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호남 신화'에 가려진 '부산 혁명'을 주목하자 .gisa
게시물ID : sisa_87696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blueJ
추천 : 22
조회수 : 1362회
댓글수 : 16개
등록시간 : 2017/03/28 10:35:38
옵션
  • 펌글
오늘 아침 흥미로운 제목의 기사가 있길래, 읽어보고 공감이 되어서 올려봅니다.
저 뿐 아니고, 많은 분들이 잠시 관심을 가지지 못했던 내용인거 같네요.

기사 원문에 보시면, 지지율 분석한 표도 나와있으니 한번 참고해서 읽어보시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옮겨온 부분은 기사의 뒷부분입니다.

================================================================================================================================

영남의 한 축인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서 야당이, 야당의 후보가 이 정도 지지율을 나타낸 것은 근 수십년간 없었던 일이다. 지역별 지지율은 샘플이 적어 단순 수치를 그대로 믿을 수 없으나, 추세로 읽는데는 도움이 된다.  

이런 조짐은 지난해 4월 총선에서도 감지됐었다. 부산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 간판을 달고 국회의원에 당선된 숫자는 18석 중 5석. 이른바 '부산 갈매기 5형제'(김영춘·김해영·박재호·전재수·최인호 의원) 외에도 낙동강 벨트로 분류되는 경남 일부 지역에서 김경수, 서형수, 민홍철(재선) 의원이 당선됐다. 문재인이 단일화 협상에 직접 나서면서 노회찬 당선에 기여를 했던 사례도 있다. 그리고 울산에서는 야권 성향으로 두 명의 무소속 의원이 나왔다. 

부울경의 정치 성향이 조금씩 왼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것이 노무현이 남긴 공이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문재인은 노무현과 그 후예들이 끈질기게 도전해온 '지역주의 타파'의 열매를 따게 될 지도 모른다. 물론 문재인도 기여한 바가 있다. 

이런 변화가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호남에 쏟아지고 있는 스포트라이트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영남 지역의 이같은 변화는 분명 주목할만 하다. 문재인과 같은 부산 출신인데도 안철수의 지지율이 낮은 것은 그의 영남권 '확장성'을 의심받게 할 수 있다. 
  
'호남의 선택'이라는 신화는 사실 민주계 정치인들과 '홀대론'에 경도된 호남 유권자들, 그리고 2002년 노풍의 달콤한 추억이 만들어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신화'를 깬다는 것은 항상 아픈 일이다. 그래도 '신화'에서 벗어나 볼 필요는 있다. 반론도 제기될 수 있다. 다만 기자의 '출신 지역'을 공격하는 방식의 반론은 사양한다.  

출처는 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54240&ref=nav_mynews 박세열 기자 입니다
출처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54240&ref=nav_mynews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