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BGM)유행하면 좋겠어요 - 신한복
게시물ID : fashion_13362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먼지다듬이싫
추천 : 16
조회수 : 1650회
댓글수 : 117개
등록시간 : 2014/11/19 21:39:55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9BIvv
 
 출처 : 여성시대
 
 
 
신한복 프로젝트
: 한복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일상 속에서도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의 한복을 제안하는 사업
 
========
 
 
신한복 프로젝트에서 선보인 '신한복'은 우리가 흔히 아는 '생활한복'과는 또 다른 형태였습니다
현대 기성복과 함께 입을 수 있도록 디자인 된 것 같아요
 
일단 올해 10월 한복의날을 맞이하며 선보인 '신한복' 사진들부터!
 
 
resized_20141102_094737_1106559103.jpg
resized_20141102_094737_-1974616237.jpg
20141020035419_525100_700_467.jpg
NISI20141020_0010263079_web.jpg
PYH2014102502440001300_P2_99_20141025163917.jpg
PYH2014102502460001300_P2_99_20141025163918.jpg
PYH2014102502450001300_P2_99_20141025163910.jpg
NISI20141025_0010282177_web.jpg
20141021002240_0.jpg
NISI20141026_0010285256_web.jpg
NISI20141026_0010285276_web.jpg

 

 
위의 사진들을 보고 ??????????? 이런 생각을 했을 수도 있을겁니다
취향에 따라 그냥 보자마자 불호일 수도 있습니다
알록달록하면서 전통한복 느낌보다는 기성복의 느낌이 더 강하게 느껴져서 꺼림칙할 수도 있죠
더 나아가 이게 한복이라고?라는 반발심이 생길 수도 있고요
하지만 너무 배척하지는 말아주세요ㅠㅠ
이렇게 기성복과 함께 입을 수 있는 한복을 디자인하기 시작한건 얼마되지 않았습니다
처음부터 모두에게 호감을 주는 옷이 나오는건 어렵지요
꾸준히 관심을 갖고 응원하다보면 점점 좋은 디자인의 신한복들이 나올겁니다!
 
그리고 혹시나 저 사진들을 보고 어디가 한복인지 못 찾으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설명을 덧붙이려고 합니다
위의 옷들은 기성복처럼 디자인되서 그렇지, 자세히 보면 전통한복의 요소들을 갖추고 있습니다
일단 일상생활에서 기성복처럼 편하게 입을 수 있도록 새롭게 디자인됐기 때문에, 전통한복 같지 않은 것은 당연한겁니다
위에 올린 신한복에서 볼 수 있는 전통한복의 요소들을 잠깐 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저는 전공자가 아니라 단지 한복을 좋아하는 일반인입니다
한복 디자이너들의 한복을 얕은 지식으로 살펴보는 것임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한복 고름'을 살림 -
 
고름 :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앞길을 여며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슴 근처에서 맺는 약간 폭이 있는 두 개의 끈
 
전통한복에는 고름이 두 개입니다
겉에서 매는 고름 + 옷 안에서 매는 속고름
(속고름 먼저 매고 옷을 제대로 여며입은 다음, 겉에 있는 고름을 매는 겁니다!!)
 
아래의 사진에서 빨간 원 안에 있는 것은 옷 위에서 매는 고름
노랜 원 안에 있는 것은 옷 속에서 매는 속고름
fff.jpg
 
 
zzzz.jpg
zzzzzzz.jpg
 
 
 
 
- '한복 목깃'을 살림 -
 
1.
동정 :  깃 위쪽에 다는 흰색의 긴 헝겊
 
고려말부터 한복에 동정을 넣기 시작했습니다
오늘날 우리 입는 한복은 조선부터 보편화 된 동정이 달린 한복이죠
(현대에 한복이라고 굳어진 것이 조선시대 한복이기에 동정이 없으면 뭔가 어색하지만, 동정이 없다고 한복이 아닌건 아닙니다)
akl (39).jpg
 
 
2.
한복 목깃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칼깃, 당코깃, 목판깃 등등
(목깃 여러 형태가 섞이는 경우도 많음)
제목 없음f.jpg
왼쪽 : 칼깃 / 가운데 : 당코깃 / 오른쪽 : 목판깃
 
 
3.
교임형 깃 ( y 모양 깃 ) & 합임형 깃 ( u 모양 깃 )
 
교임형 깃과 합임형 깃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우선 한복의 여밈에 대해 잠깐 이야기하겠습니다
한복은 기본적으로 한쪽으로 여며입는 옷입니다
한복의 여밈은 '우임 / 좌임 / 합임'으로 나뉩니다
일반적으로 우임으로 여며입는게 기본적이지요
(처음부터 우임이었던건 아닙니다. 시대별로 좌임, 우임 다릅니다. 고려 이후에 우임으로 아예 굳어진 것!)
 
z2_cp02130168000.jpg  사신,백제,고구려,신라(우).jpg
왼쪽 : 좌임 / 오른쪽 3인 : 우임
 
조선 한복의 경우 옷을 여미는 방식이 우임으로 아예 굳어졌고, 목깃에 동정을 다는 것까지 일반적이게 되었습니다
 
자, 다시 교임형과 합임형 깃에 대해 다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교임형
 합임형
한쪽으로 여며입는 형태
 
몸에 밀착시켜 여며입는 옷인 경우가 많음
ex) 저고리 / 창의 / 도포 / 두루마기 / 답호 등
 양쪽 어느 곳으로 모으지 않고 가운데로 모아 입은 형태
 
위에 걸치거나 예복위에 덧입는 옷인 경우가 많음
ex) 장옷 / 원삼 / 포 등
 만약 우임으로 옷을 입었는다면 목깃은
y
모양으로,
좌임으로 옷을 입는다면 목깃은
ssss.jpg
모양으로 보임
목깃이 대칭적
u
모양을 보임
 조선한복의 경우 우임형 옷이기 때문에
교임형 옷을 입었을 경우 깃은 언제나 y모양이 됩니다x.jpg
교임형인 옷은 목깃을 풀어헤쳐보면
목깃이이렇게 비대칭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ss.jpg
 
목깃이 대칭적입니다
 
 
zzzzzz.jpg
 
 
 
 
- 원형을 최대한 살려서 현대화 -
 
1.
'창의'(그 중 소창의or중치막)
-.jpg
 
<창의>
소창의 / 중치막 / 대창의
세 가지가 있음
4.jpg
 위의 신한복 사진을 보면, 겨드랑이 밑 두 부분만 트여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두루마기'의 현대화
PYH2014102502460001300_P2_99_20141025163918.jpg
NISI20141026_0010285276_web.jpg
 두루마기는 두루 막혀있고 트임이 없는 옷

3.
치마 길이는 줄이고, 소재는 다양하게
PYH2014102502450001300_P2_99_20141025163910.jpg
배자(한복 조끼) + 허리치마
20141020035419_525100_700_467 (2).jpg
 
여자 한복의 경우, 이런 시도는 1900년대부터 볼 수 있었습니다
아래는 1920년대 신문기사 & 1920년대 실제 영상 중
20100514_143754003.jpg
d.gif
(영상 원본 : <노르베르트 신부의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다큐)

 
 
 
*
 
 
 
 
 
 
개인적으로 '신한복'이 여러 형태로 나오는거 보고 정말 기뻤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드디어 현대 기성복과 함께 입을 수 있는 '한복 스타일의 일상복'이 만들어지기 시작한거니까요!!
 
전통한복은 전통한복대로 입고
전통 한복을 입기 힘든 상황에서는 '한복스타일'로 입을 수 있는 날이 오는게
마냥 꿈만 같은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자국 전통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서 일상생활에 잘 녹여냈을 뿐만아니라,
세계 패션계에 영향을 미친 좋은 예는 일본과 중국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일본의 '기모노룩'
(예- 기모노 자켓)
imagesCC0ED7OL.jpg
 
중국의 '만다린 카라 스타일'
(예- 만다린 카라 셔츠)
f0357819c8927fb480771f275ce6866c.jpg
 
물론 일본과 중국에서는 자국 전통복을 현대적으로 디자인하는 것과 동시에
전통복을 있는 그대로 계승하는 노력도 끊임없이 이뤄지고 있죠
 
신한복 프로젝트는 이제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많은 사람들의 꾸준한 관심이 쏟아진다면, 보다 더 입고싶고 매력적인 디자인이 나오겠지요
그런 의미에서 괜찮은 신한복들은 연예인들이 좀 입어주면 좋겠습니다
아무래도 연예인들이 유행을 이끌거나 사람들의 관심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치니까요
 
 
 
 전통한복은 전통한복대로 입고
일상생활에서 기성복과 함께 한복스타일을 연출하며 신한복을 입는
그런 날이 빨리 올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p.s.
한복 종류는 생각보다 정말 많습니다
특히 남자 한복!!
개인적으로 여자 한복보다 더 매력적이고 가능성이 많은게 남자 한복이라고 생각해요
이 글에 나온 남자 한복은 이 글 내에서 최대한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만약 남자 한복에 대해 조금 더 알고싶으시다면,
http://todayhumor.com/?bestofbest_186519
이 글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오덕 냄새 주의)
 
 
 
 
끝으로는 '현대 기성복 + 한복' 조합 사진 투척!!
 
<리슬 한복>
현대화한 두루마기
z.jpg
zzz.jpg
zz.jpg
 
 
<차이킴 한복>
현대화한 철릭 + 허리치마
차이킴한복12.jpg
현대화한 철릭 겉옷
차이킴한복4.jpg
현대화한 중치막 겉옷
차이킴한복7.jpg
 
 
<김영재 한복>
전통 두루마기 + 양복
25115509319_60100020.jpg
20051119153410_117_0.jpg
 
 
<김영석 한복>
전통 두루마기
김우빈.jpg
20141027_094110_-1802150345.jpg
0B-6BPCv-e-1lbUItdEtuLTVCcW8-2.jp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