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 정도는 극복해야
게시물ID : sisa_83999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고구마파이
추천 : 2/5
조회수 : 243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7/01/25 06:44:59
옵션
  • 외부펌금지



국민경선은 2012년에도 시행된 제도로 문재인 대표도 이에 따라 대선후보가 되었습니다. 정통성이라는 표현이 적절한지 모르겠지만 당시 문재인 후보의 정통성을 인정한다면 이번의 국민경선 또한 당헌당규에 명시된 제도로서 충분히 채택할 수 있는 제도라 생각합니다.

물론 역선택이나 동원 선거 등 폐해가 염려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문재인 대표는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지지율 30%가 넘는 압도적인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는 후보입니다. 지금이 정당정치를 완성해 가는 과도기이고 따라서 여러 미숙하다고 표현할 행태들을 피할 수 없다고 본다면 이 또한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구체적으로 그같은 폐해로 논란이 되는 2007년 국민경선의 참가자가 190만 명 정도라는 글을 보았습니다. 이를 참고로 이번 국민경선의 최대 참가자 수를 200만 명이라 가정하겠습니다. 그러면 지지자 100만 명 이상 즉 문재인 대표의 경우 대략 10분의 1의 지지자가 경선에 참가하면 결선투표 없이 한 번의 투표로 이길 수 있습니다.

모바일과 인터넷 투표도 도입되는데 이 정도 열정 없이 정권교체를 하겠다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룰은 결정되었고 남은 일은 참여해서 정정당당하게 경쟁하고 승리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