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지진 안전지대 아닌 부산, 대피소 절반이 내진설계 안 돼
게시물ID : freeboard_135044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MASERATI
추천 : 3
조회수 : 862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6/09/12 22:39:57

지난달 16일 새벽 일본 구마모토 현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Richterll magnitude) 7.3의 강진은 부산까지 여파가 미쳤다. 당시 부산소방안본부에만 2000여 건의 문의가 들어왔을 정도다. 평소 지진 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부산에서 아파트와 집이 흔들거리자 불안감은 가중됐다.

부산을 비롯한 한반도가 더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상황에서 실제 상황이 벌어졌을 때 대피할 장소에 대한 궁금증이 제기된다. 부산시는 이 같은 재난 상황을 대비해 200여 곳에 달하는 임시거주시설을 마련해 놓고 있다. 그러나 이 시설에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어떨까?

노동당 부산시당 정책모임 ‘씨앗’이 지난 구마모토 현 지진 이후 부산의 지진대피소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시에 정보공개청구를 한 결과는 심각했다.

17일 '씨앗'이 부산시로부터 받은 정보공개청구 자료에 따르면 부산지역 이재민 임시거주시설(지진대피소) 208곳 중 내진설계가 반영된 곳은 113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했다. 절반에 가까운 96곳(45%)의 대피소는 지진에 대비한 설계가 전무하다는 이야기다.

무엇보다 구별로 편차가 심했다. 사상구는 14곳 중 전부, 부산진구는 49곳 중 38곳, 강서구는 15곳 중 11곳에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아 지진 발생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우려가 컸다. 반면 동구 5곳, 금정구 11곳, 동래구 19곳은 모두 대피소에 내진설계가 되어 있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개정된 건축법에 따르면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500㎡를 넘는 모든 건축물은 건축 허가 때 내진설계를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법 시행 전 지어진 건물은 이 규정을 적용받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공공시설물 내진설계 비중은 전국 평균 42.4%, 부산시의 경우도 52.4%에 불과하다. 부산지역의 대부분 지진대피소는 인근에 위치한 초·중·고등학교 건물이나 부속 강당·체육관 등이다.

문제는 지진이 더는 강 건너 불 보듯 할 상황이 아니라는 점이다. 한국지질연구원의 연구결과를 보면 지난 1999년부터 2014년까지 한반도의 연평균 지진 발생 횟수는 47.8회에 달한다. 연구원은 앞으로 1~5년 안에 5.0~5.5 사이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게다가 부산 인근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핵발전소가 밀집되어 있어 지진 발생 시 부산 시민이 떠안아야 할 위험 부담은 더 큰 실정이다.

따라서 적극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노동당 부산시당 정책모임 ‘씨앗’은 “부산시가 모든 지진대피소에 내진설계를 마련하기 위한 조치에 나서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일부 학교 건물에 한정하지 말고, 내진설계가 된 곳으로 임시대피소를 바꾸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16일 지진이 발생했음에도 부산시가 그 흔한 재난문자조차 보내지 않았는데 이번을 계기로 부실한 재난 대책 전달체계를 개선해야한다”고 지적했다.

1줄 요약

부산에서 지진나면 내진설계가 되어있는 동구, 금정구, 동래구 대피소로 가야합니다

출처 http://www.vop.co.kr/A00001024393.html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