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92일간의 탄핵심판 뒷이야기
게시물ID : sisa_86694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바람처럼9
추천 : 3
조회수 : 46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7/03/15 09:10:39
옵션
  • 펌글
92일간의 탄핵심판 뒷이야기
10일 새벽 3시 선고 요지 초안 완성
요지와 선고 방식, 이정미·강일원 재판관 논의
오전 9시30분 평결…사인은 선고 뒤에 전자결재로
이 재판관, 헌재 도착 뒤에야 ’헤어롤’ 깨달아
선고시점 공감대 형성·재판관 의견분열 우려도
10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박근헤대통령탄핵심판 선고가 이정미헌재소장 권한대행 주재로 열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10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박근헤대통령탄핵심판 선고가 이정미헌재소장 권한대행 주재로 열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전날인 9일 재판관 8명은 오후 8시50분이 넘어 퇴근했다. “탄핵은 보수와 진보라는 이념의 문제가 아니라 헌법질서를 수호하는 문제”라는 보충의견을 낸 안창호 재판관은 10시가 넘어 가장 늦게 헌재를 떠났다. 보충의견을 헌법연구관 도움 없이 직접 집필한 안 재판관은 늦은 시간까지 보충의견을 다듬었다고 알려졌다. 재판관들은 퇴근했지만 헌법연구관들은 새벽 3시까지 남아 선고 요지를 다듬고, 낭독에 걸리는 시간도 확인했다. 재판관들은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 때와 비슷하게 20~30분간 선고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 전 재판관은 선고 당일 세 차례 시계를 쳐다봤는데, 결정문에 시간을 적어야 할 뿐 아니라 사전에 논의된 선고 시간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선고 요지와 파면 사유와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는 주문을 가장 마지막에 넣은 ‘미괄식’ 선고 방식은 당시 헌재소장 권한대행인 이정미 재판관과 주심인 강일원 재판관이 주로 논의했다고 전해졌다. 결론을 먼저 말하면 선고에 대한 집중이 떨어지고, 이후 선고 진행을 막을 수 있어 가장 마지막에 밝힌 것으로 보인다.
선고일인 10일 오전 8시, 평소보다 빠르게 출근한 재판관 8명은 구내식당에서 아침을 먹었다. 선고일은 경찰의 가장 높은 비상령인 ‘갑호 비상’이 발령돼 재판관들은 두 대의 경찰차를 앞세우고 3대의 경호·경찰 인력 차가 뒤따르는 경호를 받고 출근했다. 아침 식사에서는 이 전 재판관이 이날 아침 깜빡 잊고 머리에 꽂은 채 출근한 분홍색 헤어롤 2개가 화제가 됐다. 이 전 재판관은 선고일 아침 집에서 직접 머리를 단장하다 헤어롤을 꽂았다는 사실을 잊은 채 그대로 관용차에 올랐다. 이날 오전 7시50분께 헌재에 도착한 이 전 재판관은 엘리베이터에 올라서야 헤어롤의 존재를 깨달았다고 전해졌다. 헌재 공보관에게 보도 자제를 요청지만, 이미 이 전 재판관의 사진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상태였다. 이 전 재판관의 우려와 달리 ‘헤어롤 사진’은 ‘인용’, ‘8명’을 뜻한다는 누리꾼들의 분석과 세월호 참사 당일 박 전 대통령의 ‘올림머리’와 비교되면서 이 사건에 대한 헌재의 집중과 긴장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식사를 마친 재판관 8명은 이날 오전 9시30분께 탄핵심판의 최종 결정을 돌아가면서 밝히는 ‘평결’을 시작했다. 2014년 12월19일 통합진보당 정당 해산 심판 선고 때도 선고 30분 전에 평결이 진행됐다. 재판관들은 평결과 함께 결정문 최종 문구를 다듬었고 이날 11시 대심판정에 모습을 나타냈다. 탄핵심판 주문은 선고가 시작된 지 21분 만에 낭독됐고, 재판관들은 선고 뒤 탄핵심판 선고의 효력이 발생하는 ‘2017.3.10. 11:21’이라는 결정문의 선고일시를 확인한 뒤에야 전자 결재로 결정문에 서명했다. 보안 등의 문제로 결정문은 사전에 등록되지 않았다. 재판관들은 이날 점심도 구내식당에서 함께 했으며, 평소보다 조금 일찍 퇴근했다.
재판관들은 92일 동안 진행된 탄핵심판 고비도 잘 넘겼다. 박한철 전 헌재소장은 1월25일 퇴임 전 마지막 변론에서 “(이정미 재판관이 퇴임하는) 3월13일까지 선고돼야 한다”고 말하기 전 재판관들에게 양해를 구했다고 알려졌다. 재판관들 사이에서 이 발언에 대한 평가는 갈리지만, 대체로 이 재판관이 퇴임해 재판관 7명만 남기 전에 탄핵심판을 매듭지어야 한다는 데는 공감했다고 전해졌다. 박 전 대통령의 대리인인 김평우 변호사가 강일원 재판관에게 “법관이 아닌 국회의 수석대리인” 등의 막말을 퍼부은 2월22일 16차 변론이 끝나고 일부 재판관과 헌법연구관들은 답답함에 술자리를 갖기도 했다.
(후략)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86443.html?_fr=mt2#csidxb13ec89f7234fbbb5b68b870ff2d9ec
 
재판관 여덟분 모두 당당한 판결을 하셨지만 박한철 전 헌재소장도 잊을수 없습니다.
박전소장의 이력은 대검 공안부장 출신이고, 이명박이 임명한 사람 이여서 의심도 했지만, 탄핵 심판의 중심을 잘 잡았다고 생각 합니다.
 
역사의 뒤안길 에는 항상 이런 저런 이야기가 남지만 이번 탄핵도 예외는 아니지요. 그래서 퍼왔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