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전조등 구매 가이드 ㅡ 자동차 전조등 잘 알아보고 구매하기
게시물ID : car_8866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포아
추천 : 13
조회수 : 8520회
댓글수 : 22개
등록시간 : 2016/10/16 16:21:02
옵션
  • 창작글
  • 외부펌금지
어제 올린글이 바로 베오베갔었네요, 감사합니다 ㅎㅎㅎ

http://todayhumor.com/?car_88651

이번에는 제가 아는 간단한 정보 하나 올리도록하겠습니다.

혹시라도 잘못된 부분있으면 댓글로 지적 부탁드려요~







일반적으로 전조등 DIY는 중급 이상의 DIY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쉽게 말해 방에 있는 전구 갈아끼우는 정도의 난이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냥 전구 빼고 전구 끼우고, 그게 전부에요. 
본인이 순정 전구의 밝기에 만족을 한다면 굳이 DIY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자동차 공업사 가면 정말 저렴한 가격으로 교환해주거든요. 이 글은 순정 전조등보다 좀 더 밝은 전구를 구매하고 싶은데 뭐가 뭔지 잘 모르는 분들이 보면 좋은 구매 가이드입니다.



일단 간단한 용어 및 기본 상식 정리부터 해보죠.



전조등이란
전조등이라는 건 자동차 앞에 장착되는, 우리가 흔히 부르는 '라이트'를 지칭합니다. 그중에서 우리가 쉽게 DIY할 수 있는 전조등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하향등 그리고 쌍라이트라고 부르는 상향등이며, 안개등은 자동차를 리프트 띄워서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DIY로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할로겐전구를 사용하며, LED 전조등은 리뷰할 가치도 없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규격
가정용 전구도 교체하기 위해 규격을 알아야 되듯이, 전조등도 규격을 알아야 합니다. 규격표는 판매처나 인터넷에서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상향등,하향등,안개등 모두 다른 규격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니 유의해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W[와트]
출력이죠. 빛의 밝기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당연히 높을수록 빛은 강해지고, 대부분의 국내 승용차는 55W의 전구를 사용합니다.


K[캘빈]
색온도라고 부릅니다. 쉽게 생각합시다. 빛의 색깔입니다. 그냥,,, 그렇게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시인성
제 리뷰의 키포인트가 되는 단어입니다. 대상의 존재를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쉬운 성질을 시인성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시인성이 좋으면 물체가 잘 보이고, 시인성이 나쁘면 잘 안 보인다는 거죠. 전조등은 안전과 관련 있는 자동차 용품으로 시인성이 좋은 전구를 구매하는 것이 첫 번째가 되어야 합니다.


















아주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 먼저 색온도를 조금 알아야 합니다.

color-temperature-scale.jpg

제가 서두에서 K(색온도)는 빛의 색깔이라고 간단히 정의했었죠? 이 표를 보면 좀 더 쉽습니다. 색온도가 낮을수록 노란빛, 색온도가 높을수록 푸른빛으로 보입니다. 화장실 조명이 3000k 정도고, 가정집 형광등이 5000k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색온도가 높은 백색일수록 빛이 밝게 보이기 때문에 색온도를 밝기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정확한 정의는 아니지만 색온도는 단순한 색상을 나타내는 것일 뿐 밝기와는 관계가 없다 라고 보는 것이 생각하기 편합니다.

색온도는 시인성과 관계가 있습니다. 색온도가 낮을수록 시인성이 좋고, 색온도가 높을수록 시인성이 떨어집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노란 불빛일수록 앞의 사물이 잘 보이고, 푸른빛일수록 앞의 사물이 잘 안 보인다는 거죠. 

일반적으로 전조등 튜닝을 하면 멋을 위해 6000k 이상 하얀 불빛을 많이 사용합니다. 몇몇 분들은 더 오버해서 8~9000k를 달고 다니죠. 남한테 피해를 주지 않으면 그만이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저는 피해를 준다고 생각합니다. 시인성이 떨어져서 앞의 사물을 보지 못하고 사고를 내는 것이 어떻게 남한테 피해를 주지 않는 거라 할 수 있나요. 시인성이 좋지 못하면 일반적인 도심 도로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가로등이 없는 시골길에서 굉장히 위험할뿐더러 비까지 오면 시인성은 더 떨어져 사고 위험이 굉장히 높아집니다.

제가 생각하는 색온도의 마지노선은 4300k입니다. 요즘 순정도 5000k로 나오는 모델들이 있기 때문에 5000k는 괜찮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전면 유리 선팅을 40% 보다 진하게 했다는 가정하에 4300k가 마지노선 색온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 경험에 빗대어 제가 추천하는 색온도는 3700k입니다. 순정과 가까운 색상으로 도로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색상입니다. 노란빛을 아주 약간 살포시 띄기 때문에 요즘 기준으로 봤을 때 다소 촌스러울 수 있으나 안정성은 보장받는 색온도죠. 그리고 본인의 차가 전면 선팅이 너무 진하게 되어 야간에 시인성이 좋지 못할 때는 과감하게 3500k를 선택하는 것이 올바른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노란빛이기 때문에 촌스러울 수 있으나 전면 선팅이 진한 상황에서 가장 높은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색온도와 시인성의 관계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제는 W[와트/출력]과 밝기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정용 전구도 그렇지만 W가 높을수록 빛의 밝기가 높아집니다. W는 출력이기 때문에 더 많은 전기를 먹기 때문이죠. 색온도와 관계없이 전기를 많이 먹은 만큼 밝아지는 겁니다. 대부분의 자동차 오너들은 전조등이 더 밝기를 원합니다. 그럼 W가 높은 전구를 사용하면 되겠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자동차 전조등의 W는 대부분 55W로 정해져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순정 전구보다 더 밝게 전구를 교체하고 싶다면 2가지 중 하나의 선택을 해야 합니다.

첫 번째. 55W를 사용하는 전구 중에서 가장 밝은 전구를 사용할 것인가
두 번째. 밝기를 위해 무리를 해서라도 100W 전구를 사용할 건인가

첫 번째를 선택했다면 답은 간단합니다. 필립스 전구를 사용하면 됩니다. 
두 번째를 선택했다면 자동차 회사에서는 권장하지 않는 고 와트의 전구를 구매하시면 됩니다. 11번가, 옥션 같은 오픈마켓에서 전조등을 검색하시면 쉽게 구매 가능합니다. 필립스 전구가 3만 원대인 것에 비해 고 와트 전구는 보통 중국산이나 국내 중소기업 제품으로 만원 이하로 구매 가능합니다. 밝은데도 불구하고 가격의 부담이 없죠. 저렴한 가격이 장점이라면 장점입니다. 그렇다면 단점은 당연히 55W에 100W를 넣으니 소켓 배선이 녹아버릴 수 있는 위험이 있죠. 사실 저도 100W 전구를 사용해봤고 문제없이 3년 동안 사용했지만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자동차 제조회사에서 하지 말라는 건 안 하는 게 아무래도 좋겠죠.

20161016_020857.jpg

100W 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켓 배선이 녹는 현상을 방지하고 램프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이런 안전 소켓을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소켓 배선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되지 못 합니다. 그냥 다른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거라도 하는 거죠.



필립스 55W 전구가 밝으냐, 중소기업의 100W가 밝으냐라는 질문은, 엔진 튜닝한 마티즈가 빠르냐 에쿠스가 빠르냐 이 질문과 같다고 보면 됩니다. 엔진 튜닝을 아무리 해도 엔진 CC를 무시할 수 없죠.  필립스가 아무리 좋아 수명도 길고 안정성도 높다 해도 100W보다 밝을 순 없습니다.

그렇다고 안전에 문제가 되는 100W 전구를 사용하라는 말씀도 쉽게는 못 드릴 거 같습니다. 물론 제가 3년 넘게 문제없이 써왔지만 제가 문제가 없다 해서, 그리고 다른 사용자분들이 문제가 없다 해서 문제가 없는 걸로 생각하는 것은 안전 불감증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55W에서 가장 밝은 빛을 내는 필립스가 답일까? 제가 지금 필립스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130% 밝은 빛을 낸다는 것은 과장 광고입니다. 확실히 순정 전구보다는 밝지만 3만 원이 넘는 값어치를 하냐라고 물어본다면 절대적으로 아니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간단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특별한 일 없으면 순정 전구로 교체하세요. 가성비 가장 좋습니다.

이쁜 화이트 색상 전조등을 하고 싶나요? 그럼 6000k 이상 색온도 높은 전조등을 구매하세요. 단,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구매하세요. 문제점을 알고 구매하는 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돈은 쓰기 싫고 전면 선팅이 너무 어두워 시인성이 떨어진다면 3500k/100w 전구 구매하세요 5천 원 이면 구매 가능합니다.

내 차에 쓰는 3만 원 정도는 아깝지 않다면 필립스 제품 구매하세요. 비싼 만큼 좋은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히 조금은 더 좋습니다.










교통안전공단에 기재된 전조등 제제 대상입니다.

1. 전조등 광도등 허용기준 미달
2. 전조등·방향지시등·번호등·제동등의 점등상태 불량 또는 등색과 설치상태의 기준 부적합,
3. 택시표시등의 자동점등상태 불량.
4. 안전기준에 위배되는 등화 설치

2개만 살펴보면 될듯하네요
2번, 순정 범위에 들어오지 않는 색온도는 검사 통과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순정 범위는 3700~4300k 이고. 검사하는 사람에 따라 조금씩 편차는 있습니다.
4번, 55w를 설치해야되는데 100w를 설치하면 당연히 안전기준에 위배되기 때문에 검사통과안됩니다. 이것역시 검사하는 사람에 따라 편차가 큰데 대부분 안걸리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도 걸린적 없습니다.


그래도 하지말라는건 안하는게 좋겠죠? 그래서 다시 말씀드리지만 저는 순정전구 추천드립니다.

순정 전구로 하시고 제가 적은 글은 지식으로만 알고계시면 좋을듯합니다.









출처 http://foraran.blog.me/220837262413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6-10-16 17:49:14추천 1
하지만 확실한건 업체마다 조금씩 다르긴하지만 요즘은 빡빡해져서 순정 제외 전부 다 자동차 검사에선 불합격됩니다

이전에는 통과시켜준 경우도 있다고 하지만 요즘은 순정제외 다 불합격 때려버립니다.

순정이 너무 어두워서 조금 밝은거 썼다가 튕겨서 바꿔서 다시 검사받았었네요
댓글 6개 ▲
2016-10-16 20:54:14추천 2
불법 HID와 LED는 당연히 검사 불가능하고

3700~5000k 까지는 무난히 합격할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2016-10-16 21:38:40추천 1
포아 아뇨 제 차가 크루즈디젤이고 전조등 규격이 h4 입니다. 제가 교체해서 쓰던놈이 오스람 골드구요

3000k 인데도 불구하고 검사 불합격되었고 가장 큰 이유는 정품이 아니다 라는 말뿐이었네요

업체마다 좀 다르긴하지만 통과 안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씀드리는거에요
[본인삭제]포아
2016-10-16 22:56:09추천 2
2016-10-16 23:06:01추천 2
아하. 3000k 를 사용하셨군요. 그럼 완전한 노란색인데요??
순정 범위는 3700~4300k 정도입니다.

정품이 아니라서 안된다는건 검사하시는 분이 실수 하신거고요. 색온도가 너무 낮아서 검사 안된다고 말해야 정상이죠.
2016-10-17 17:55:12추천 0
순정이라는 기준이 좀 상이한것이..
전구에 '착색'이 되었다면 불합격입니다.

필립스 전조등 역시 순정등화로 많이 사용됩니다.
2016-10-17 17:55:30추천 0
말씀하신 오스람 골드는 착색등화입니다.
2016-10-16 20:17:24추천 0
정말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선팅이좀 짙어서 3500? 저거로 바꿔볼까 하는데.. 현재 제 차의 (순정상태) 전구가 어떤건지 아는방법이 있을까요..?
댓글 1개 ▲
2016-10-16 20:55:14추천 0
차종 순정 할로겐 전구 검색하면 바로나오죠. 아마 3700이나 4300일거에요^^
[본인삭제]익명tzy3842
2016-10-16 20:20:40추천 0
댓글 0개 ▲
2016-10-16 20:45:48추천 1
추가.
1.전조등은 집전구 가는거보단 어렵습니다. 손이 잘안들어
가는게 첫째, 고정방식이 생소한게 둘쨉니다.손재주보단
손크기가 영향을 좀 미칩니다.
2.교체후엔 습기가 찰수있지만, 쓰다보면사라집니다.
3.오래된차는 전조등이 백화되서 어두울수있습니다.
낮에 앞에서봐서 뿌옇다면 백화된것..전조등갈아봐야
무용입니다. 복원하세요. 무쏘, 구카니발
정도 연식의 차가 주로 그러함.
4.노란불이 싫으면 새차를 사세요..억지로 색온도 올려봐야
고만고만합니다.. 안전에는 순정이 거의 최곱니당.
댓글 1개 ▲
2016-10-16 21:03:28추천 0
1. 뭐래요 님 댓글처럼 공간이 굉장히 협소합니다. 그래서 전조등을 탈거하고 교체하는것을 권장드립니다.
전조등은 보통 드라이브 하나로만으로도 탈거가 가능합니다.
그렇게 한번만 해보시고 고정 클립의 위치만 확인하시면 2번째 부터 탈거하지 않고 교체가능합니다.
3. 백화 복원비용이 은근히 많이 나갑니다. 혹시라도 길거리에서 불법으로 라이트복원하는 곳이 있다면 저렴하게 하시는게 좋습니다.
분해 후 치약으로 열심히 닦는것도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한계는 분명히 있습니다.
4. 색온도 내려서 노란불로 교체하는건, 차선책입니다.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일단 시인성만 올리는거죠. 최선책이 될수는 없습니다.

제가 놓친부분 추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16-10-16 21:50:55추천 0
할로겐은 필립스보다 오스람 나이트 브레이커
플러스 라는 모델이 가장 시인성이
좋더군요.. 밤에 야맹증은 아닌데..
잘 안보려서 정말 수많은 전구 교체를
했었는데..
그나마 오스람 제품이 순정대비 넓게 멀리
밣게 보입니다..
참고로 전 오스람과 전혀 관계없구요

정말 할로겐 전구에 너무 많은 투자를
해봤던 사람이라..
혹시 저처럼 고민 하시는분들 위해
말씀드립니다..

글구 100w 전구는 배선 녹더군요
댓글 2개 ▲
2016-10-16 22:59:35추천 0
제가 활동하는 자동차 동호회에서는 전체적인 평가가 필립스 익스트림비전 플러스가 좀 더 선호도가 높더라고요.
오슬람은 안써봤는데, 다음에 기회되면 써보도록해야겠네요.
55W에서 선택 범위가 넓지 않아요ㅜ
2016-10-17 17:11:50추천 0
필립스는 보기는 좋은데..
시인성은 오스람이 더 좋더라구요
오스람 나이트가 3500캘빈정도 되는듯
하더군요
2016-10-16 21:54:49추천 0
좋은 내용 잘 보았네요. 감사합니다. 그런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와트수 자체를 순정보다 높은 것을 쓰면 원칙적으로는 불법 아닌지요?
댓글 1개 ▲
2016-10-16 23:01:24추천 0
안전기준에 위배되는 등화설치는 불법입니다.
하지만 색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는 육안으로 판단되어 거의 90%이상 검사에 걸리는데
100w사용하는걸로는 사실상 걸리기는 힘들죠.
그리고 위에 적어 놓은것처럼 안전성에 위험을 가져다 주므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2016-10-16 22:42:59추천 0
제경우 순정보다 높은 와트 전구 끼우고 배선 태워먹은적 있습니다..
절대 추천하고 싶지 않은 방법입니다.
그냥 다음 차바꿀때 HID 달린차를 사고 진한 전면썬팅은 제거를.
댓글 1개 ▲
2016-10-16 23:01:53추천 0
그렇죠. 그렇기 때문에 저도 순정전조등을 가장 추천합니다~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본인삭제]sweetypie
2016-10-16 23:24:13추천 0
댓글 1개 ▲
2016-10-16 23:32:45추천 1
불법입니다!!!!!!!
물론 제가 기재한 색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전구도 불법이지만, 과하지 않다면 넘어갈 수 있는 범위이고
LED는 빼도 박도 못하는 불법입니다^^
2016-10-16 23:35:42추천 0
전조등 구매 가이드
댓글 0개 ▲
2016-10-17 05:54:06추천 0
다른걸로 교체하지  마세요.  차폭등 나가서 led전구로 갈았는데..검사받을때 불합격...전조등도 아니고..차폭등인데도 안되더군요.
댓글 1개 ▲
2016-10-17 06:52:41추천 0
led는 불법이라니깐요.. 할로겐은 할로겐으로 해야젓
2016-10-17 19:00:38추천 0
현행법에선 전조등은 백색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에대한 색온도 규정은 없습니다.
공단에서는 위의 백색이라는 규정을 '착색되지 않은 등화'로 해석한 것 같습니다. 고로 벌브에 착색이 되어있다면 단속에서 빠꾸먹죠.
당연하게도 순정으로 달려나오거나 따로 허가받지 못한 LED, HID등화는 모두 불법입니다. 그러니 윗분처럼 LED로 교체하면 당연히 불법입니다. 재수없으면 누가 사진찍어서 신고 / 과태료 먹을수도 있죠.
방향지시등/브레이크등을 다른색으로 변경하는것 역시 불법입니다.

제가 10년여간 이것저것 갈아본 결과...
순정등에서는 필립스 익스트림비전이 가장 시인성이 좋았습니다. 광질이라고 해야할까요? 같은 색온도임에도 불구하고 더 맑은 빛이 나와요.
차량마다 다르긴 하지만 고출력 벌브를 사용하면 배선이 녹을 수 있고, 배선 녹으면 배선 다 걷어낸후 교체라 공임이 어마무시하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써야겠다~ 싶으면 쓰세요.

순정등이라는게 뭐 오스람일수도 있고 필립스일수도 있고... 그냥 착색되지 않은 55W 할로겐벌브는 죄다 순정등이라고 해도 무방하구요..
말씀하신것처럼 3700k라고 해도 착색되어있으면 그것역시 검사시 빠꾸먹습니다..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