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단독]블랙리스트 시작은 ‘세월호’였다
게시물ID : sisa_83369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바람처럼9
추천 : 13
조회수 : 828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7/01/12 08:12:11
옵션
  • 펌글
ㆍ“참사 다음달부터 논의” 진술 토대, 김기춘·조윤선 곧 소환
ㆍ특검 ‘세월호 반정부 여론 차단 목적’으로 잠정 결론 내려
박근혜 대통령이 2014년 4월17일 오후 세월호 침몰사고 실종자 가족들이 머무는 진도실내체육관 단상에 올라 구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자 한 실종자 가족이 바닥에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모아 “우리 아이를 살려주세요”라며 애원하고 있다. 실종자 가족들은 정부가 이틀 동안 한 일이 무엇이냐면서 강력하게 항의했고 고함과 욕설이 나오기도 했다. 청와대 경호원들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대통령 주변을 세겹 네겹으로 에워싸고 있다. |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이 2014년 4월17일 오후 세월호 침몰사고 실종자 가족들이 머무는 진도실내체육관 단상에 올라 구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자 한 실종자 가족이 바닥에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모아 “우리 아이를 살려주세요”라며 애원하고 있다. 실종자 가족들은 정부가 이틀 동안 한 일이 무엇이냐면서 강력하게 항의했고 고함과 욕설이 나오기도 했다. 청와대 경호원들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대통령 주변을 세겹 네겹으로 에워싸고 있다. |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정부가 만든 ‘문화계 블랙리스트’는 2014년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는 문화예술인들의 활동을 옥죄기 위해 작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검은 블랙리스트 작성 작업이 세월호 참사 이후 반정부 여론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었던 것으로 잠정 결론냈다. 
 
11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세월호 참사 한 달 뒤인 2014년 5월 블랙리스트 작성 논의가 시작됐다는 문화체육관광부 직원들의 진술과 정황을 확인했다. 블랙리스트 작업이 1차적으로 문화예술인들의 세월호 활동과 행사를 억제하고, 불이익을 주는 일부터 겨냥했다는 것이다.
 
블랙리스트는 조윤선 문체부 장관(51)의 청와대 정무수석 재임 시절(2014년 6월~2015년 5월) 정무수석실이 국가정보원장의 도움을 받아 완성하고 교육문화수석실을 거쳐 문체부에 전달한 것으로 특검은 파악하고 있다. 
특검은 문체부가 이후 우수도서를 선정·보급하는 ‘세종도서 선정 심사’에 세월호 관련 서적을 일제히 배제한 것도 블랙리스트와 관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검은 문제도서가 선정되지 않도록 세종도서 선정 기준이 바뀌었다는 문체부 관계자의 진술도 확보했다.  (하략)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1112002001&code=940301#csidx1fbe8bda1621b229e49c58b8b80c626
 
도데체 그시간에 무슨짓을 하고 있었길래 세월호를 수장 시켰으며, 세월호 이야기를 하지도 못하게 블랙리스트 까지 작성해서 막았더란 말이냐.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