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미저리, 머저리?...
게시물ID : sisa_84668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장호준
추천 : 1
조회수 : 79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7/02/10 23:01:05

미저리(Misery)라는 영화가 있었습니다.
스티븐 킹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것인데, 영화를 보신 분들을 아시겠지만 일종의 심리적 공포(Psychological horror)영화입니다.

눈폭풍 속에서 사고를 당한 유명 소설가 폴 쉘던은 그의 열성 팬인 간호사 애니 윌키스에 의해 구조를 받지만 애니는 폴의 소설에서 ‘미저리’가 죽는 것으로 결말을 맺는 다는 말을 듣고는 폴에게 ‘미저리’가 죽지 않는 것으로 다시 원고를 쓸 것을 강요하고, 폴의 다리를 부러뜨리면서 원고가 끝날 때까지 붙잡아 두게 됩니다. 마침내 원고가 마무리 되게 되자 애니는 폴과 같이 죽을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이 영화에서 보여준 것은 ‘편집증’ 그것도 광적인 편집증으로 인한 ‘편집성 인격장애’ (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PPD)가 얼마나 비정상적인 비참한 결과를 만들게 되는가 하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 준 것입니다.

WHO는 다음 일곱 가지 증상 중 세 가지에 해당이 되면 ‘편집성 인격장애’를 의심 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wikipedia)

1. 방해나 거절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하다. 강한 열등감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2. 거절 또는 무시당한 일에 대해 지속적으로 되새긴다. 몇 년 전의 일을 계속 이야기한다. 
3. 의심과 질투하는 정도가 심각하게 나타난다. 평범하거나 친근한 타인의 행동에서 대하여 의심한다. 
4. 자신의 지위와 소유를 지키기 위한 과도한 집착과 공격성이 두드러진다. 정서적인 면에서 매우 냉담하고, 권력과 지위에 집착한다.
5. 이성에 대하여 근거 없이 지속적으로 질투하고 순결성을 의심한다. 상대방의 행동을 자기 중심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다.
6. 자신이 매우 중요한 인물이라는 것을 스스로에게 지속적으로 강조한다. 자신이 한 잘못된 행동에 대하여 인정하지 않으며 오히려 남에게 책임을 몰아 부친다. 
7. 개인 또는 세상의 입증되지 않은 음모에 대해 선입견적 편견을 가지고 있다. 대인관계에 있어서 언제나 불안과 갈등을 유발시킨다.

미저리, 이 영화로 여주인공 캐티 베이트(Kathy Bates)는 오스카 상을 받았지만 이건 소설이고 영화일 뿐입니다.

물론 자기 이름을 어떤 드라마에 나오는 여자 주인공 이름으로 적어 놓았다고는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 한 나라의 대통령인데 설마 박근혜가 해머를 높이 쳐들고 스스로에게 “난 지금 ‘미저리' 영화를 찍고 있는 주인공 ’애니‘다.”라고 주문을 외우고 있는 것은 아니리라 믿고 싶습니다.

박근혜, 
탄핵은 영화가 아니다. 
너로 인해 대한민국의 팔과 다리 그리고 머리까지 부러지고 깨지고 있는 현실이란 말이다.

그러니 제발 정신 차려라, 
이 미친 짓을 당장 멈추고,
즉각 사퇴하여라!!!

<한겨례 그림판 - 2/10/17>

misory-1.JPG

misory-2.jp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