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정말 순수하게.....수학적으로 알고싶긴 합니다.....
게시물ID : science_6329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풍행
추천 : 2
조회수 : 489회
댓글수 : 8개
등록시간 : 2017/04/21 22:17:10
제가 지금까지 베스트로 온글을 바탕으로 보다가 정말 궁금해서...
 
제생각은 첫번째......
 
" K=1이 정상이다....... 그런데 K=1.5가 나왔다 그래서 이것은 이상하다고 본다 또는 부정개표이다."
 
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맞지요?  이 부분은 저도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분석한 .. 누구는 3개를 이야기하는데 제가 보기에는 꽤 많은 개표소가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만.(이거는추측이고..)
 
어쟀든.... "분석한 모든 또는 대부분의 개표소에서 K=1.5으로 나왔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조작의 증거이다"
 
 이렇게 판단한 저의 생각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을 부분에 대해서 설명좀 해주실분...
 
 왜냐면........ 제가 아무리 이공계 출신이고 합리적으로 생각한다고 하더라도......... 논리적 오류가 있을수 있는데......그걸 좀 과게에서 알고 싶습니다..
 
 어려운 분포 정수 막 이런거 쓰셔서......좀 힘들긴 하지만.. 이해해 보겠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본인삭제]dacoon
2017-04-21 22:20:15추천 1
댓글 0개 ▲
2017-04-21 22:20:54추천 1
정상 비정상의 구분은 어떤 기준이 필요합니다. 어떤 기준을 만족하면 정상, 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비정상이라고 하는 거죠.

문제는 K값이 무엇이 정상이고 비정상인지를 나눌 기준 자체가 없습니다.

더 플랜에서는 1을 그 기준으로 제시하지만, 과게에서는 1은 기준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정확히 말하면 기준을 정할 수 없다는 겁니다만...
댓글 0개 ▲
2017-04-21 22:24:38추천 0
" (인위적인 조작으로) 오염된 상태가 아닌 원래의 K 값이 추정해 볼 수 있는 근거 자체가 없기 때문에
K = 1.5 라는 수치만으로는 뭘 판단해 볼 수가 없다." 라고 요약할 수 있을 거 같아요.

현재 K 값 측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데이터가 2012년도 데이터밖에 없는 상황인데,
2012년도 데이터는 오염된 데이터이다라고 정의하니까... 정상적인 K 값이 뭔지 측정해볼 수 있는 존재 자체가 없는 상황인거죠.
댓글 0개 ▲
2017-04-21 22:24:47추천 0
지금 아래글들을 보다보니깐.........

두번째도......... 실제로 고령층이 얼마나 많냐 적냐가 K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는 고령층에서 지지하는 비율에 의해서 K값이 변하므로....

대부분의 개표소에서 K값이 1.5가 나오는 것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정도 인걸로 파악하면 되나요?
댓글 5개 ▲
[본인삭제]dacoon
2017-04-21 22:27:44추천 0
2017-04-21 22:28:36추천 0
고령층 문제는 K 값에 영향을 줄 만한 요소로서 일단 제일 먼저 생각나는 거니까
제일 먼저 검토해 보는 것 뿐이에요.

A or B 라는 게 증명되었다면 모르겠는데...
A or B or C or D or.... 대체 경우의 수가 얼마나 되는 지 조차 아무도 모르는.. 아니 관심갖고 연구해본 사람도 없었다보니
지금부터 비로소 연구해봐야 하는 상황인거죠.
[본인삭제]dacoon
2017-04-21 22:28:54추천 0
2017-04-21 22:31:27추천 1
문제가 된다, 되지 않는다가 아니라, 아직까지는 정확한 원인이 불명이니 그것을 근거로 결론을 내릴 수 없다. 인거죠.
2017-04-21 22:31:50추천 1
그거 제가 쓴거인데 엄밀하게 말하면 고령층비중도 관여를 하긴해여 다만 어떤 분의 회귀분석에서도 나타났듯 지역의 연령대 분포가 k값의 크기에 결과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안준것으로도 분석되었기때문에 통계적으로 그 관여정도를 낮게 볼 수도 있다 정도가 되겠네여 문제는 k값을 결정하는 미분류유효표의 후보지지비율인데 미분류 유효표에 나타난 투표의사에 고령층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기때문에 6대 4의 비율이 나온것이 자연스러울수도 있단거고 따라서 조작의 정황이라 단정을 할 이유가 없단거져
2017-04-21 22:50:55추천 2
오케이 이해했습니다... 조작의 정황이라 단정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고.............그래서 조작이 의심된다고 주장할수는 있으나 그것이 수학적 근거가 될 수는 없다 라는 것이죠?
댓글 3개 ▲
[본인삭제]dacoon
2017-04-21 22:58:55추천 0
[본인삭제]krondor
2017-04-21 23:00:18추천 0
2017-04-21 23:08:09추천 2
사실 개표조작에 대한 의심은 해볼 수는 있어여 뭔가 이상하단 생각이 들면 말이져 근데 이상한걸 느끼고 의심을 하는거랑 그 의심을 단정으로 바꾸기 위한 작업으로 논리오류를 범하는거랑은 다른문제랄까

털보형님과 더플랜은 그 작업을 과학적 방법이라고 호언하고 했다는거져 그런식의 작업은 과학이 아니에여 미신이지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