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안철수 후보 영입 서울대, 연구실적 미흡한 부인도 두달뒤 채용
게시물ID : sisa_89034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바람처럼9
추천 : 5
조회수 : 417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7/04/12 09:35:32
옵션
  • 펌글
대선 D-27 후보 의혹 검증
안 부부 ‘1+1 특혜채용’ 의혹
[email protected]" style="width:643px;" alt="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차기정부 중소기업 정책 관련' 대선후보 강연회에 참석해 정책제안서를 전달받은 뒤 `중소기업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강창광 기자 [email protected]" src="http://img.hani.co.kr/imgdb/resize/2017/0411/00503760_20170411.JPG" filesize="405005">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차기정부 중소기업 정책 관련' 대선후보 강연회에 참석해 정책제안서를 전달받은 뒤 `중소기업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강창광 기자 [email protected]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의 아내인 김미경 서울대 의대 교수를 둘러싼 특혜 임용 논란이 또다시 불거지고 있다. 김 교수가 2008년 카이스트 교수, 2011년 서울대 교수로 채용된 배경에 안 후보의 ‘후광’이 작용했다는 의혹이다. 김 교수의 연구실적과 경력이 부교수(카이스트)와 정교수(서울대)로 임용되기에 미흡했는데도, 두 학교가 안 후보를 영입하기 위해 김 교수를 함께 채용한 것이라는 의혹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김미경 교수는 안철수 후보의 서울대 의대 1년 후배로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단국대와 성균관대에서 병리학 교수·전문의로 15년간 일하던 그는 2002년 미국 유학을 떠나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박사논문은 모두 병리학인데 생명과학정책 분야에 임용 김 교수는 2008년 4월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생명과학정책 분야 부교수(7호봉)로 임용됐고 2009년에 기술경영전문대학원으로 소속을 옮겼다. 김 교수의 임용 시기는 카이스트가 안철수 후보를 석좌교수로 초빙하던 시기와 겹친다. 카이스트에 300억원의 발전기금을 기부한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은 2008년 3월26일 안 후보를 석좌교수로 추천했고, 김미경 교수는 4월1일 부교수로 채용됐다. 안 후보는 한달 뒤에 석좌교수로 임용됐다. 부부가 동반 임용된 것 자체가 매우 이례적인 사건이었다. 카이스트 전 고위 관계자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당시 학내 인사에게서 ‘안철수는 부인까지 묶어야 온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2012년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김미경 교수의 카이스트 교수 임용 당시 자질 논란이 제기됐다. 카이스트 임용 당시 김 교수의 논문 41개 가운데 40개가 병리학 논문이고, 임용된 분야인 생명과학정책 관련 논문은 1건에 불과한 탓이다. 박인숙 당시 새누리당 의원이 “이러한 임용이 안철수 교수를 뽑기 위한 끼워팔기 특혜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임용이 공정한 사회라고 생각하냐”고 묻자 서남표 총장은 “물론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서울대 임용 때 심사위원 경력 놓고 ‘갑론을박’ 김미경 교수는 이어 2011년에는 안철수 후보와 함께 서울대 정교수로 나란히 특채됐다. 서울대에서 특별채용으로 부부가 정년이 보장되는 정교수로 임용된 것은 안 후보 사례가 처음이다. 당시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운영에 어려움을 겪던 서울대가 ‘토크콘서트’ 등으로 한창 주가를 올리던 안철수 후보를 원장으로 영입하기 위해 적극 나섰고, 이를 위해 김 교수까지 함께 채용했다는 의혹이 나온 배경이다.
 
(중략)
 
당시 심사위원 가운데 한명은 “양심상 더는 위원회에 남아 있을 수 없다”며 사퇴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한 심사위원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인사위에서 있었던 일은 어디서 말해서도 안 되고 취재에 응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 임용 뒤 서울의대 안에서도 분란이 일었다. ‘서울의대를 사랑하는 교수모임’은 당시 의대 교수들에게 편지를 보내 “의대에서 워낙 생소한 전공분야여서 (김 교수의) 논문을 검색해보았다. 놀랍게도 생명공학 또는 정책에 대한 논문을 찾을 수 없었다”며 “김 교수의 임용 과정에 대해 해명해달라”고 요구했다.
(후략)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790297.html?_fr=mt2#csidx252888a21b652b9b6d9115b01aedf1a
 
우리동네 마트에서 카놀라유 한병 사면 한병 더 준다더라.
그보다는 무슨 자격으로 카이스트 석좌교수가 됐는지 안철수의 카이스트 석좌교수 임용도 파봐야 할것이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