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포멧하시는분 참고글입니다
게시물ID : computer_12921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게이건가?
추천 : 0
조회수 : 584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3/11/21 11:04:05
본글은 포멧을 전혀 할줄모르거나 경험이 없는분은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바쁘시면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포멧 특성상 스샷찍기 힘들어 글만 씁니다.

우선 포멧을 하기위한 준비물은 다들 아실겁니다.

운영체제 설치파일 : 종류로는 USB , DVD , HDD 등등 있지만 개인적으론 USB, DVD 추천합니다 이동성이 좋죠

40G 이상의 ROM장치 : 대표적으론 HDD,SSD가 있습니다 ROM이면 어느정도까지 설치가능하지만 앞의 두종류가 성능이 좋습니다.
40G이상인 이유는 기본적으로 운영체제에 할당해주는 용량은 여유분 포함 30G(WIN7 기준)입니다.

적당한 컴퓨터 :WIN7 은 제가 최소사양 돌린게 팬티엄4 , 1G DDR , 40G , 라데온 9550(HD아님) 입니다. 이 이상은 다 쓰시면 됩니다.
리눅스는 사양 크게 안따지는걸로 압니다. 그냥 쓰시지요 하하
맥은 사양을 타는걸로 아나 쓰시는분들 다 고사양 쓰던데...

우선 포멧을 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그중에서는 포멧을 할 필요가 없는경우가 많은데요
포멧을 해야하는 경우 3가지를 정리하겠습니다. 더 있을수도 있으나 전 대부분 이경우 포멧을 합니다

1.메인보드가 바뀌었다
칩셋이 같거나 메인제조사가 같다면 부팅이 될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부팅되지 않습니다.
만약 고스트를 사용해서 하드점핑을 하고 싶다면 미리 바꿀컴퓨터의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되는경우도 있습니다만
드라이버 자체가 설치되지않거나 설치해도 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초,중급 분들은 포멧하는게 좋습니다.

2.찾을수 없는 프로그램에 의해 느려지는 경우
실행중인것도 아니고 어느 부분에 의해 CPU의 일정부분이 계속 어딘가에 할당되고 있거나 아무것도 안하는데
RAM 사용률이 이상할정도로 높거나 모르는 사이트에 계속 자동으로 엑세스중인경우 고쳐도 다시 살아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경우 포멧을 하는것이 컴퓨터 수명연장에 도움을 줍니다.

3.복구 불가능한 윈도우 오류
설명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포멧하는 순서를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CMOS셋업을 합니다.
컴퓨터 종류에 따라 아래글이 해당되지 않을수 있지만 대부분 저런 과정을 거치게됩니다.
특별히 만질것은 부팅순서 뿐이지만 다른 메뉴들도 한번씩 들어가서 읽어보면(영어지만) 도움이 됩니다.
메인보드에 있는 기능들이 비교적 상세하게 영어로 적혀있습니다.
부팅순서 변경으로 가시면 1번~4번까지 설정이 가능할것입니다.
USB의 경우 HDD를 1번으로 놓으시면되고 DVD의경우 CD:DVD를 면저 놓으시면 됩니다.
그다음 하드디스크 부팅순서를 정해주셔야 하는데 USB,멀티하드유저는 꼭 셋팅을 해야합니다.
반대로 하드가 1개이고 DVD로 포멧하는 경우 설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부팅순서는 상위 두가지만 있으면 되고 나머지는 비중이 적습니다.
최상위는 USB를 설정하고 그 바로아래는 부팅에 사용할 하드를 설정합니다. 
내부메뉴의 경우 제조사가 상세하게 적힌경우가 많으니 큰 어려움 없을것입니다.

위 셋팅이 끝나면 F10 키를 눌러 저장하고 나옵니다.

그다음 OS설치를 하기위해 DVD , USB로 접속을 합니다.
USB는 특별히 할건없고 DVD사용자는 아무키나 누르라는 명령이 나옵니다.
그때 아무키나 누르면 설치메뉴로 들어갑니다. 안눌러도 되는 운영체제도 있습니다.
여기까지 오셨으면 거의 끝났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먼저 키보드를 설정하는데 기본설정된것 쓰시면 됩니다. 잘못 눌러도 나중에 고칠수 있으니까
그다음 가장 중요한 하드디스크 설정입니다. 사실 전 하드디스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포멧을 할땐 하드디스크를 하나만 놔두고 뽑아두는 편입니다. 
우선 사용할 하드디스크를 고르시고 하드디스크에 있는 파티션은 모두 삭제합니다. 파티션이 남아있으면
이전에 사용하던 윈도우 정보가 남아 재설치 과정을 타게되니 파티션을 모두 지우시는것이 좋습니다.
파티션을 지우시고 다시 새 파티션을 만드실텐데 하드용량은 1000MB 이런것보단 1024MB가 깔끔합니다.
이유는 1000MB 를 설정하면 0.9xGB 가 표기되고 1024MB는 1GB가 표시되니 개인적으론 좋더라구요
파티션을 나누고 윈도우 설치를 진행하면 그다음은 자동적으로 설치가 끝이 납니다.

실제 포멧과정은 여기까지가 끝이라고 보면 되죠
중간에 오류가 발생하는경우는 직접 상황을 보아야 대처가 가능합니다.
여기서 팁 같은 내용으로는 적기 힘드네요 하하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할게없으니 이런글이나 쓰네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