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세돌이 언급한 문재인이 쓴 책 추천사
게시물ID : lovestory_8208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Midway
추천 : 3
조회수 : 602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7/05/06 22:34:55
옵션
  • 펌글

정치는 생물(生物)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정치를 정의하는 것은 간단치 않습니다. 우리의 삶에 ‘평등과 자유를 실현하는 일’도 그중의 하나일 테지요. ‘평등’과 ‘자유’는 바둑에서 ‘세력’과 ‘실리’처럼 조화를 이룰 때 그 힘을 발휘합니다.

정치는 바둑을 통해 배우는 점이 많습니다.

승리를 탐하면 이길 수 없으며(不得貪勝), 상대를 공격하기 전에 먼저 나를 돌아보아야(攻彼顧我)합니다. 작은 희생을 감수하며 훗날을 기약해야(棄子爭先)하고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곳으로 나아가야(捨小就大)하는 것이 정치입니다.

저는 바둑이 취미였습니다. 
일반 아마추어치고는 꽤 잘 둔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법조 내 작은 바둑대회에서 우승한 적도 있고, 고재희 사범이나 이기섭 사범 같은 프로기사들과 3점 또는 4점 지도기로 가르침을 받은 적도 있습니다. 그런데 참여정부 청와대에 들어간 이후에는 지금까지 한번도 바둑돌을 손에 잡아보지 못했습니다. 
이제는 취미라고 감히 말할 처지가 못 됩니다. 하지만 지금도 신문을 들면 꼭 기보를 볼 정도로 여전히 바둑을 좋아합니다. 언젠가 제 양산 시골집, 계곡을 마주한 툇마루에서 여유롭게 바둑을 즐길 수 있을 때를 꿈꿉니다.

저는 바둑을 통해 인생을 배웠습니다. 정치도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언제나 크게 보고, 멀리 내다보고, 전체를 봐야 합니다. 바둑에서 국지전의 승부에 집착하지 말고, 늘 반면 전체를 보면서 대세를 살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꼼수가 정수에 이길 수 없는 이치도 같습니다.

이세돌은 승부에서 알파고에게 졌습니다. 하지만 이세돌은 영웅이 됐습니다. “바둑의 낭만을 지키겠다” “이세돌이 진 것이지 인간이 진 게 아니다” 등의 말은 그 어떤 정치가의 연설보다 사람들의 마음속을 파고들었습니다. 마치 후절수의 묘기를 보는 것 같습니다. 바둑은 승패가 분명하지만 인생은 지고도 이길 수 있는 법입니다.

저도 정치의 낭만을 지키고 싶습니다. 대중을 휘어잡은 이세돌의 조용한 웅변이 부럽습니다. 이세돌 대 알파고 간의 ‘세기의 대결’을 흥미롭게 지켜본 저로서는 이 승부가 책으로 엮여 나온다는 소식이 그저 반가울 따름입니다.

세 판을 연달아 진 후 제4국에서 터져나온 백78수가 ‘신의 한 수’였다고 합니다. 인공지능 알파고는 인간 고수가 둔 78수에 버그를 일으키며 ‘Resign(물러나다)’을 선언했습니다.

승리 후 “한판의 승리가 이렇게 기쁠 수 없습니다”라며 환하게 웃던 이세돌의 얼굴이 떠오릅니다. 그의 웃음이 인류에게 희망과 기쁨을 주었습니다.

저도 대한민국의 부조리와 불공정, 반칙과 특권들로부터 ‘Resign’을 받고 환하게 웃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이세돌 파이팅! 대한민국 파이팅

출처 https://www.facebook.com/moonbyun1/posts/842268725879481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