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 쉬며) 2006년인가.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이 세종시 수도 이전 문제를 국회에서 강행 처리하려고 했다. 열린우리당이 국회 문을 닫아걸고 있으니까 (박근혜) 대표가 얼굴이 파래져 있었다. 한마디로 결정을 못 하는 거다. 하도 어쩔 줄 몰라 하길래 '전화라도 해 보세요'라고 했다. 늘 결정 못 할 때는 어딘가에 전화를 했으니까. 그랬더니 정말 저쪽으로 가서 조용히 전화를 했다. 힘이 쫙 빠지더라."
―최태민씨 이야기도 했나.
"대표 시절 이런 이야기를 내게 한 적이 있다. 꿈에 어머니인 육영수 여사가 나타났다고. 그리고 어머니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나를 밟고 가라. 그리고 어려운 일이 닥치면 최태민 목사와 상의하라'. 귀곡 산장도 아니고. 이게 말이 되나."
― 최씨가 대통령 연설문도 고쳤다는데, 그때는 어땠나.
"(가방 만들었다는) 고영태가 회장(최순실) 취미는 대통령 연설문 고치는 거라 말했을 때 모두 웃었지 않나? 대통령 비서실장은 봉건시대에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 했고. 하지만 나는 웃지 않았다. 당시에도 그랬으니까. 원고가 '걸레'가 되어 돌아왔다."
―걸레가 되어 돌아왔다니.
"(말을 가다듬으며) 개악(改惡)이 되어 돌아왔다는 뜻이다. 박 대표 시절 비서실장은 유승민 의원이었다. 유 의원이 글을 잘 쓴다. 그런데 유 의원이 쓴 대표 연설문이 모처에 다녀오고 나면 걸레, 아니 개악이 되어 돌아왔다는 뜻이다."
―누가 그랬을까.
"그때는 정호성 비서관이 고치는 줄 알았다. 그 자체도 물론 말이 안 되지. 하극상 아니냐. 대표 비서실장이 쓴 원고를 일개 비서가 고치는 거니까. 그리고 더 이상한 것은 우리가 당에서 만든 대표의 '메시지'말고 다른 곳에서 온 메시지를 자꾸 발표하는 거다. 이번에 보니 다 그게 최순실의 작품이었던 거다."
―대통령은 연설문을 선택하거나 평가하지 않나.
"정당 대표의 연설이 그냥 나가는 게 아니다. 3안 혹은 5안 정도로 선택지를 올린다. 그런데 그때마다 대표는 말이 없다. 그 자리에서 혹 고르게 되면 꼭 A급이 아니라 C급을 고르더라고. 뭐라고 해야 할까. 안목이 없었던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