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유고슬로비아 - 세르비아 MIG-29 이야기 (2편)
게시물ID : military2_64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중동사람
추천 : 12
조회수 : 1570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6/12/11 11:56:37

1편과 통합되어 있습니다.



유고슬로비아 연방 공군 (Jugoslavensko Ratno zrakoplovstvo, JRViPVO)


 유고슬로비아 연방은 자주국방 정책 덕분에 대부분의 무기들은 자체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 노력했고 80년대 중반쯔음에는 유고슬로비아 연방 군수산업과 제조업은 사실상 거의 대부분의 무기를 자체적으로 설게, 양산할 능력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그동안 고급 기술을 요구하는 항공기 특히 항공우세를 전투기는 여전히 수입에 의존해야 했지만 이쯤 부터 자체적인 전투기 생산 능력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유고슬로비아 공군은 그동안 MIG-21 계열을 주력 전투기로 [MIG-21F-13(L-12)/MIG-21PFM(L-14)/MIG-21M(L-15)/MIG-21Bis(L-17) 등..] 사용하고 있었고 J-21,J-22 같은 자체 제작 공격기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외교정책에 따라 원할하지 않았던 소비에트 연방과의 관계덕분에 다른 사회주의 국가와 달리 신규 기체 구입이 사실상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중반부터 기술과 양산할 능력을 확보하게 되면서 시급히 오래된 MIG-21과 J-21 항공기를 대체할 신규 다목적 전투기를 개발 계획을 시급히 세우게 됩니다. 바로 유고슬로비아 연방에 4세대 다목적 전투기 계획인 Novi Avion 입니다. 



1480157310.jpg




1480157310 (1).jpg

새 항공기 개발


 육군과 해군의 의견을 대폭 받아들어 단수한 요격, 공중우세뿐만 아니라 지상 공격, 대함등 다목적으로 설게된 이 항공기는 유고슬로비아가 부족한 기술을 프랑스 회사와 협력하면서 채웠고 그 덕분에 빠른 속도로 진행되게 됩니다. 프랑스제  M88엔진을 장착하여 마치 1개 엔진 라팔과 비슷하게 설계된 이 항공기는 당시 시대에 맞는 설계와 성능을 목표로 가지고 있었습니다. 디지털화된 비행 제어 시스템, 화기 관제 레이더와 이를 표시해주는 완전한 글래스 콧픽이나 현대적인 ECM/ECCM등을 갖추고 있었고 진짜 스텔스기는 아니지만 RCS를 낮추기 위한 여러 설계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총 11개의 하드 포인트(2개의 날개끝 포인트까지 포함)에서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나 공대지, 공대함, 로켓, 레이저 유도 폭탄등을 무장할 수 있었고(프랑스의 도움을 받은 덕분에 프랑스제나 나토제 무장도 사용 가능하도록 고려) 30mm 기관포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1992년에 첫 프로토타입을 완성하여 처녀비행을 하고 1995년쯔음에 첫 실전배치하여 후반까지 150~200여대를 배치하여 구형 MIG-21과 J-21을 대체하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계획이 잘 풀릴경우 해외 수출은 최대 700여대 까지 가능하다고 전망했고 지금도 괜찮은 4/4.5세대 항공기로 이름을 남길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1991년 유고 연방이 해체되면서 계획은 중단되고 맙니다. 



1480439835.jpg



땜방용 MIG-29의 도입.


 그러나 이 신규 기체 개발 자체는 순조로웠지만 유고슬로비아 공군은 개발 프로젝트가 잘 풀리더라도 90년대 중반까지 MIG-21 계열을 주력 전투기로 사용할 처지였고 만약 개발 프로젝트가 조금이라도 꼬이면 말 그대로 유고 연방 공군은 21세기에도 오래됀 MIG-21을 굴리는 말 그대로 처참한 상황에 처할 수 있는 상태였고 그에 따라 그 공백기를 채워줄 땜방용 제공기 확보에 눈을 돌리게 됩니다. 


처음에 생각한것은 미라지 2000으로 유고슬로비아 공군 위원회도 긍정적으로 판단했지만 도입 비용은 생각 보다 높았고 유고슬로비아 연방은 주저하였고 그때 소비에트 연방은 다른 제안을 하게 됩니다. 바로 자국 중고 MIG-29를 부채 탕감을 조건으로 넘겨주겠다는 조건입니다. 비록 중고였으나 유고 공군은 차세대 전투기 개발 프로젝트로 그리 오래 굴릴 필요도 없었고 미라지 2000보다 훨씬 쌌을 뿐만 아니라 MIG-29는 당시 소비에트 연방에서 판매하는 제공기중 가장 최신 기체로 자국 차세대 항공기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 유고슬로비아 연방은 이 제안을 받아들입니다.


차세대 항공기 개발 진행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도입할 생각도 가지면서 유고슬로비아 연방은 1987년 계약을 채결했고 소련은 기체 재점검후 MIG-29S(9-13) 14대와 MIG-29UB(9-51) 2대를 보냅니다. 



1480439835 (1).jpg


1.jpg


2.jpg


3.jpg


4.jpg


5.jpg


6.jpg


유고슬로비아 공군 & 방공군(Jugoslavensko Ratno zrakoplovstvo, JRViPVO)은 기체를 수령하여 수도인 베오그라드 근처에 바티이니치 (Batajnica)공군기지에 주둔하는 기사(Vitezovi)로 불리는 204 전투기 비행 연대(204. Lovacki Avijacijski Puk)에 127 비행대대(127. Lovacka Avijacijska Eskadrila)에 배속하였습니다. 


 배속되자마자 세르비아 공군은 이전 항공기 처럼 자체적인 식별 번호와 명명법에 따라 이들 MIG-29를 L-18로 명명했고 (L은 Lovac의 약자로 Hunter 즉 요격을 뜻합니다.) 소련에서 부여한 시리얼 번호도 새 도장하는 와중에 모두 지우고 자체적인 번호를 매겼습니다. (1987년 이라크 공군도 이에 영향을 받아 자체적인 번호를 매겼습니다.) L-18이라는 이름대로 MIG-29S는 18101-18114 번호가 부여됬고 MIG-29UB는 15301-15302라고 매겨졌습니다. 이들 번호는 날개에 검은색 페인트로 새롭게 새겨졌고 마지막 세자리 번호는 콧픽 밑과 날개 우측위에도 새겼습니다. 국적표시기호는 양쪽 엔진 인테이크와 오른쪽 인테이크 윗 부분 그리고 오른쪽 날개 하단에 넣었습니다.



7.jpg


8.jpg


9.jpg


현재의 바타이니치 공군기지와 세르비아 공군 MIG-29들. 이들 MIG-29가 바로 지금의 유고슬로비아 공군 MIG-29의 생존자들입니다.



10.jpg


11.jpg


실전에 뛰어들다


 이들은 최정예 취급을 받으며 수도 영공을 방위하고 최정예 파일럿과 유지 보수를 받았지만 좋은 시절은 얼마 못가 사라지게 됩니다. 1991년 6월 25일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연방 탈퇴 선언을 하고 이를 유고 연방이 무력으로 제압하려 하면서 첫번째 내전이 발발하면서 이들 MIG-29은 실전을 뛰게 됩니다. 6 ~ 7월 동안 유고슬로비아 연방군(Jugoslovenska Narodna Armija, "JNA")이 슬로베니아 민병대와 지역 방위군과 교전을 펼치는 동안 MIG-29는 출격하여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국경선 부근에서 전투 초게 (CAP)임무를 수행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들 항공기는 공대지 임무에 뛰어들지는 않았습니다.


 1991년부터 1992년 초반까지 슬로베이나와 인접한 크로아티아에서 전투가 치열해졌으며(크로아티아 내전) 1991년 9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하게 됩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의 3분의 2나 차지하는 이슬람교를 믿는 보스아니계와 크로아티아 독립과 전투로 인해서 크로아티아계 계층이 동요하기 시작하였고 세르비아계에 반대에도 불구하고 1992년 2월 결국 그들이 보스니아 공화국에서 독립을 선언 하면서 일명 보스니아 내전이 1995년까지 발발하게 됩니다.  



12.gif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1991년 민족 구성. 

13.jpg
14.jpg



1992년 2월 보스니아 내전으로 유고 슬로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은 완벽히 붕괴하였고 몬테네그로 공화국과 함께 유고슬로비아 연방 공화국이 1992년 4월, 일명 신 유고 연방을 세우고 본격적으로 전투를 벌이기 시작합니다. 이에 따라 신 유고연방 공군 MIG-29는 지상공격 임무를 요구받았고 이에따라 1991-1992년초 크로아티아 내전과 보스니아 내전 1992-1995년동안 에서 보스니아-세르비아 국경지대와 크로아티아 남서부 자다르(Zadar) 지역에 수차례 지상 공격 임무를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주목할만한 지상 공격 임무는 바로 크로아티아 대통령 암살 작전입니다. 프라뇨 투지만(Franjo Tuđman) 크로아티아 대통령 암살을 위해서 대통령궁에 공습하여 암살하려고 했던 이 작전은 유고슬로비아 공군 MIG-29이 1991년 10월 7일, 미제 매버릭(AGM-65)을 장착하고 대통령궁을 공습했습니다. 공습은 성공했으나 불과 몇십 센티미터 차이로 기적적으로 대통령은 생존하게 되었습니다.  (유고연방은 독자적인 외교정책 덕분에 사회주의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미국과도 관계를 맺고 있었고 덕분에 미국제 무기를 수입하기도 했습니다. ) 

   


15.jpg


자다르, 크로아티아. 현재


크로아티아 정부나 보스니아 무슬림 정부, 이슬람계 보스니아 군벌, 크로아티아계 보스니아 군벌등은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 일련번호까지 제시하면서 최소 2대 최대 4대의 MIG-29를 격추했다고 주장하였고 몇몇 권위있는 언론까지 1992년 18103,18107,18110 MIG-29 기체가 격추됬다고 이를 보도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과 달리 유고슬로비아 공군& 방공군 127 비행대대(연방이 사실상 붕괴되어 새롭게 신 유고 연방이 세워짐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여전히 유고슬로비아 연방 공군 및 방공군(JRViPVO)이라고 불렀습니다. )는 단 한대의 MIG-29를 잃지 않았고 1996년까지 활발하게 MIG-29S 14대와 MIG-29UB 2대는 제대로 현역으로서 작전을 수행하였습니다. 1995년 12월 14일 보스니아 내전이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튼에서 데이튼 협정이 채결되면서 겨우 보스니아 내전은 종식되었습니다. 겨우겨우 MIG-29는 휴식과 재보급을 할 시간이 생겼으나 부품과 탄약은 거의 동나기 직전이였습니다.


결국 1996년부터는 신 유고연방이 연방 붕괴 이후 혼란과 그동안 여러 작전에 참여한 피로와 예비 부품이 동나면서 MIG-29의 작전 능력에 크나큰 차질이 생겼기 시작했습니다. 



16.jpg

17.jpg


1989년 소비에트 연방 공군 MIG-29S. 


열악해진 환경.


 이는 유고연방도 예상치 못한 부분중 하나였는데 유고슬로비아 공군 MIG-29는 원래 1983년-84년에 생산된 초기 생산분으로 소련 공군에서 몇년동안 사용된 이후 검사 후 1987년 유고슬로비아로 보내진 물건으로 1996년쯔음이면 연식도 10년이 넘었고 같이 보내준 소모품이나 예비 부품이 다 떨어질 시기였습니다. 하지만 혼란 상황과 경제력 악화 때문에 MIG-29는 제대로된 정비나 수리도 없이 지속적으로 작전에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소모품이나 에비 부품 마련길이 없어진 상황이였습니다.


 정확히 따지면 당시 계약 채결 당시 1996년 쯔음이면 위에 설명한 유고슬로비아 공군은 최신 기체이자 자국산 다목적 전투기인 Novi Avion 실전배치가 시작될 무렵이였고 예비 부품을 그때쯤 천천히 다시 계약해오면 된다고 여겼고 설사 Novi Avion  개발이 지연되거나 실패해도 90년대 초에 추가적으로 기체를 도입하면서 추가로 예비 부품과 소모품을 받아올 계획이였죠. 하지만 유고 연방 붕괴는 재정상 악화와 혼란을 가져다 주었고 추가로 도입하거나 예비부품을 받을 그럴 여유를 주지 않았고 1996년 쯔음에 부품이 동나면서 MIG-29는 가혹한 운명에 시달리게 됩니다. 세르비아 대통령이자 신 유고연방 대통령이고 독재자인 슬로보단 밀로세비치 역시 가뜩이나 나쁜 재정적 상황에 부패까지 더해져 추가적인 전술기 도입은 커녕 전술기 관리 예산조차 확보 못했고 그는 당장의 독립 운동을 가혹하게 때려잡을 경찰조직이나 만들고 보스니아 내전에 쓸데없이 크게 개입하기 일쑤였습니다.


결국 1998년 쯔음에 되면 가장 최정예라는 127 비행대대조차 연간 비행시간이 20시간도 못 채우는 수준으로 떨어지고 그 어떠한 정비나 수리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열악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18.jpg

19.jpg

20.jpg


유고슬로비아 MIG-29.


새로운 불길의 시작


 1995년 코소보에 독립을 주장하는 코소보 해방군이 창설되었고 무장 투쟁을 벌이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사실상 범죄조직에 가깝고 독립 운동은 뜸했지만 1998년 3월 코소보 해방군이 세르비아 경찰을 사살하면서 사건이 심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즉각 신유고연방군이 코소보에 진주하였고 알바니아계를 학살하기 시작하자 NATO는 개입 카드를 만지기 시작했습니다.


 1998년 6월, 미국과 국제연합(UN)은 코소보 사태에 개입을 선언하였고 신유고 연방군 코소보 철수와 즉각 알바니아계 학살 중지를 요구합니다. 하지만 1998년 8월 코소보 해방군 주요 거점지를 신유고연방군이 공격하여 점령하는등 국제사회 목소리를 무시하였고 10월 NATO는 세르비아에 대한 무력사용을 결정하였습니다.


NATO 연합 공군과 교전하다.


 1999년초 밀로세비치와 미국의 담판이 실패에 들어서자 신유고연방 특히 세르비아 공화국은 전쟁 준비에 들어가게 됩니다. (몬테네그로 공화국은 중립을 선언함) 에초에 공군력에서 세르비아는 NATO 연합군과 상대가 안됬고 자연스럽게 전쟁 준비 역시 수세적이고 방어적인 전술을 채택하게 됩니다. NATO 연합 공군은 SA-3/SA-6(S-125 NEVA/2K-12 Kub) 등 지대공 무기가 주가 되어 교전할 예정이였고 MIG-29 같은 제공기는 NATO가 본격적으로 지상군을 투입하여 본격적인 전투가 시작될때 전투할 기회를 부여하도록 하여 그전 까지 최대한 전력을 보존한다는 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계획은 실수였습니다. NATO는 세르비아나 몬테네그로 공화국에 직접 대규모 지상군을 파견하여 교전하고 지역을 점령할 생각이 없었습니다. 그저 제한적인 공군의 공습을 통해서 세르비아 독재자분에게 서방이 코소보 사태를 얼마나 엄중하고 심각하게 보는줄 알게 해주고 코소보에서 철수하도록 스스로 깨우치게 해주는 참교육 정도만 해줄 생각이였습니다. 거기에다 유고슬로비아 군 상층부는 127 비행대대 파일럿과 부대원들이 불리한 상황에서 최대한 안전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서 계획한 MIG-29가 저고도에 대기하다가 지상관제센터에서 알려주면 즉각 고고도로 상승해서 미사일 쏘고 튀는 일명 히트 앤 런 전법 대신 중고도에서 대기하면서 적을 맞이해 교전할 것을 요구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했습니다.

21.jpg

22.jpg


코소보 전쟁 당시 신 유고연방군 (세르비아군/ 몬데네그로 공화국은 중립을 선언함) SA-6 포대.


악몽의 밤


1999원 3월 24일 NATO 연합공군은 세르비아로 공습을 개시합니다. 그동안 유고슬로비아 공군 MIG-29는 작전 수행가능한 소수의 기체가 여러 곳으로 분산하여 대기하고 있었고 나머지 기체는 나중을 위해서 안전한 곳에서 보관하고 있었습니다. (작전 가능한 MIG-29가 니스 공군기지 - 2대, 바타이니차 공군기지 - 2대, 포니크베 1대) 



23.jpg


세르비아 - 니스 2011년.

 


24.jpg


유고슬로비아 공군 - J-21 


 이 조치는 가뜩이나 기체수도 부족한데 분산 배치하여 적은 숫자의 전술기가 너무 넓은 영공을 커버하게 되었고 취약점은 더욱 더 쉽게 노출되고 말았습니다. 3월 24일 저녁 나토 연합 공군이 작전을 개시하자 MIG-29도 동시에 작전을 개시하였습니다. 니스 공군기지에서 2대의 MIG-29S가 스크램블하였고 세르비아 남부와 코소보에 접근하는 NATO 공군기를 요격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질적으로 양적으로도 밀리는 이 MIG-29들은 불운한 최후를 맞이합니다. 이륙과 동시에 NATO E-3에 포착된 이들 MIG-29는 바로 NATO 항공기에 공격을 받았습니다. 드리켄 일리치 소령(Dragan Ilic)이 조종하는 MIG-29 향해 왕립 네덜란드 공군 323 스쿼드론 소속 F-16AM이 AIM-120 암람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하였고 현지시각 8시 52분에 베오고라드 근처에 맞고 대파당했습니다. (혹은 세르비아 방공군 SA-6에 맞았다는 말도 있습니다.) 일리요 아리지노프 소령이(Ilijo Arizanov) 조종한 다른 MIG-29는 코소보 상공에서 미 공군 352 파이터 스쿼드론 소속 세자르 '리코' 로드리기즈(Ceaser 'Rico' Rodriguez) 대령이 조종하는 F-15C가 발사한 AIM-120 암람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맞고 격추당했습니다.



1480237200 (1).jpg


1999년 3월 27일 미 육군이 확보한 MIG-29 잔해. Tracy Trotter 병장 촬영 / 미 국방성 제공


25.jpg


역시 같은 날 격추당한 MIG-29  잔해. 


 바티이니차 공군기지에 출격한 MIG-29 2대는 더 나쁜 운명을 꺾었습니다. 네보이자 니콜리치(Nebojsa Nikolic) 소령의 MIG-29는 이륙하자 마자 437 파이터 스쿼드론 소속 샤워스(Showers) 대위가 조종하는 F-15C가 발사한 AIM-120 암람을 맞고 격추당했으며 나머지 류비사 쿨리친(Ljubisa Kulacin) 소령의 MIG-29는 기체 시스템이 온갖 고장을 일으켰고 기체 시스템을 제정상을 돌리기 위해서 사투를 벌이는 동안 몇발의 미사일을 회피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현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거 자체가 없다고 판단했고 결국 귀향을 선택합니다. 하지만  MIG-29가 이륙한 바티이니차 공군기지는 그세 NATO 공군의 거센 공습을 받고 있었고 그는 결국 베오그라드 국제공항으로 우회하여 안전하게 착륙합니다. 


 사실 쿨리친 소령의 경험은 그 혼자만의 경험이 아닌 다른 조종사역시 다 경험한 문제였습니다. 당장 오늘 이륙한 3명의 조종사 모두 항법과 화기 관제 시스템의 크고 작은 문제를 겪었습니다. 시리얼 번호 18112번  아리지노프 소령의 MIG-29는 무전기와 SPO-15 레이더 경보 시스템(RWR)이 동작하지 않았고 18104번 일리치 소령의 MIG-29는 레이더 작동이 되지 않았다. 18111번 니콜리치 소령의 MIG-29는 레이더는 작동하지 않았고 SN-29 미사일 유도 시스템과 SPO-15 레이더 경보 시스템(RWR)은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26.jpg
27.jpg


SPO-15 RWR.


하지만 그날밤 마지막으로 출격한 5번째 MIG-29 는 아직까지 비행중이였습니다.


-------------------------------------------------------------

(2편 시작)


 프레드락 밀루티노비치(Predrag Milutinovic) 소령이 조종하는 마지막  MIG-29는 비행중이기는 하지만 이륙하 마자 레이더는 작동 불능 상태에 빠졌고 심지어 항공 전자장비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마져 고장이 났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다행이도 그의 SPO-15 RWR는 근접하는 미사일을 경고했고 그는 몇발의 미사일을 기동끝에 전부 회피하였습니다. 레이더가 작동하지 않아 사실상 교전이 불가능 했던 그는 교전을 회피하고 즉시 착륙할 비행장을 찾았지만 그의 운도 여기서 끝이였습니다. 왕립 네덜란드 공군 332 스쿼드론 소속 피터 탄킨크 소령이 조종하는 F-16A/MLU(AM)이 AIM-120A를 재차 발사하여 RWR가 경고음을 내보냈지만 이번엔 그의 기체는 당하고 말았습니다. 밀루티노비치 소령은 기체를 포기하고 즉각 탈출 하였습니다. 


 127 비행대대는 개전 첫날 NATO 연합 공군과 교전하였으나 단 한번이라도 제대로 미사일도 못 발사해보고 5대 기체중 3기 격추, 1기 대파, 1기 교전 불능 상태로 착륙이라는 참혹한 전과를 올리고 끝났습니다. 다만 긍정적인 점은 모든 조종사가 성공적으로 탈출하였고 가장 중한 부상자도 몇일만에 완벽하게 회복하는데 성공했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미공군 437 스쿼드론 소속 F-15C 중 Ceaser 'Rico' Rodriguez 대령은 1대의 MIG-29를 격추시켰고 Showers 대위는 2기의 기체와 교전하여 1기를 격추시켰으며 왕립 네덜란드 공군 332 스쿼드론 소속 피터 탄킨크 소령이 조종하는 F-16A/MLU(AM) 한대가 1기의 MIG-29를 격추 시킨것은 확실하지만 일리치 소령이 조종한 MIG-29까지 격추시켰는지는 아직까지도 불분명합니다. (당시 SA-6으로 무장해 지역 방공을 책임지던 311 지대공 미사일 연대가 격추시켰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28.jpg


네보이자 니콜라니 소령의 MIG-29. 


29.jpg

30.jpg


네덜란드 공군 킬마크. 네덜란드 공군은 2차세계대전이후 코소보 전쟁에서 처음으로 공대공 전투에서 항공기를 격추시켰습니다. 


당시 네덜란드 공군과 미공군은 F-15E, 토네이도, F-16을 구성된 스트라이크 패키지를 호위하는 임무로 E-3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지원을 받아 4대 편대로 구성받아 MIG-29과 교전했습니다.


31.jpg


R-60으로 무장한 유고슬로비아 공군 MIG-29.


32.jpg


2009년. 공습을 받고 파괴된 격납고와 디코이 MIG-29


33.jpg

34.jpg


코소보 전쟁당시 세르비아군은 MIG-29 모형을 여러 기지에 세워나 진짜 MIG-29를 보호하고 나토가 세르비아 공군 전력을 오판해 좀더 조심스러운 작전을 펼치도록 유도하였습니다. 


3 ~ 4월


 이렇게 참혹한 밤이 끝나고 25일 아침, 바타이니차 공군기지에서 숨어있던 슬로보단 테사노비치(Slobodan Tesanovic) 소령 소속 MIG-29이 몰래 다음 NATO 공습이 예상되던 포드그리차로 이동하였습니다. 거기서 대기하다 나토군이 포착되면 출격할 예정이였으나 그는 그럴수 없었습니다. 그날 저녁 포드그리차 공군기지는 NATO 공격을 받아 그의 MIG-29이 손상을 입었습니다. 지상 기지 엔지니어들인 밤을 꼬박 고생한 덕분에 26일 아침에서야 그는 포니코베(Ponikve) 공군기지로 겨우 이동할 수 있습니다.



35.jpg


포도그리차 전경. 몬테네그로의 수도입니다. 


 한편 3월 25일 오후 페리치 소령(Peric)과 라도사블례비치 대위(Radosavljevic)는 지상 레이더에서 확인된 세르비아 북서부 상공을 고속으로 비행중인 미라지 4 정찰기로 추정되는 항공기를 요격하라는 명령을 받고(GCI, ground-controlled interception) 바나이니차 공항에서 스크램블하여 즉각 요격태세에 도입합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MIG-29 편대에 두 기체 모두 레이더 고장을 겪고 페리치 소령 MIG-29는 SPO-15 RWR이 작동 안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게 됩니다. 지상 관제소는 즉각 북쪽으로 이동시킨후 남서쪽으로 빠지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그들은 보스니아 영공을 침범하게 되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아 공화국 투즐라 시(Tuzla) 하늘에서 전투 초계하고 있던 439 파이터 스쿼드론소속  F-15C에게 발각되고 맙니다. 지상관제소는 사전에 근처의 NATO군 항공기가 있다고 경고했으나 구체적인 정보는 전달하지 못했고 이는 편대에게 비극으로 끝나게되는 단초를 제공하게 됩니다. 추적에 들어선 F-15C 중 콜싸인 Claw(제프리 황 대위). Boomer(맥 머레이 대위) 라고 불리는 F-15C 2기를 포함한 3기가  오후 5시경 AIM-120A 암람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3발을 발사하였고 발사를 사실을 안 편대는 즉각 상승하여 회피 시도를 하여 한발을 회피하지만 나머지 두발은 2대 전부 명중하게됩니다. 이로써 콜싸인 Claw, Boomer 는 각각 1대의 격추기록을 세우게 됩니다. 향후 조사결과로는 제프리 황 대위 AIM-120A가 동시에 두기를 격추시킨 것으로 확인됬습니다.  페리치 소령은 탈출에 성공했지만 라도사블례비치 대위는 전사하고 맙니다. 


36.jpg

37.jpg



격추된 페리치 소령 MIG-29

38.jpg
39.jpg
40.jpg
41.jpg



보스니아 - 세르비아 국경 부분에 추락한  라도사블례비치 대위 MIG-29.

42.jpg
43.jpg


격추 마크

44.jpg


전사한 라도사블례비치 대위 모습. 그의 시신은 언덕에 한 세르비아 공화국 소년이 발견하여 그의 할머니와 어머니에 알리면서 수습되게 되었습니다. 

45.jpg
46.jpg


바타이니치 공군기지 공습. 사진 제공 NATO.  - 공습으로 총 4대의 MIG-29를 손실하였습니다. 


 일련의 기체고장과 단 한차례도 전투다운 전투를 하지못하고 다수의 기체를 상실하자 127 비행대대 인원들과 유고슬로비아 연방 공군 고위부와 갈등은 더욱 커졌습니다. 결국 공군 사령관인 류비사 벨리코비치(Ljubisa Velickovic)가 ( 서구로 치면 3성 ~ 4성) 상황이 얼마나 심각하지 두눈으로 알기 위해 직접 MIG-29 18105번를 시험 비행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3월 말 부터는 NATO군 전략을 파악한 유고슬로비아 연방 공군 고위부는 심각한 MIG-29 손상을 고려하여 나중을 위해 보관중인 MIG-29를 꺼내 작전 가능 상태로 만들기 위한 작업에 들어가게 되면서 127 비행대대 인원들은 엄청나게 열심히 일합니다. 


 처음으로 18101번 기체가 작전 가능 상태로 돌입하여 시험 비행에 성공했고, 보라 조리야 소령은 4월 5일에 혼자서 기체를 몰고 작전을 진행했지만 여러저러 기능 이상을 겪고 별다른 교전 업이 복귀했습니다. 결국 추가 수리를 위해서 기술자들은 이미 손상되어 작전이 불가능해진 18104번 기체를 뜯어 18101 기체 수리에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2일 후에 새 작전에도 여전히 비슷한 기능 이상을 보였습니다. 파일럿인 밀렌코비치는 교전없이 기지로 복귀하였습니다. 



47.jpg


98년 바티이니치 에어쇼의 나온 MIG-29. 사진 제공 Vladimir Stojsic

전쟁의 막바지, 고향을 지키기 위해서 출격하다


 거의 한달 동안 MIG-29는 비행 임무 없이 보관 기체를 작전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 분주히 일하고 잇었습니다. 1999년 5월 4일, 밀렌코 파블로비치(Milenko Pavlovic) 중령의 MIG-29는 그의 고향 마을 발례보 지역(Valjevo)을 공습하는 NATO 군 항공기를 요격하라는 임무를 받고 스크램블했습니다. (당시 지역의 존재하던 군수물품 창고와 공장을 목표로 햇습니다.) 그의 고향 마을은 전날 밤 이미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NATO군은 16기 스트라이크 패키지로 엄청난 공습을 퍼부었습니다. 그는 너무 늦게 도착하였고, 기체의 무장 및 항법 시스템의 고장을 경험하게 됩니다. NATO 공군은 이미 작전을 마치고 복귀하는 중이였지만 NATO E-3 공중조기경보통제기는 MIG-29 접근을 탐지하였고 후미에 위치한 78 항공원정대(78th EFS) 소속 F-16CJ 2기가 요격하기 위해 선회를 명령합니다. 이들은 AIM-120A 암람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하였고 그와 동시에 세리비아 방공 부대는 뒷북을 치듯이 MIG-29를 공격하기 시작합니다. 결국 12시 45분 파블로비치 중령의 기체는 격추됬고 중령은 고향 하늘에서 전사하게 됩니다. 세르비아 군은 후에 MIG-29 잔해에서 세르비아 방공부대 소속 스테렐라-2M (9K32M/SA-7B Grail)맨패즈(휴샘) 파편이 발견됬지만 공식적으로 도그라는 콜싸인을 가진 F-16CJ에게 격추 기록이 돌아갑니다.



48.jpg


파블로비치 중령의 모습 그는 탈출하지 못하고 기체에서 사망하였고 그의 시신은 제대로 수습되지 못했습니다. 5월 6일 일단 수숩된 시신이 공동묘지에 매장됬고 바티이니치에서 그의 고향마을을 향하는 길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49.jpg


스테렐라-2

 


50.png


F-16CJ 도그 일명, 미그 킬러 1999년 5월 4일 모습.


종전, 이후 세르비아 공군. 

 한달도 안되 1999년 6월. 엘친을 압박해 세르비아를  협상장으로 끌어내 코소브 전쟁은 종전을 맞게 됩니다. 단 3개월동안 MIG-29 6대를 교전중에 상실하였으며 1대는 대파됬습니다.  15301 - MIG-2UB를 포함하여 총 4대의 MIG-29를 지상에서 격파됬습니다. 1대의 MIG-29는 시험비행중 추락하였습니다. 총 16대중 11대를 손실한 127 비행대대는 복구가 불가능한 수준에 피해를 입었습니다. 종전 후 5대는 계속 비행하였으나 코소보 프리스티나(Pristina) 비행장에서 철수하면서 갈곳이 없어진 MIG-21를 긴급 수혈하면서 비행대대는 다행히 해체되지 않았습니다. 



51.jpg


코소보, 프리스티나 공항 현재. 


그동안 유고슬로비아는 새롭게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2000년 10월 5일 그동안 폭정을 하던 신 유고슬로비아 연방 대통령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권좌에서 물러나면서 유고슬로비아는 민주화되었습니다. 2003년 국명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방국으로 변경하면 유고슬로비아라는 이름은 이렇게 역사의 무대로 사라졌습니다. 2006년에는 몬테네그로도 독립하였고 2008년 2월, 세르비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코소보 마져 독립선언을 하면서 유고 연방의 구성국은 사실상 전부 독립을 이루게됩니다. 


그동안 5기의 남은 MIG-29는 세르비아 공군 소속으로 매우 간단한 비행 임무를 간간히 수행하면서 에어쇼에 가끔 나오는 수준으로 전략하였습니다. 그러나 더이상 유지보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2004년 4월 MIG-29 비행임무를 중지하며 휴면상태에 들어갔습니다. 


52.jpg
53.jpg
54.jpg


 그러나 2006년 1월, 세르비아는 당시 환율로 1천만 유로를 들어 MIG-29 오버홀 작업에 들어가게 되면서 다시 이야기는 달라지게 됩니다. MIG사의 협력하에 세르비아 자체 오버홀 공장에서 점검과 개보수를 거쳐 다시 헌역을 복귀하기로 결론을 냈고 2007년 10월, 2기의 MIG-29가 세르비아 공군으로 보내졌고 2008년 군사 훈련에 비행을 통해서 다시 데뷔하면서 2004년 이후 4년만에 비행으로 다시 헌역으로 복귀했음을 상징적으로 알렸습니다. 


하지만 세르비아 공군에서 MIG-29를 운용할 수 있는 파일럿은 8명이며 총기체는 5대에 불과합니다. 사실상 의미있는 전력이라고 보기 힘든 수준으로 별다른 개량점도 없이 그저 임무 수행가능하도록 수리한 수준으로 그마저도 2009년 7월 8일 MIG-29 한대가 추락하고 파일럿도 사망하면서 3대의 MIG-29S와 1대의 MIG-29UB 라는 전력으로 더욱더 쪼그라들었습니다. 


55.jpg


2008년 4월, 18108기 

 

 다행히. 2016년 초에 러시아와 계약을 체결하여 2016년내로 6대의 신규 MIG-29를 받게 되면서 세르비아 공군에서 MIG-29는 수명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세르비아는 더이상 거대한 공군을 보유할 여력이 안되어 장기적으로 세르비아 공군 & 방공군은 MIG-29 추가 대량 도입보다는 Tor, BUK, 판치르 S1 같은 방공 무기 체계 도입에 더욱 더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 Conflict in the Balkans 1991–2000 by Tim Ripley

- Gallant Knights, MiG-29 in Action during Allied Force, by Mark Nixon, AirForces Monthly magazine, January 2002. 

- MiG-29 Fulcrum in Action, by Hans-Heiri Stapfer (Color by Don Greer, illustrated by Joe Sewell), Aircraft Number 112, Squadron/Signal Publications, 1991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