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오베
베스트
베스트30
최신글
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미공군전투기가 해군소속 항공모함에 실린다면
게시물ID :
military2_186
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노곡
추천 :
4
조회수 :
2398회
댓글수 :
17개
등록시간 :
2016/09/06 14:30:13
옵션
본인삭제금지
그 조종사는 해군 명령을 따르나요 공군명령을 따르나요?
비공감 사유를 적어주세요.
(댓글 형식으로 추가되며,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댓글 분란 또는 분쟁 때문에
전체 댓글이 블라인드 처리되었습니다.
★
연금수령
2016-09-06 14:32:37
추천 0
어떤상황이냐 따라 다르겠죠. 특수한상황이 아니라면 공군명령을 따르겟죠. 넌 우리배에 탔으니 무조건 해군명령에 따라라. 라고 하진 않을테니요. 보병들이 해병대 상륙함타고 작전수행한다고 해병대 명령을 따라야 되는게 아니듯...
댓글
1
개 ▲
★
onurmark
2016-09-06 17:28:29
추천 0
저... 그런 경우는 해병대의 지휘계통에 편입됩니다.
반대로 해병대가 완전히 상륙하여 교두보 확보 한 이후에 내륙으로 전진하여 상륙전이 아닌 정규전을 수행한다면... 이 경우는 육군의 지휘계통에 편입됩니다.
노곡
2016-09-06 14:45:43
추천 0
음... 뭔가 찝찝한데...
원칙은 어떤가요?
댓글
1
개 ▲
★
Limesis
2016-09-07 06:47:28
추천 0
작전과 관련된 행동은 해군을 따르겠고,
작전 승인과 관련한 것은 공군을 따르겠죠.
그리고 항모를 이탈해서 공군기지로 돌아갈 때는 해군측에 통보하고 가겠지요? ㅎㅎ
青葉4
2016-09-06 14:48:17
추천 0
뜨지도 못할 비행기가 항모에 있으면 수송작전 아니면 할일이 있을거 싶네요. 명령내릴것도 없을정도
댓글
0
개 ▲
예정화
2016-09-06 14:54:03
추천 0
아마 저런 상황이 된다면 공군 작전을 위해 항모가 지원을 하는 상황일꺼니 파일럿은 공군 명령을 듣겠죠...
댓글
0
개 ▲
V4Vendetta
2016-09-06 14:56:25
추천 0
모든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요.
모든 상황의 세부적 시책과 우선순위는 미군의 군사기밀 아닐까요?
해답을 안다해도 이곳에 답변할 수 없을 문제.
댓글
0
개 ▲
단풍잎
2016-09-06 15:17:52
추천 0
순간 2차대전기 일본 육군 항공기가 해군 항공모함에 착륙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상상해버렸다. 훗ㅋ
댓글
2
개 ▲
내리가즘
2016-09-06 15:24:07
추천 0
항공모함에서 어떻게든 착륙 못하게 방해 하지 않았을까요. 쉽진 않겠지만 갈지자로 움직이거나 수병들 동원해서 어떻게든 배를 흔든다거나.;;
Dragonic
2016-09-06 17:13:36
추천 0
대공포에 녹아서 실패?
★
프리무라
2016-09-06 15:55:27
추천 1
당연히 함장의 권한이 우선시 됩니다
댓글
2
개 ▲
★
이런2
2016-09-06 16:45:32
추천 2
함장이 아니라 항모 비행대장....
Dragonic
2016-09-06 17:15:58
추천 0
함장과 부장(부함장)은 배의 운용만
비행대는 비행단장 및 부단장이 모든 비행기 운용 권한
미군기준 4명다 대령이요
★
onurmark
2016-09-06 17:31:48
추천 0
해당 작전의 지휘체계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공군의 작전에 해군의 비행단이나 항모가 동시에 지원되고, 단순히 그 항모에 공군전투기가 캐리어 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당연히 전체 작전은 공군 지휘계통입니다.
하지만, 공군의 작전 중에라도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근처 항모에 착함한 것이라면... 해당 기체나 조정사는 해군 비행단장의 통제에 따르다가 급유나 이동을 마친 후에 공군의 콜업이 되면 이함하고 부터는 공군의 관제를 받구요...
댓글
0
개 ▲
★
청주만20년
2016-09-06 18:09:59
추천 0
그게 공군병력이 해군에 아예 같이 사는건지
아님 잠시만 있는건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자의 경우는 '배속'이라는 개념으로 주한미군 카투사를 생각하시면되여
한국군이지만 미군보급품받고 미군 명령을 우선시합니다
후자의 경우는 단시간만 그런거니 따로 해군 공군 각자 연락장교를 둬서 조율하거나
해당 임무가 공군위주인지 해군위주인지에 따라 명령 영향력이 달라질거같고
그땐 각군 지휘부에서 의견조율하고 명령 하달하겠죠
예를들면 해군의 임무에 공군이 지원가야된다면 공군사령부에서 해군에 적극협조하라는 식으로
명령을 내려올것이고 그 명령을 받은 공군입장에서는 피해가 클것같은 위험한 임무면 다시한번 공군사령부에
보고를 할것이고 그걸 또 지휘부에서 조율하고
아무튼 타군끼리 모여있으면 골아파집니다
댓글
0
개 ▲
[본인삭제]
deiceed
2016-09-07 15:20:10
추천 0
댓글
1
개 ▲
[본인삭제]
deiceed
2016-09-07 15:21:42
추천 0
deiceed
2016-09-07 15:24:32
추천 1
[공군에 입대해라!]
https://steemit.com/history/@hark/what-is-happend-when-tre-aircraft-landed-on-the-wrong-carrier
-같은 해군이라도 다른 항공모함에 착륙하면 격렬하게 환영인사를 해 주었다죠.
댓글
0
개 ▲
꼬꼬마아빠
2016-09-08 12:12:47
추천 0
그런데...공군전투기가 항모에 이.착함 이 어렵겠죠...
과거 F4 팬텀처럼..함재기로 나오지 않으면
댓글
0
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리스트 페이지로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