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재외동포들의 세월호 참사 1000일 기억과 행동
게시물ID : sewol_5360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ight77
추천 : 10
조회수 : 16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7/01/09 16:57:55

기사 전문 -> https://thenewspro.org/?p=24275


재외동포들의 세월호 참사 1000일 기억과 행동
– “박근혜 내려오고 세월호 올라오라”
– 강력한 세월호 특조위를 세워 진상규명하는 2017년 다짐

편집부


로스앤젤레스 세월호 1000일 추모 행사 – 현장 스케치, Brian Jung

세월호 참사 천일 째인 1월 9일을 전후해 13개국 34개 이상의 지역에서 재외동포들의 세월호 기억행동이 이어지고 있다. 재외동포들은 기억 행동 후 페이스북이나 블로그 등에 후기를 올리며, 참사를 기억하고 진상규명 활동에 도움이 되겠다는 다짐을 새롭게 하고 있다.

뉴질랜드(오클랜드), 독일 (뮌헨, 베를린, 슈투트가르트, 프랑크푸르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뉴욕, 뉴저지, 로스앤젤레스, 보스턴, 북가주, 샌디에이고, 시애틀, 시카고, 애틀랜타, 워싱턴 디시, 필라델피아, 하와이, 휴스턴), 아르헨티나 (코르도바), 아일랜드 (더블린), 영국(런던), 이탈리아(로마),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일본(동경), 에스토니아(탈린), 캐나다(몬트리올, 밴쿠버, 빅토리아, 애드먼튼, 토론토), 핀란드(헬싱키), 호주(멜번, 시드니) 등에서 보내오는 집회 사진과 동영상은 참석한 사람들과 집회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동부지역의 폭설로 노스캐롤라이나와 보스턴 지역은 행사가 연기되었고, 애틀랜타에서는 행사가 취소되기도 하였지만, 대신 1인시위나 피켓 인증샷 릴레이로 대신하면서 기억행동을 이어갔다.

“잊지 않겠습니다”, “우리의 마음이 가 닿기를”, “함께 흘리는 눈물은 세상을 바꿀 거라고”, “같이 모여 304명의 이름을 불렀습니다”, “ 강력한 세월호 특조위, 민주주의 회복”, “세월의 1000일의 기다림, 진상규명하는 2017년” 재외동포들은 참사 후 천일이 지났지만 진상규명이 제대로 되지 않은 현 상황과 참사를 잊지 않겠다는 모두의 마음을 나누고 행동의 다짐을 전했다.

6일 하와이 촛불집회를 시작으로, 7일 독일 베를린과 아일랜드 더블린 <다이빙벨>상영회, 프랑크푸르트 노란 우산 프로젝트, 미국 시카고 동영상 만들기 및 상영회, 로스앤젤레스의 걸개그림 함께 그리기, 북가주 304개의 노란 계란 만들기, 뉴질랜드 오클랜드, 핀란드 헬싱키와 미국 뉴저지 피켓시위, 캐나다 몬트리올의 걷기, 호주 시드니의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플래시몹, 8일, 뉴욕 영화<자백>상영회, 샌디에이고 걷기와 304명 이름 부르기, 워싱턴 DC의 강연 및 음악회 등 그 형식도 다양했다.


하와이 촛불집회 (4.16해외연대)

7일, ‘세월호를 기억하는 베를린행동’은 참사 후 있었던 집회 사진을 모은 <세월호 천일의 영상>을 제작해 주목을 받았다. 프랑크푸르트에서는 강진모 조각가의 “박근혜 내려오고 세월호 올라오라”가 쓰인 모형배와 “왜?”라는 노란 우산 글자가 등장했다. 강진모 씨가 지휘한 노란 우산 프로젝트는 “세월호는 우리 사회의 원죄이다. 천일이 되도록 “왜?”라는 질문에 답을 내리지 못하는 우리는 그 “왜?”라는 질문을 다르게 내놓아야 할 것 같다. 왜 우리는 여전히 진상규명을 요구하는가? 왜 우리는 진상규명에 나서지 않는가? 왜 우리는 이미 드러난 사실만으로 단언하지 못하는가? 왜 우리는 최종 판단을 여전히 어떤 권위에 의존하는가? 왜 우리는 스스로의 사유 구조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가?” 를 묻고 있다.

한편, 최순실 재산 관련해서 독일을 찾은 안민석 의원도 깜짝 등장했다. 주진우 기자 등과 함께 잠시 독일을 방문한 안 의원은 “최순실의 부당한 재산의 흐름을 제대로 밝혀 환원하지 않으면 최순실은 부활한다. 필히 밝혀내겠다.”며 동포들의 협조를 구했다.


프랑크푸르트 집회(7일, 정혜선)와 샌디에이고 집회(8일, 샌디에이고 세사모)에서 진행된 노란 우산 프로젝트

뉴저지 세월호 집회, 뉴욕에서는 영화 <자백>상영회가 있었다 (8일, 뉴욕뉴저지 세사모)

‘세월호를 잊지않는 시카고 사람들의 모임(시카고 세사모)’은 세월호가족들에게 보내는 2017년 신년 인사를 담은 동영상 만들기, 세월호 참사 생존 학생들의 증언과 인터뷰를 담은 EBS 다큐프라임 ‘살아남은 자의 슬픔’ 함께 보기, 다과와 의견 나눔의 시간을 가졌다.

시카고 세사모의 세월호 천일 집회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는 세월호 가족들이 보내온 동영상을 함께 보고 피켓시위, 리본 만들기 등을 진행했다. 핀란드 헬싱키에서는 “세월호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그리고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인용을 요구합니다. 헬싱키에서의 작은 집회가 세월호 피해자 유가족들과 생존 학생들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되길 바랍니다” 고 집회 후기를 올렸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4.16 해외연대)

미국 북가주 ‘공감’은 페이스북에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이, 한국사회에 정의를 구현하는 씨앗으로 다시 부활하길 기원하는 마음으로 304개의 노란 계란을 만들어 보았다”고 전했다. 또 “살아있었으면 하루에도 수백 번씩 불려졌을 희생자 304명의 그 이름들을 한분 한분 불러보는 시간도 가져보았다”는 후기를 올렸다.

북가주 세월호 집회 (공감)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열린 세월호 집회 (4.16해외연대)

로스앤젤레스 세월호 천일 집회 (John Yu)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천일 추모 집회에는 약 150명의 동포들이 참여했으며, 아이들이 특히 눈에 띄었다. 페이스북에 집회참가 후기를 쓴 존 유 씨는 “문동호 화백님의 밑그림을 중심으로 행사에 참여했던 여러 어른들, 그리고 아이들이 색을 입히고 빈 공간을 채워나갔습니다. 1000일 이라는 시간 동안 함께 아파하고 함께 기억하고 함께 행동해주셨던 여러 양심들…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벌써 눈물부터 글썽이는 여러분과 함께 그림도 그리고, 노래도 부르고, 자유발언을 통해 서로 소통하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습니다.”며 그 감동을 전했다.

묵념 이후 진행된 자유발언에서 UCLA 강이슬 학생은 “또래 같은 희생자들이고 1000일이나 지났는데 해 줄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 너무 답답하고 미안하다”며, “빠른 시일 내로 세월호 진상 규명과 세월호 인양이 되어서 1000일 동안 쫓고 있던 진실이 밝혀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 세월호 1000일 집회에 참석한 도산 안창호 선생 외손자 필립 안 커디 씨

또, 도산 안창호 선생의 외손자 필립 안 커디 씨는 “보트 위에 있던 경찰들은 아이들을 구하기 위에 안으로 들어가지 않았다.”며, “그들의 본능은 어디에 있습니까? 미국에서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한국 정부가 무언가를 숨기는 게 명백하다. 여러분은 정부에 의문을 계속 제기하고 항상 진실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린다 리 씨는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은 저희가 이렇게 잊지 않고 모이는 것만으로 힘이 된다고 한다. 언제 진실이 밝혀질 지 모르겠지만, 진상규명될 때까지 끝까지 같이 행동하면 좋겠다.”고 말했으며, 이철호 씨는 “세월호 1000일의 집회 제목처럼, 이제는 기억하고 행동할 때다. 이제는 참사 원인과 국가 구조 문제를 찾아야 한다. 그리고 박근혜 정권은 퇴진해야 한다. 지금이 바로 대한민국을 제대로 된 국가로 만들기 위한 시작점이다”고 전했다. [...계속 됨]

****************************************************************************


https://www.facebook.com/TheNewsPro


https://twitter.com/thenewspro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