 http://m.media.daum.net/m/media/society/newsview/20160721175403577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