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조선시대 노비들의 ‘한글 계문서’ 첫 확인
게시물ID : humorbest_127232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사닥호
추천 : 56
조회수 : 4819회
댓글수 : 27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6/06/30 11:50:06
원본글 작성시간 : 2016/06/29 21:56:14
78894239.1_99_20160628030905.jpg

‘황강아지, 김뭉치, 김바회, 손삭담이, 김슈벅이, 강돌상, 노막산….’

정겨운 어감의 이 순우리말 이름들은 18세기 경남 진주의 대곡면 마진마을 재령 이씨 집안 노비와 마을 백성들의 이름이다. 이 노비들이 한글로 적은 계(契) 문서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안승준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올 4월 경남 진주시 마진마을 재령 이씨 종가 문서를 조사하다가 18, 19세기 이 마을 백성과 노비들이 한글로 쓴 ‘상계(喪契) 문서’를 다량 찾아냈다고 27일 밝혔다. 상계는 상(喪)을 치르고 제사 지내는 일을 서로 돕기 위해 만든 계다. 양반들이 한자로 적은 계 문서는 있지만 노비 등이 한글로 적은 계 문서는 처음이다.

안 책임연구원은 “노비가 주인의 명령을 받아 쓴 한글 매매계약서 등은 수십 장 남아 있지만 자신들의 일에 관해 주체적으로 쓴 문서를 확인한 것 역시 처음”이라며 “‘어린 백성’을 위해 만들었다는 훈민정음의 이상이 실현된 증거”라고 말했다.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0&aid=0002983699&sid1=001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